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중심 南아시아(SA),신흥시장 부상에 중국 견제 심해
전 세계 인구의 22%(약 16억명)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시장(다자간자유무역협정 체결 기준:SAFTA)인
인도를 중심으로 한 남아시아 경제권이 신흥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남아시아 경제권은 인도를 중심으로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부탄, 네팔, 몰디브, 아프가니스탄
등 8개국이다.
1985년 아프가니스탄을 제외한 7개국은 남아시아 지역 내 경제, 사회, 문화, 기술 등에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남아시아지역협력체(SAARC)를 창설했다.
2008년에는 아프가니스탄이 가입하면서 회원국이 8개국으로 늘었고, 2020년에 EU와 ASEAN과 같은 지역경제
통합체인 남아시아경제공동체(SAEU) 창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지역 경제 블록화 현상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역내 경제협력을 통해 뒤떨어진 경제 성장을
회복하고 빈곤 퇴치를 달성하겠다는 것이었다.
지금은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다음으로 가난한 지역이어서 기대만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지만,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의 경제 성장 전망도 밝고 경제협력에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해 경제 성장에
성공한다면 다른 개발도상국가들에 모범적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골드만삭스가 BRICs 이후 세계 경제를 이끌어갈 국가로 선정한 차기 11개국에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가 포함되기도
했다.
국가간 국력차로 발효 5 년 SAFTA 효과 미미
포스코경영연구소가 21일 발표한 '남아시아 경제권 성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남아시아 지역 경제성장률은
지난 2005〜2010년 평균 8.5%로 아세안 국가들의 평균 경제성장률 5.2%보다 훨씬 높다. 이 지역은 세계경제
침체에도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지난 2005년 1.1%에서 2009년 3.3%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임정성 포스코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남아시아 국가들은 인건비가 점차 높아지는 중국이나 동남아 투자에 대한
대안지역으로, 성장잠재력이 높은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어 진출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SAFTA가 발효된 지 5 년이 지났으나,그동안 기대만큼 실적을 내지 못한 가장 큰 원인은 심각한 국가 간
불균형이다. 국토 면적, 인구뿐만 아니라 거시 경제 지표에서도 인도는 나머지 남아시아 국가보다 월등하다.
인도는 SAFTA 전체 회원국 GDP의 83%, 무역의 87%, FDI 유입액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네팔과 부탄의
인도에 대한 수출은 각각 54.8%, 90%, 인도로부터의 수입은 각각 55.3%, 77%로 인도에 대한 교역 의존도가
매우 높다. 더구나 이 두 국가의 환율은 인도 루피에 연동되어 있다. 스리랑카와 방글라데시의 경우도 전체
수입의19%, 15%를 인도에서 하고 있다.
인도,아시아의 남쪽과 동남쪽 묶는 데 성공
인도는 남아시아 지역 경제 통합의 한계를 인식하고 벵골만에 위치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묶어 경제
협력을 도모하는 벵골만기술경제협력체(BIMSTEC)를 주도하고 있다. 1997년에 인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태국이
경제통합에 합의했고 그 후, 미얀마, 네팔, 부탄이 차례로 가입하면서 남아시아 4개국과 동남아시아 3개국이 회원국이
되었다. 이들은 13개 우선 분야를 선정했는데, 무역과 투자, 교통과통신, 에너지, 관광, 기술, 수산업, 농업, 공공
보건, 빈곤 퇴치, 테러 반대 및 초국가적 범죄, 환경 및 자연 재해 관리, 문화, 인적 네트워크가 그것이다. BIMSTEC
역시 세계 인구의21%에 해당하는 거대 시장이며, 물류 수송과 외교적 전략에서도 중요한 지역이다. 그만큼 인프라
관련 사업이 중요한 이슈 중 하나다.
인도는 BIMSTEC을 통해 ASEAN으로 진출하고, 인도 동북부 지역을 ASEAN과의 육로 무역 통로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중국, 인도의 군사적 경제적 진출 견제
하지만, 최근 중국이 남아시아 시장에서 빠르게 영역을 넓혀가면서 인도의 마음이 더 바빠지고 있다.
맹주인 인도가 역내 경제통합은 물론 개별 국가들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는 등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있고 중국은
남진정책으로 정치, 군사,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며 인도를 견제하고 있다.
이에따라 인도는 그동안 갈등 관계에 있던 파키스탄에 최혜국대우를 부여하겠다고 밝혔고 올 연말까지 매듭 지을 계획이다.
역내 통합을 가속화하려는 의도에서다. 또한 개별 국가들과 FTA(인도-스리랑카, 스리랑카-파키스탄, 인도-태국 등)를
체결함으로써 경제협력을 강화하고있다.
반면, 중국은 과다르(파키스탄), 함반토타(스리랑카), 치타공(방글라데시), 시트웨(미얀마) 항구를 개발하거나 투자를
조건으로 항구 운영권을 손에 쥐었다. 이들 4개 항구는 인도를 목걸이처럼 둘러싸고 있는데, 이른바 '진주목걸이 전략'이라
불린다.
중국은 에너지 자원의 수송로 확보와 상선의 안
전 확보라는 명분을 앞세워 전략을 펴고 있으나 이곳들이 군사적 요충지이자 대형 군함이 정박 가능한 심해 항구라는 점에서
의도를 의심 받고 있다. 중국이 해군의 보급기지로 활용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중국의 항공모함 건조와도 맞물려 있어 인도는
중국의‘진주목걸이 전략’을 안보 위협 요인으로 판단하고 있다.
중국은 이 지역에 대한 경제적 영향력도 확대하고 있
다.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의 대(對)중국 수입 비중과 순위는 가파르게 상승해 왔다. 2000년 한 자릿수에 그쳤던
각국의 대중국 수입 비중은 2008년 들어 모두 두자릿수로 증가했다.
중국과의 영토 분쟁도 인도 패권을 위협하고 있다. 양국
의 영토 분쟁은 2000년대까지 양국의 화해 노력과 인도의 ‘조용한 외교’가 맞물리면서 이슈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중국이
남진정책을 가속화하며 아루나찰프라데시의 영유권을 주장해 인도를 압박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 지역은 중국 티베트자치구와
인도 동북부 지역의 정치적 이슈와도 맞물려 있어 긴장감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양한 협력체 꾸려 영향력 유지
중국의 남진정책에 대해 인도도 대응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우선 균형 외교를 활용하고 있다. 인도는 비동맹정책을 바탕으로 인도양 지역에서 파워게임을 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 그
어느 편에도 서지 않고 있다. 미국은 적극적
으로 인도를 자국의 안보 벨트로 끌어들이려고 하는데, 미국-일본-동남아-인도를 잇는 안보 벨트가 그것이다. 미국은 인도에
군의 현대화 지원, 합동훈련 제안, 상업용 핵 기술 이전 같은 파격적인 카드를 제시하고 있다. 중국은 2010년 원자바오
총리가 인도를 방문하여 200억 달러 규모의 경제협력계약을 체결하고 2015년까지 무역규모를1,000억 달러로 확대하는 데
합의했다. 인도는 남아시아패권 위협에 대응하면서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균형 외교를 활용하고 있다.
전영균 전 인턴 연구원은 " 역사?문화적, 군사적, 경제적인 우위를 통해 남아시아의 패권을 보유해 온 인도는 국제 사회
질서의 변화로 인해 도전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의 남진정책이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인도는 균형 외교, SAARC
체제의 강화, BIMSTEC 체제의 활용 등 유연하고 적절한 대응을 펴며 이를 극복해 가고 있다. 앞으로도 남아시아에서 인도의
영향력은 막대할 것으로 보이며,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재편된 국제 사회 질서에서‘캐스팅 보트’로서 자주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