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신흥경제권 GDP 비중‘2015년 50% 도달’
최근 미국과 유럽의 재정위기로 선진경제권의 지속성장여부가 불투명한 가운데 2015년부터 세계경제의
중심축이 신흥경제권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신흥경제권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7일 발표한 ‘신흥경제권 전망과 대응과제’ 보고서를 통해 “1995년 세계 GDP의
1/3에 불과했던 신흥경제권의 비중이 2010년 현재 45% 수준에 도달했으며 2015년 50%, 2020년
55%로 선진경제권을 추월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선진경제권·신흥경제권의 분류는 IMF 기준에 따른 것으로 선진경제권은 소득·산업발달 수준, 인적
개발정도가 높은 미국, 일본, 유럽 주요국 등 34개국이며,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4룡(한국, 싱가포르,
대만, 홍콩)도 포함된다. 신흥경제권은 중국, 인도, 러시아 등 선진경제권 이외 150개 국가들로 구성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선진경제권 국가들의 경제발전단계가 성숙기에서 쇠퇴기로 접어드는 조짐인 반면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공)를 포함 최근 급부상 중인 인도네시아, 베트남, 터키 등
신흥경제권 국가들은 산업화가 진전되고 국민소득이 증가하는 등 성장활력이 높아지는 양상이다.
대한상의는 1만불 이상 중산층인구 중에서 신흥경제권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0년 현재 40%(5.6억명)에서
2015년에는 52%(9.5억명), 2020년 61%(14.6억명) 등으로 높아지며 선진경제권을 압도할 것으로 전망하고
신흥경제권 시장의 발전잠재력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생산활동에 참여가능한 젊은 인구가 많다는 것도 신흥경제국의 성장 전망을 밝게 했다. 보고서는 “선진경제권의
경우 40세 이상 고령인구가 절반(50%)인 반면 신흥경제권의 40세 미만 젊은 인구는 72%에 달해 생산과
구매활동이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했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