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국내 소프트웨어 불법복제율, 사상 최저치 기록

by eknews posted May 23,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국내 소프트웨어 불법복제율, 사상 최저치 기록

국내 소프트웨어 불법복제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면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사무용소프트웨어연합(BSA)은 오늘 총 116개 국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0년도 세계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현황 보고서’를 전세계 동시 발표, 국내 소프트웨어 불법복제율이 조사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소프트웨어 불법복제율은 전년 대비 1% 감소한 40%. 지난 2년 간 무려 3%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처음으로 세계 평균 이하로 떨어지는 기록을 보였으며, 올해 역시 42%의 세계 평균 이하의 결과를 기록했다.
반면 국내의 소프트웨어 불법복제율은 여전히 선진국 평균 수준인 26%는 물론, OECD 34개국 평균치인 27%에는 훨씬 웃도는 수치로 여전히 불법복제 실태의 심각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불법복제로 이한 손실액이 전년 대비 25%나 급증한 약 7천 5백억 원(미화 7억 2천 2백만 달러)을 기록하며, 조사 이래 가장 많은 손실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그 심각성을 역설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경제 규모의 성장에 따른 고가(高價)의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증가가 그 이유라는 점에서 더욱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
한편 아시아 지역 평균은 60%로 전년 대비 1%가 증가했으며, 피해 규모는 미화 약 19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에도 역시 미국과 일본은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이번에는 룩셈부르크와 함께 세 국가에서 동일한 20% 를 기록했다.
조사 대상 전체 국가에서의 불법복제로 인한 피해 규모는 전년 대비 14%가 증가한 미화 590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BRICs와 같은 신흥경제국가들에서의 불법복제(69%)와 피해액이 증가한 탓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이번 조사보고서 발표와 함께 BSA는 Ipsos Public Affairs를 통해 소프트웨어 불법복제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함께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특히, 이번 서베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70%가 지식재산권(지재권) 보호에 대한 당위성에 공감하고 있으며, 약 60%의 응답자들이 지재권 보호를 통한 지역 경제의 이익과 일자리 창출에 대한 기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47%에 달하는 응답자들이 소프트웨어에 대한 불법복제에 대해서는 정확한 인식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불법복제율이 높은 지역에서 지재권 보호에 대한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용자들을 위한 시급한 소프트웨어 저작권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 점도 주목할 점이다.


한국 유로저널 이상협 기자
eurojournal07@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