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가경쟁력이 57개국 중 지난해보다 4계단 상승한 27위를 기록했다고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20일 발표했다.
한국은 2004년 31위,2005년 27위,2006년 32위,2007년 29위,2008년 31위에 이어 올해는 4 계단이 뛰어 오른 27위를 기록했다.
4대 부문별로는 모든 분야에 걸쳐 개선됐으며 특히 기업 효율성 부문이 36위에서 29위로 대폭 개선돼 경쟁력 상승의 큰 힘이 됐다. 경제성과는 47 위에서 45위로 두 계단,정부효율성은 37위에서 36위로, 인프라구축은 21위에서 20위로 각각 한 계단씩 상승했다.
세부 분야별로는 고용(12위), 공공재정(16위),재정정책(14위), 생산성.효율성(14위), 학인프라(3위),기술인프라(14위)가 상위 수준을 보였으며 특히 과학 인프라는 5위에서 3위로 상승했다.
반면 외국인투자(54위), 물가(52위), 기업관련법규(48위), 사회적 인프라(51위) 분야는 하위권에 머물렀다.
경제성과 부문에서는 국내경제가 29위에서 27위로, 국제무역이 40위에서 37위로 상승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그 중에서도 장기실업률, 상품수출액, 경제 다변화 등은 강점요인으로 지목됐으며 R&D 시설 재배치, 높은 생활비용, 관광수입은 약점요인으로 평가됐다.
기업에 대한 정부보조금, 사회결집력 등은 강점, 이민법의 외국인근로자 고용저해 정도 등은 약점으로 지적됐다. 교육 부분 35위에서 36위로 오히려 하락했다. R&D 인구대비 특허획득건수,고등교육수학률, R&D투자비율 등이 전년에 이어 강점으로 작용했고 초등학교 교사 1인당 학생 수, 대학교육의 사회부합도, 자격을 갖춘 엔지니어의 시장공급 수준은 약점으로 지적됐다.
재정부는 "기업의 경쟁력 제고 노력과 규제완화, 감사 등의 정책 노력이 어려운 경제여건 하에서도 국가 경쟁력을 상승시킨 주요 요인이 됐다"며 "보다 높은 국가 경쟁력을 위해 약점으로 지적된 부분에 대한 지속적 개선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세계 경쟁력 평가 결과 1위는 미국이 유지했으며 홍콩과 싱가포르가 2, 3위를 기록했다. 영국 등 대부분 유럽 선진국은 대체로 전년 수준을 유지했으나 아일랜드(12→19), 룩셈부르크(5→12)는 순위가 크게 하락했다.
아시아 경쟁국의 경우 대만(13→23)과 중국(17→20)이 하락한 반면 일본은 22위에서 17위로 5계단 상승했다.
한인신문 방창완 기자
eurojournal25@eknews.net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전 영국 한인대표신문 한인신문, ek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