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여지도,지리정보 및 백두산정계비·군사시설까지 묘사
국내 소장 대동여지도와는 다른 구성과 내용을 가지고 있는 대동여지도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해 국립고궁박물관에서 3월 30일 첫선을 보였다.
이번에 환수한 대동여지도는 1864년 제작된 목판본에 가필, 색칠하고 동여도에 기술되어 있는 지리정보를 필사해 추가한 것이다.
문화청에 따르면 이번 환수는 해당 유물 소장자가 매도 의사를 밝히면서 그 존재가 확인됐다.
정보 입수 이후 문화재청의 적극적인 행정 지원과 수차례에 걸친 재단의 면밀한 조사, 관계자 간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이번 달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대동여지도는 조선의 지리학자이자 지도 전문 출판자인 김정호가 1861년에 처음 제작·간행하고, 1864년에 재간한 22첩의 병풍식 전국 지도첩이다.
이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대동여지도의 저본으로 삼았던 것으로 볼 수 있는 조선전도로, 조선시대의 교통로와 군사시설 등의 지리 정보와 1만 8000여 개에 달하는 지명이 실려 있는 채색 필사본이다.
대동여지도는 목판으로 새겨야 하는 한계 때문에 많은 지명들과 지도의 여백에 영토의 역사, 지도제작법, 지도사용법 등을 적어놓은 주기(註記)가 생략돼 있다.
이번에 환수한 지도는 목판본인 대동여지도의 한계를 동여도의 주기 내용을 필사해 보완한 최초의 사례로 확인되며, 대동여지도가 보급되면서 변용된 형태로 추정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번 유물은 총 23첩(목록 1첩, 지도 22첩)으로 구성돼 있으며 동여도의 형식을 따른 것으로, 일반적인 대동여지도는 목록이 따로 없으며 22첩으로 구성돼 있다.
우리나라를 남북으로 120리 간격으로 구분해 22층을 만들고, 각 층을 병풍식으로 접을 수 있는 첩으로 만든 것은 동여도와 대동여지도가 같다.
무엇보다도 가장 주목할 것은 동여도의 주기 내용이 대부분 필사돼 상세한 지리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백두산 일대가 묘사돼 있는 제2첩의 경우 대동여지도 판본에는 없는 ‘백두산정계비’와 군사시설 간의 거리가 필사돼 있다. 울릉도 일대가 묘사돼 있는 제14첩에는 대동여지도에는 기재돼 있지 않은 울릉도로 가는 배의 출발지 등의 내용이 필사로 적혀 있다.
세부적인 구성에서도 그동안 국내에서 확인된 대동여지도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대동여지도의 지도유설은 1첩에 판을 새겨 인쇄한 간인이 돼 있으나 이번 유물은 지도의 빈 공간에 필사돼 있으며 그 내용도 동여도의 것과 같다.
또한 대동여지도 판본에서는 2면에 걸쳐 인쇄돼 있던 강원도 삼척부와 울릉도 일대가 1면으로 축소돼 배치돼 있는 점은 동여도의 배치 형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공개한 대동여지도는 국내에서 최초 확인된 동여도의 주기 내용이 필사된 대동여지도 판본이며, 국내 소장된 대동여지도 갑자본과 동여도가 희소하다는 점 등으로 볼 때 조선의 지도 제작과 활용을 살펴볼 수 있는 연구 자료일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지리정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유로저널 노영애 선임기자
eurojournal03@eknews.net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