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국 고소득자, 10년 후 재산 증식 목표치 600만 달러

by eknews posted Apr 05,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한국 고소득자, 10년 후 재산 증식 목표치 600만 달러


849-사회 1 ekn 사진 1.jpg


대한민국 고소득자가 10년 안에 이루고 싶어 하는 부의 목표치는 600만 달러(약 68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이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현재 재산을 기준으로 연평균 11%의 자산 성장을 이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과 스콜피오파트너십이 공동으로 2011년 10~11월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폴, 대만, 태국 등 9개국 평균 자산 140만 달러 수준의 고소득자 2,7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고소득자들이 목표로 삼는 10년 후의 재산증식 규모는 평균 600만 달러로 이번 조사 대상인 아시아 9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이어 인도(480만 달러)와 중국(450만 달러) 응답자들의 재산증식 목표치가 높았고 아시아의 대표적 고소득 국가인 홍콩(410만 달러·4위)과 싱가포르(360만 달러·6위)는 중위권에 머물렀다. 이번 조사에 응답한 한국 고소득자 중 자신의 재산 증식 목표치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있는 사람은 5명 가운데 1명 꼴(19%)에 불과했다. 

이는 9개국 고소득자의 65%가 명확한 재산 목표치를 갖고 있다는 응답 결과와 크게 대비되는 것으로 한국 고소득층이 소득수준은 높은데 반해 대부분 미래의 재산 목표를 제대로 설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의 고소득자는 타 아시아 국가 응답자에 비해 단순하고 안전한 은행 및 투자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849-사회 1 ekn 사진 2.jpg


특히 투자에 관해서는 연금상품(한국 44%, 전체 24%), 고금리 정기예금(한국 43%, 전체 42%), 부동산(한국 36%, 전체 34%) 등 소수의 특정 상품에 집중하는 반면 다른 아시아 국가 부유층이 관심을 갖는 금(한국 24%, 전체 43%)이나 뮤추얼펀드(한국 7%, 전체 26%)에 대한 투자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아시아의 고소득층이 재산증식 수단으로 투자는 물론 대출도 적극 이용하는 것에 비해 한국의 고소득층은 대출 이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향후 12개월 간 몇 건의 대출을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응답 결과(한국 1.35건, 전체 1.64건)에서 뚜렷이 나타났다. 

아울러 한국의 고소득자의 경우 다른 아시아 부유층에 비해 지금까지 재산형성을 위한 금융상품을 보수적으로 선택했지만 앞으로는 좀더 특화되고 복잡한 형태의 투자상품을 보유할 의사가 있다는 응답자가 50%를 차지했다. 국내 금융기관도 점차 변화해가는 한국인의 장래 투자성향을 감안해 이에 걸맞은 교육과 적극적인 조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라제시 카난(Rajesh Kannan)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프라이어리티뱅킹 및 인터내셔녈뱅킹 헤드는 “한국의 부유층 고객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자산을 관리하는데 있어 RM(고객 담당자)으로부터 정보와 전문적인 도움을 얻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다. 

동시에 은행으로부터 높은 수준의 맞춤형 개인 서비스를 받는데 익숙하며 또한 이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은행이 한국의 부유층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들 사이에서 균형을 잘 맞춰야 하며, 고객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 유로저널 방창완 기자 

eurojournal25@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