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국 MZ세대는 정신건강 측면취약해

by 편집부 posted Jun 11,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한국 MZ세대는 정신건강 측면취약해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나이 등 생성형 AI 시대에는 '다수가 불확실해 '

한국의 MZ세대가 재정상태 등으로 정신건강 측면에서 취약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이 총 500명(Z세대 300명, 밀레니얼 세대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한국의 Z세대 32%, 밀레니얼 세대 29%만 본인의 정신건강이 좋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글로벌 Z세대 51%, 밀레니얼 세대 56%에 비하면 크게 낮은 응답률이다. 

그 이유에 대해 한국 Z세대의 경우 ‘장기적인 재정 상태’라 답한 응답률이 45%, ‘매일의 재정 상태’라 답한 응답률은 39%, ‘직장’이라 답한 응답률은 32%였다. 한국 밀레니얼 세대의 경우도 각각 45%, 45%, 32%였다.

또한, 같은 조사에서 한국 Z세대, 밀레니얼 세대 모두 각각 45%, 40%가 생계비가 최대 관심사라 답했고 한국 Z세대 23%, 글로벌 Z세대 21%가 ‘실업’이라 응답했다.

이어 한국 밀레니얼 세대 35%, 글로벌 밀레니얼 세대 23%는 ‘기후변화’가 최대 관심사라고 말했다.

1357-사회 1 사진 1.png

1357-사회 1 사진 2.png

 

생성형 AI, Z세대 45% ‘잘 모르겠다’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나이 등 생성형 AI 시대가 열린 가운데 한국의 Z세대 34%, 밀레니얼 세대 36%는 ‘놀랍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각각 34%, 30%는 ‘불확실하다’는 감정도 느끼고 있었다.

한국의 MZ세대는 글로벌 MZ세대와 비교해 생성형 AI 시대에 있어 다소 미온적인 대처에 머물고 있다. 

글로벌 Z세대 17%, 밀레니얼 세대 16%가 자기계발 일환으로 생성형 AI 교육 및 역량 강화를 ‘이미 하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한국 MZ세대 응답률은 4%에 그쳤기 때문이다. 

글로벌 Z세대 38%와 밀레니얼 세대 36%가 ‘교육 및 역량 강화를 1년 내 계획하고 있다’는 응답률을 보였으나 한국 MZ세대는 26%에 머물렀고 한국 밀레니얼 세대의 경우 36%는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심지어 ‘잘 모르겠다’는 답변의 경우 글로벌 Z세대는 19%, 밀레니얼 세대는 24%였지만 한국 Z세대는 무려 45%에 달했고 밀레니얼 세대도 34%의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한국 유로저널 노영애 선임기자  yanoh@theeurojournal.com

유로저널광고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