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각국 세무정보
유럽한인 사회현황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44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중동발 민주화운동과 세계경제 불안

  튀니지에서 촉발된 중동발 민주화 혁명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특히 이집트롤 불어간 이 바람은 지난 25일부터 유혈사태를 거치면서 점점 더 거센 폭풍으로 진화하고 있다.

“모든 아랍 지도자들이 두려운 눈으로 튀니지 사태를 지켜보는 반면 모든 아랍 시민들은 기대에 찬 눈으로

튀니지 사태를 지켜보고 있다.”고 논평한 한 이집트 언론은 이번 사태가 어떤 상황으로 진행될 것인지 잘 보여

주는 멘트라 할 것이다.

  이집트 민주화 시위 과정에서 현재까지 사망한 사람이 100여명에 이르자 무바라크 대통령의 퇴진 요구는

점점 더 거세지고 있다.

무바라크 대통령은 내각 전면 교체와 정치 개혁이라는 카드를 내밀었지만, 이집트 국민들이 교체되기를

요구하는 당사자는 다름 아닌 무바라크 자신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이집트는 혁명전야로 넘어가는 분위기다.  

이번 시위를 주도하고 있는 사람들은 다름아닌 청년들이다.

그들의 참을 수 없는 분노는 가난과 실업, 그리고 빈부격차에서 비롯된다.

8000만 이집트인 중 40%가 하루 2달러 미만으로 생활하고 있고, 물가상승률은 12.8%, 실업률은 9.7%에

달한다. 실업자 중 90%가 이집트 인구의 66%를 차지하고 있는 30대 이하 청년층이다.

이러한 이집트의 젊은 인구구조, 노인들에 의해 운영되는 정부, 만연된 경기침체는 위험한 조합을 형성하고

있는 셈이다.

무바라크 대통령이 미국의 지원 속에 30년 가까이 정권을 유지하면서 축적된 정치적 부작용과 경제적 모순들이

9월 예정된 대선에서도 현임 대통령의 재집권이 확실시 되자 임계점에 달한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독재정치가 미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유지되어 왔다는데 있다.

이집트는 중동에서 미국이 안정적으로 석유를 확보하는데 있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수에즈운하와 중동산유국들의 송유관이 관통하는 이집트는 중동에 있어서 미국과 유럽의 전략적 요충지인

셈이다.

미국은 군사․외교적 동맹에 대한 대가로 지난 32년간 총 78조 4000억원의 군사개발자금을 지원해왔다.

특히 이집트 국가 재정의 3분의 1이 미국원조에 의존하고 있다.

  민주주의의 세계 전파자라는 미국의 모순된 면이 바로  이번 이집트 사태에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은 이번 중동발 민주화 운동을 이집트에서 마무리하고 싶어하는 눈치다.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언급한 '질서 있는 이행(orderly transition)'은 결국 무바라크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할 수도 있음을 암시한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최대한 평화적인 정권 이양을 통해 이번 사태가 자칫 중동에 반미정서가 확산되는 것을 조기에 진화하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번 중동발 정세 불안은 이제 막 금융위기에서 벗어나고 있는 글로벌 경제에 큰 충격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유가다.

중동이라는 지정학적 위치에 따라 중동에서의 정정불안은 곧바로 원유가격 급등으로 이어지곤 했는데 이번에도

역시 북해산 브렌트유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서는 등 원자재가격의 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 증시 역시 중동지역으로 수출되는 자동차와 전자 관련 업종들의 폭락과 더불어 코스피 지수가 30포인트

이상 급락하는 등 직접적인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이집트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원유 등 석유제품은 하루 180만 배럴에 달한다.

거기다 유럽으로 들어가는 주요한 수출길이 바로 이 운하다.

수출에 의존적인 우리나라로서는 이집트의 정정불안은 치명적이다.

  더욱이 이번 민주화운동이 중동 전역으로 확산되어 지역적 불안감이 고조될 경우 세계경제가 더블딮에 빠질

위험성이 있다.

그렇지 않아도 연초부터 높은 물가상승률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고조된 우리 경제가 자칫 회복하기 힘든

수준으로 추락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정부와 재계는 이번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덧붙여 혼란 속에 불안해 하고 있는 우리 교민들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정부는 최선을 다해야 한다.

대규모 약탈과 방화, 외국인에 대한 이유없는 적대감 속에서 하루하루를 버티는 우리 교민들에게 안전한

귀국길을 마련할 수 있도록 조속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관련 기사: 8 면 한국 경제면, 11 면 국제면 >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293 올림픽 폐막 과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 file 2012.08.14 10503
2292 전두환 전 대통령의 진정한 속죄 2013.08.02 10453
2291 미-EU FTA에 철저히 대비해야 file 2013.02.19 7116
2290 '코로나 19'확진자 유발하는 현장 예배 강행 교회에 '책임 묻고 구상권 청구'해야 file 2020.03.18 6857
2289 키리졸브훈련과 북한 GPS재머 2011.03.08 6724
2288 아시아나 충돌 사고 처리에 만전을 기해야 file 2013.07.10 6587
2287 마그네틱 카드 교체 소동 2012.03.15 6181
2286 빅브러더(내부 고발자)와 휘슬블로어(양심선언) file 2013.07.02 5891
2285 평창올림픽 개최와 과제 file 2011.07.12 5860
2284 파리의 한국대중음악 file 2011.06.14 5798
2283 민주통합당 새 지도부의 과제 file 2012.01.17 5579
2282 일본 대지진 충격과 우리에게 주는 교훈 2011.03.17 5574
2281 부족한 세수로 담배값 인상, 지방 재정 건전화에 사용되어야 file 2014.09.16 5522
2280 남북러 가스관 연결사업 신중해야 file 2011.09.13 5417
2279 안철수 신드롬과 정당정치의 위기 file 2011.09.06 5250
2278 유성기업 파업과 기업간의 상생 file 2011.05.23 5189
2277 자살공화국 단상 2011.04.12 4990
2276 역대 정권의 실패한 전철을 밟지 말아야 file 2011.09.27 4895
2275 한국사회의 최대 충격, 베이비부머 은퇴 2011.02.08 4815
2274 통합당 김종인 비대위, '쓸모있는 정당'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 file 2020.06.03 480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5 Next ›
/ 1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