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원주 지광국사탑, 113년 만에 고향으로

by 편집부 posted Dec 08,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원주 지광국사탑, 113년 만에 고향으로

"국보 ‘원주 법천사터 지광국사탑’이 1,975㎞ 긴 유랑 끝에 113년 만에 복원을 마치고 고향 땅에 우뚝 섰다."고 한국 언론들이 앞다투어 보도했다..

지광국사탑은 승탑 전체에 걸쳐 코끼리 눈 무늬, 구름무늬, 넝쿨무늬, 불보살, 봉황, 신선, 구슬, 가릉빈가(불경에 나오는 상상의 새) 등 화려한 무늬가 돋보이는 승탑이다. 

가장 아름다운 승탑(僧塔)으로 평가받는 지광국사탑은 일제강점기인 1911년 처음 반출된 뒤 1,975㎞에 달하는 길고 긴 유랑 생활을 시작했다. 

서울 명동(1911~1912)을 거쳐 일본으로 반출되었지만, 조선총독부의 압력으로 다시 돌아왔다. 이때 조선총독부는 문화재 약탈과 불법 반출에 관한 나라 안팎의 비난이 거세지자 이를 잠재우기 위해 직접 운송비까지 내가며 찾아와 경복궁에서 열린 조선물산공진회에 내놓았다.

1374-문화 2 사진.png

▲ 경복궁에 있던 국보 ‘원주 법천사터 지광국사탑, ( 문화유산청 전재 )

이렇게 돌아온 지광국사탑은 6·25 때 폭격을 맞아 1만 2,000개로 조각났다가 1957년 시멘트로 땜질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땜질 부분까지 떨어지자, 보존 처리를 위해 2016년 해체돼 대전 국립문화유산연구원으로 옮겨졌고, 5년 동안의 전면 해체ㆍ보수 공사를 한 뒤 고향으로 돌아온 것이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과 원주시는 11월 10일 오랜 유랑 생활을 끝내고 원래 자리였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사터에 다시 세운 지광국사탑을 기려 복원 기념식을 개최했다.

​ 아름다운 지광국사탑이 이제라고 복원되어 고향으로 돌아온 것은 다행이다.

< 기사: 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제공 >

한국 유로저널 노영애 선임기자  yanoh@theeurojournal.com

유로저널광고

Articles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