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혈 질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철분결핍성 빈혈질환’의 실진료환자수가 2002년 18만명에서 2005년 24만5천명, 2008년 31만6천명으로 나타나, 최근 7년 동안 1.75배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9 세 이하의 어린이들에게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는 2002년 386명에서 2008년 658명인 1.7배 증가하였으며, 특히 9세 이하 연령의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는 2002년 243명에서 2008년 943명으로 3.9배 증가 하였다.
지난 2002년부터 2008년까지 7 년동안 연령대별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는 80대 이상이 481명에서 911명으로 1.9배, 40대는 543명에서 943명으로 1.7배, 70대는 479명에서 759명으로 1.6배 순으로 증가하였다.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의 증가폭이 가장 큰 9세 이하의 경우 1세가 666명에서 4,809명으로 7.2배로 두드러지게 증가하였으며, 2세는 221명에서 1,500명으로 6.8배, 3세는 171명에서 672명으로 3.9배,, 4세는 201명에서 476명으로 2.4배, 5세는 215명에서 440명으로 2.0배순으로 나타났다.
10만명당 성별 실진료환자수는 2008년 기준으로 남자 259명, 여자 1,063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4.1배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10만명당 여자 실진료환자는 10대 584명, 20대 889명, 30대 1,402명, 40대 1,792명으로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50대 이후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분결핍성 빈혈 실진료환자수의 증가와 관련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혈액종양내과 장명희 교수는 “건강검진이 활성화되면서 경미한 빈혈(Hb 10-12mg/dL)의 발견 확률이 높아져 전체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또한 빈혈환자의 증가 원인을 성별, 연령별로 다르게 추정할 수 있는데, “여성의 경우 월경으로 인해 지속적인 출혈이 있어 철분결핍성 빈혈이 생길 확률이 매우 높은데 일부 젊은 여성들이 다이어트를 이유로 철분섭취가 감소된 것도 한 원인이 되며, 50대 이후 남성의 경우 대장암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암의 초기 증상인 철분결핍성 빈혈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9세 이하 연령 특히 1세의 철분결핍성 빈혈 실진료환자수의 증가와 관련하여 소아청소년과 김명아 교수는 “생후 6개월까지는 태반을 통해 공급받았던 저장철로도 충분하지만, 6개월 이후에는 저장철이 고갈되는 반면, 빠른 성장으로 인한 철분 요구량이 증가되므로 이때 이유식의 시작이 늦거나 철분 섭취가 부족할 경우, 철분결핍성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며 “영유아의 철분결핍성 빈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6개월 이상 모유수유를 하고, 시판우유(생우유)의 정기적인 사용은 9~12개월까지 늦출 것을 권장한다”고 하였다.
또한 부모들이 아이들의 철분결핍성 빈혈을 예방하기 위해 “생후 4~6개월 된 영유아에게는 이유식이나 고형식을 줄 때 철분과 엽산이 강화된 음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미숙아의 경우에는 약 1개월부터 4~6개월 동안 철분의 보조투여를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국 유로저널 안하영 기자
eurojournal16@eknews.net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ek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