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신분도용 피해보상 보험 들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by 한인신문 posted Jan 14,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최근 들어 온라인 범죄가 늘어나면서 신용카드 결제를 하면서 범죄 집단에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피해를 볼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커지면서 은행들에서는 고객들에게 이런저런 형태의 개인신용정보 보호 보험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로이즈 TSB 은행에서 내놓은 월 보험료 6.99파운드의 PrivacyGuard 보험도 그런 상품의 하나다. 그러나 가디언지에 따르면 이런 보험은 굳이 들 필요가 있다. 금융 약관에 따라 고객이 그런 보험에 들었건 안 들었건 은행은 선의의 신분도용 피해자에게 배상을 할 의무가 있다. 어차피 은행이 보호해주어야 할 책무가 있는 내용에 대해서 고객이 1년에 84파운드를 들여서 따로 보험을 가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은행들이 소비자의 온라인 금융 범죄에 대한 불안 심리를 이용하여 돈을 벌려는 전형적인 사례다. 이런 상품에 가입하면 은행은 “비정상적 입출금 양태”가 나타날 경우 바로 고객에게 경종을 울린다고 하지만 그런 서비스는 어차피 보험에 가입하지 않아도 은행이 해야 하는 일이다.
소비자 전문지인 Which?도 이런 보험 상품에 가입하는 것은 돈 낭비라는 견해를 보였다고 가디언지는 덧붙였다.



@유로저널 ONLY 뉴스 에 게재된 각국 기사 내용은 한국 언론들이나 포탈싸이트에 보도되지 않았거나, 본지가 직접 취재한 기사들만을 보도합니다.
유로저널광고

Articles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