독일

주 함부르크 총영사관, 한국의 코로나 19 대응 전략 웨비나 개최

by 편집부 posted May 31,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주 함부르크 총영사관
한국의 코로나 19 대응 전략 웨비나 개최


주함부르크총영사관(총영사 정기홍)은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FNS), 함부르크 독한협회(회장 게어하드 티데만 ) 그리고 동아시아협회(OAV)가 공동 주최하는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전략 웨비나가 5월 28일(금) 13:00-14:30(독일시간) 플랫폼(Zoom)을 이용하여 개최하였다.

이 웨비나에는 크리스티안 타아스( Dr. Christian Taaks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 서울사무소장과 장영선 (Dr. Yong-Seun Chang-Gusko) 고신대 의대 교수가   '한국의 코로나 19 대응전략' 이라는 주제 발표를 하고, 의료·보건 분야 전문 언론인인 브리기트어거스틴(Birgit Augustin)이 사회 및 토론자로 참여하였다.

이날 웨비나에는 한국과 독일에서 180여명의 참석하였다.



1255-한인취재 2 사진 1.png




정기홍 주함부르크총영사는 환영사에서 "코로나 팬데믹 극복을 위한 전략을 교환하는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함께 협력한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과 독한 협회, 동아시아 협회에 감사한다.“ 고 전하면서  " 코로나 위기를 통해서 몇 가지 교훈을 얻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어 정 총영사는 "우선 사회전체를 위해서는 개인의 자유가 제한될 수도 있다는 점과 국가의 역할이 중요해졌으며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는 문제와 사회 전체 건강을 보호해야 하는 문제 간에 어떻게 균형을 지킬 수 있는지에 고민하게 되었다.“ 고 말했다. 

또한 그는  " 코로나 판데믹은 사회 계층간의 불균형을더욱 강화시켰을 뿐 아니라 백신 공급이 보여준 것처럼 국가간의 불균형도 여실하게 드러나게 되었다고 하였다. 하지만 코로나 위기앞에서 어느 나라도 안전한 나라가 없다는 사실을 통해 국제사회는 공조하고 의견을 교환하고 서로 지원해야 함을 배우게 되었다.“고 언급했다. 

정 총영사는 이어 " 한국과 독일은 코로나 초기부터 정부 차원에서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졌는데 이번 웹미나를 통해서 민간차원의 협력과 의견 교환이 이루어지는데 일조하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함부르크 독한협회장 전직 대사였던 게어하드 티데만(Gerhard Thiedemann) 격려사에서  " 한독 양국은 최고의 하이테크 산업 최고의 경쟁력을 자랑하는 공통점이 있는 나라이며, 코로나 극복에 있어서 상호협력 하는 동반자로서 현지 한국에 체류중인 정치와 의학 전문인들을 모시고 강연을 준비하는데 매우 기뻤다.“면서  "이 강연을 통해서 독일 사회가 궁금한 한국의 성공적인 코로나 대응에 성공의 비결은 무엇인지 , 코로나에 대처하기 위해 한국의 정치와 사회는 어떤 전략을 개발했는 지, 독일은 한국 성공사례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서 관심을 높이고 긴밀한 협력체제의 필요성을 알아보자.“고 했다.


1255-한인취재 2 사진 2.png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 서울소장 타아스는 ' 한국의 코로나 19 상황 개관' 주제로 발제에 나섰다.

그 는 서울에 살면서 개인적으로 체험한 것과 다양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한국 정부의 코로나 위기 대응책을 소개하였다.

그는 한국 정부의 코로나 대응을 3 T (Test- Trace- Treat)로 요약하였는데 무엇보다 정부의 신속한 대응과 시민들에게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한 점과 시민들이 적극적인 참여를 높이 평가했다.

특히 한국의 하이테크를 이용한 신속한 정보 분석 및 전달이나 각 위기 단계마다 투명하게 규정된 메뉴얼에 따라 일이 처리되는 것을 보며 매우 놀랐다."고 말했다.

2020년 3월부터 한국 고신대학 건강관리및 디지털 건강학구 객원교수로 재직중인 의사 장-구스크 영선 박사는 ' 한국의 의료시스템' 과 한국의 코로나 위기 대응 방식중에서 독일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장-구스크 박사는 코로나 전염병이 시작된 이래로 한국에서 큰 관심을 가지고 건강 의료 과학자로서 연구하고 있다.

그녀는 "한국의 신속한 코로나 위기 대응책은 무엇보다 2015년 메르스 위기에서 배운 교훈이었다."고 했다. 

당시 바이러스 전염 경로를 알 수 없음으로 인해서 시민들은 불안해 했고 이러한 경험으로 인해 사회 전체의 건강을 위해서는 개인 정보가 희생될 수도 있다는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메르스 위기시 병원에서 감염되었던 것을 거울 삼아 코로나 위기에서는 코로나 전담병원을 지정함으로써 일반 의료 시스템은 정상으로 작동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또 2018년 3월 진단 키드에 대한 허가 절차가 신속하게 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했는데 이로 인해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키드가 신속하게 시민들에게 활용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또 질병본부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확진자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었던 점과 다양한 정부 기관과 질병본부의 긴밀한 협력과 투명성있는 대응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의료 보건 전문 언론인 브리깃 어구스틴의 사회로 발제자들과 심도 높은 패널토론이 있었다.


독일 유로저널 김형렬 기자
   eurojournal04@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