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각국 세무정보
유럽한인 사회현황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1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미국 대선 후보 샌더스가 한국 정치에 주는 교훈


미국 아이오와 주에서 치러지는 대선 예비후보 첫 경선에서 오바마 정부에서 예측을 뒤엎는 결과로 미국 정가가 충격에 빠졌다.
오바마 현 정부에서 국무부장관을 역임해 프리미엄을 안고 있는 힐러리 후보를 제치고 민주당 내부 경선에서 무명의 버니 샌더스 후보가 급부상하며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미국 대선에서는 1992년 무소속으로 출마한 로스 페로(19%지지율), 2000년 녹색당으로 출마한 랄프 네이더(2.7%) 가 급부상했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처럼 무명의 후보가 급부상하여 대통령에 당선된 경우는 많았지만,이번 대선 후보 샌더스 열풍의 경우는 ‘제3의 후보’나 ‘무명의 돌풍’을 뛰어넘는 ‘사건’이다. 
자본주의 종주국인 미국에서 40년간 ‘민주적 사회주의자’를 자처하며 정치를 해온 샌더스 후보에게 민심이 급속히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샌더스는 “민주적 사회주의란 상위 1%가 하위 90%의 소유를 합친 만큼의 부를 독점하는 것이 비도덕적이며 잘못되었다고 말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샌더스가 과격하다고 비난하는 사람들을 향해서는 “과격이란 부자들 세금은 깎아준 정치인들이 최저임금 인상에는 반대하는 것이며, 한 집안의 경제적 부가 하위 1억 3천만 명의 재산을 합친 것보다 많다는 사실”이라고 반격한다. 샌더스는 최저임금을 시급 15달러(18,000원)으로 올려 주당 40시간 일하는 근로자는 빈곤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경영자가 노동자를 마음대로 해고하는 것을 참을 수 없으며, 정치혁명이 필요하다고 부르짖는다. 샌더스는 대통령에 당선되면 월 스트리트를 대변하는 사람들이 내각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한다. 

샌더스의 주장과 약속에 미국 시민들은 자발적 정치모금, 캠페인, 선거운동으로 호응하고 있다.

샌더스 열풍은 돌출적 현상이 아니라 미국 사회의 모순이 가져온 필연이다.
2008년 월가의 탐욕이 가져온 미국의 경제 위기는 세계 자본주의의 심장 월가에서 “1%에 맞선 99%의 저항”으로 불린 시위가 일어 73일만에 막을 내렸지만, 이번 대선에서 샌더스를 통하여 다시금 지펴지고 있는 것이다.

사회주의 정당이 없고 매카시즘의 폐해가 남아있는 자본주의 종주국 미국에서 샌더스가 일으키고 있는 정치혁명은 한국 정치에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근로대중이 빈곤과 불평등한 계급 질서의 원인을 깨닫기 시작했고 기성의 정당이 아니라 새로운 정치세력을 통해 자신의 문제 해결를 시도하기 위해 이제 대중을 각성시키는 정치인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우리 국민들의 판단과 그 수준이다.이제는 국민들이 깨어야 하고, 특정층을 지지하는 소위 '묻지마 콘크리트층' '영남당,호남당' 등을 깨트리는 의식부터 갖추어, 우리 국민들과 국가를 진심으로 위하는 정당과 정치인들을 선택할 수 있는 혜안이 정말 필요한 시점이 바로 이번 총선이다.  

미국 시민들이 진보정치에 열광하는 이 시간 대한민국 국민들이 갖춰야 할 것은 진박, 친박, 가박, 복박, 비박을 구분할 능력인가? 친노와 비노를 구분할 혜안인가? 이승만이 국부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는 역사인식인가?

1997년 IMF 사태 이후 한국사회의 모순은 점점 심화되고 있다. 오죽하면 봉건사회에서나 있을 법한 ‘헬 조선’, ‘금수저 흙수저’ 등의 계급 의식이 보편화되고 있겠는가? 단지 가벼운 언어유희로 그칠 일이 아니다. 

근대화로 상징되는 봉건적 의식과 제도 철폐는 과연 허상이었단 말인가? 

이런 의미에서 샌더스가 던지는 질문들에서 우리사회 역시 자유롭지 못하다. 
새로운 정치란 이런 봉건잔재를 청산하는 데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이번 4.13 총선에서 재외국민 유권자들은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 당 등 각 정당의 재외국민들을 위한 정책이 무엇인 지도 모르고 선택해야하는 선거에 임해 '묻지마 투표'에 또다시 편승할 것 같다. 



1029-사설 사진.png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116 반란 및 내란의 수괴 전두환에 법원의 구인영장 발부 당연해 file 2019.01.09 1410
2115 한반도 평화와 완전한 비핵화 의지 재확인한 김정은 위원장 신년사 환영한다 file 2019.01.02 1515
2114 자정 능력 없는 사법부, 국회가 나서서 탄핵하라 file 2018.12.19 1812
2113 美軍 주둔비 대폭 증액은 미군 철수 요구와 반미 여론 부채질 우려된다. file 2018.12.12 1809
2112 김정은 위원장, 한반도 평화정착 위해 연내 서울 답방을 기대한다. file 2018.12.05 1697
2111 민주노총, 기득권 집착 대신 국가 경제 먼저 생각하라 file 2018.11.28 1503
2110 국회는 사법농단 연루 판사들의 탄핵 절차에 즉시 나서야 file 2018.11.21 1611
2109 미국과 북한은 기싸움대신 당당히 대화에 임해야 file 2018.11.14 2099
2108 여야정 협의체의 첫 결실을 환영한다. file 2018.11.07 1699
2107 극에 달한 사법 불신, ‘ 특별재판부’ 도입과 '공수처' 신설 서둘러라 file 2018.11.01 1594
2106 정쟁·구태·코메디에서 벗어난 생산적 민생국감 기대한다 2018.10.17 1441
2105 북미간의 '좋은 약속'에 한국당도 동참해야 file 2018.10.10 1893
2104 '민주주의의 적' 가짜뉴스 생산자와 퍼나르는 사람들 발본색원해 엄벌해야 file 2018.10.03 1478
2103 양승태 사법부 재판거래 의혹 수사에 비협조적 사법부는 적폐다. file 2018.09.26 1812
2102 남북 정상 회담,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에 결실을 기대한다. file 2018.09.18 1324
2101 남북 관계 정상화와 비핵화 실현에 기대가 크다 file 2018.09.12 1649
2100 적폐청산은 촛불 시위의 준엄한 명령, 중단되어서는 안된다 file 2018.09.05 1680
2099 트럼프 외교에 발목잡힌 남북교류, 우리의 길을 가야한다 file 2018.08.29 1869
2098 '역대 최악의 정치특검' 특검 주장자와 특검 관계자에 책임 물어야 file 2018.08.22 1461
2097 국회 특활비 폐지, 꼼수대신 모든 정부기관 개혁의 거울 삼아야 file 2018.08.15 1363
Board Pagination ‹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15 Next ›
/ 1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