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피치, 한국 국가신용등급 전망 상향조정

by eknews posted Nov 09,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피치, 한국 국가신용등급 전망 상향조정
등급 상향 이유로 재정건전성, 대외건전성, 빠른 경제 회복력 제시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Fitch)는 7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stable)'에서

'긍정적(positive)'으로 상향조정한다고 밝혔다. 다만 등급은 지난 2005년 10월에

올렸던 'A+'를 유지했다.
등급전망이 '긍정적'으로 올라가면 통상 1년 정도 후 신용등급 자체도 상향조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AA' 레벨로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피치는 △재정건전성 △대외건전성 △한국 경제의 빠른 회복력 등을 등급전망 상향 사유로

제시했다. 재정건전성은 상향조정의 중요 사유로 재정수지와 국가채무 등 양호한 재정건전성을

언급했으며, 한국이 건전재정기조를 유지해나갈 경우 등급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또 대외건전성에 대해서는 충분한 수준의 외환보유액, 은행 등의 단기외채 비중

축소, 일본·중국과 통화스와프 체결을 통한 유동성 확충 등 대외부문의 위기대응능력이

대폭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한국경제는 높은 대외의존도로 인해 글로벌 경제여건 변화에 취약한 측면이 있으나,

수출기업의 높은 경쟁력과 탄력적인 환율제도가 취약성을 크게 완화했다고 진단했다.
피치는 한국경제의 위험요인으로는 △가계부채 문제 △가변적인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높은

대외의존도 △내년도 외채 만기도래액이 크다는 점 등을 꼽았다.
그러나 이런 위험요인들을 잘 대처해 나갈 경우 신용등급상향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북한 문제에 대해선 전쟁이나 체제붕괴 등 대북 위험요인이 발생할 시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나, 그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획재정부는 "글로벌 재정위기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가운데 신용등급 전망을 상향조정함

으로써 우리의 위기대응능력을 높게 평가한 것"이라며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들의

신용등급(전망)이 하향조정되는 추세에서 우리의 등급전망이 올라간 것은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며

"올해의 경우 A등급 이상 국가들에 대한 신평사들의 상향조정 실적이 매우 드물다는 점도 주목해야

할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무디스(Moody's)의 경우 올해 A등급 이상 국가들에 대한 상향조정이 한 건도 없으며,

스탠더드 앤 푸어스(S&P)도 4건에 불과했다고 재정부는 덧붙였다.
                      


한국 유로저널 이희영 기자
eurojournal13@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