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11년 새 급성 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3.3배 증가

by 편집부 posted Jul 17,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11년 새 급성 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3.3배 증가
 급성 심장정지 발생 건수는 1.5배 증가했고,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실시율이 8배 증가한 덕분,
 
  
 최근 11년간 급성 심장정지 발생 건수가 1.5배 증가했고, 같은 기간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3.3배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 심장정지는 혈액을 순환시키는 심장 기능이 갑자기 정지되어 신체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즉시 치료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르게 되는 질환이다.
급성심장정지 환자 중 생존자는 단 8.7%(2017년), 사망자는 90.3%로 인구 10만명 당 사망률로 계산하면 연 34.4명이 사망해, 이는 운수사고 사망자 수인 7.5명보다 약 4.5배 높다.

1189-건강 1 사진.png

급성심장정지 환자 절반 이상이 가정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가정에서 발생할 경우 다른 장소에서 발생한 경우보다 생존율(6.1%)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쓰러지는 것을 목격하거나 쓰러진 환자를 발견한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환자의 생존율이 약 2배 높아진다는 점에서 누구나 ‘심폐소생술’을 익혀두는 것이 가족과 주위를 위해 당연하다.

질병관리본부 김영택 만성질환관리과장팀이 2006∼2016년 11년 새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의무기록을 분석한 결과, 2016년 심장정지 발생 건수는 2만9832건으로, 2006년(1만9480건)보다 1.5배 많았다. 전체 심장정지 환자에서 7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6년 38.7%에서 2016년 49.5%로 늘었다. 전체 심장정지 환자의 절반 가까이가 70대 이상 고령이란 의미다.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도 2006년 2.3%에서 2016년 7.6%로 3.3배 증가했다. 퇴원할 때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만큼 뇌기능이 회복된 ‘뇌기능 회복률’은 2006년 0.9%에서 2016년 4.2%로 7배나 높아졌다. 
 김 과장팀은 논문에서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이 개선된 것은 의료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심폐소생술(CPR) 실시율이 2008년 1.9%에서 2016년 16.8%로, 9년 새 8배 이상 증가한 덕분”이라고 지적했다.

 급성 심장정지 환자에 대한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실시율은 지역별로 최대 5배 차이를 보였다. 서울은 29.6%(2016년 기준)에 달했지만 전남은 6.1%에 그쳤다. 광주ㆍ전남ㆍ전북ㆍ경북 등이 10%에도 미달했다.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도 지역별 격차가 컸다. 생존율이 11.9%(2016년 기준)로, 가장 높은 곳은 세종이었다. 생존율 최저인 경북(4.3%)보다 세 배나 높았다. 생존율 10%를 넘긴 지역은 서울(11.4%)ㆍ울산 등 세 곳이었다. 

 생존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지역에 대해선 심폐소생술 교육ㆍ응급의료체계 정비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급성 심장정지의 주요 원인은 질병(70%)이며, 심근경색ㆍ심부전ㆍ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 부전이 95%가량을 차지했다. 절반 이상의 환자는 집에 있다가 급성 심장정지를 경험했다.  


한국 유로저널 김용대 의학전문 기자
    eurojournal03@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