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팽창주의 주장으로 유럽 및 북남미 지역 초긴장
그린란드의 매입과 파나마 운하 통제권, 캐나다를 미국에 복속화 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47대) 당선인이 그린란드의 매입과 파나마 운하 통제권을 주장하고 나서면서 미국의 팽창주의로 인해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분열에 대한 우려와 트럼프 당선인의 야욕 대상으로 지목된 곳에선 즉각 반발이 이어졌다.
유럽 현지 언론 유락티브 등의 보도에 따르면 1월 20일 취임식을 앞둔 트럼프 당선인은 1월 7일 기자회견에서 덴마크 그린란드의 매입, 파나마 운하 재확보, 그리고 멕시코만을 아메리카만으로 개명 등을 강조했다.
트럼프, 덴마크 그린란드 매입에 적극
먼저, 트럼프 당선인은 덴마크 그린란드의 매입이 미국의 경제 안보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며, 이를 주요 경제 정책으로 언급했다.
그는 기자회견 중 그린란드 통제 강화를 위해 군사적 또는 경제적 압박을 배제할 것인지에 대해 기자의 질문을 받자 "어떤 수단을 사용할 지는 불확실하지만 경제적 안보 확보를 위해 군사적, 경제적 압박 모두 필요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트럼프 당선인은 덴마크가 그린란드 매각을 거부할 경우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발언 수위를 높였다. 그린란드는 덴마크의 자치령이자 주민들이 유럽연합(EU) 시민권을 보유한 지역으로, 향후 트럼프 당선인이 군사적 압박을 가한다면 이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규정을 위반하는 심각한 문제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 본보 유럽 기사면 참고 >
트럼프, 멕시코만을 “아메리카만”으로 개명
또한, 트럼프 당선인이 멕시코만을 “아메리카만”으로 개명할 것이라는 발언에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 또한 "30년 후에도 멕시코만은 여전히 멕시코만으로 불릴 것"이라며 이러한 논쟁에 휘말리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17세기 고지도 이미지를 띄운 채 “북미 지역을 멕시코 아메리카로 바꾸는 게 어떨까”라며 “참 듣기 좋은 이름 같다”고 말했다. 멕시코만 이름을 ‘아메리카만’으로 바꾸자는 트럼프 당선인 언급을 반대로 받아친 것이다.
그는 미국 땅 대부분에 ‘아메리카 멕시카나’라고 표기된 점을 짚으면서 “17세기에도 멕시코만이란 이름이 존재했다. 이는 국제적으로도 통용되며 미국이란 나라가 생기기 전부터 확인되는 명칭”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파나마 운하 재확보해야
트럼프 당선인은 그린란드와 함께 파나마 운하 재확보 발언과 함께 멕시코만의 지명을 ‘아메리카만’으로 개명하겠다는 구상을 밝히며 양국에 큰 논란을 일으켰다.
트럼프 당선인은 파나마 운하를 그린란드와 함께 경제 안보를 위한 필수 자산으로 규정했으며 다시 미국의 통제하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파나마가 1999년 미국으로부터 운하의 통제권을 넘겨받아 독자적으로 운영해 온 만큼 이는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대해 하비에르 마르티네스-아차 파나마 외교부 장관은 "파나마 운하는 파나마 국민이 통제하며 앞으로도 계속 그렇게 유지될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리카우르테 바스케스 모랄레스 파나마운하청장은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중국이 운하를 운영한다는 (트럼프) 비난은 전혀 근거가 없다”며 “미국에만 통행료 특혜를 주면 국제법 위반으로 혼란이 빚어질 것”이라고 했다.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편입
또한, 이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당선인은 미국-캐나다 간 국경을 "인위적으로 그어진 선"이라고 표현하며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편입시키겠다는 방안을 또한 내놓았다.
트럼프 당선인은 캐나다산 제품 수입과 군사적 지원에 미국이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지만 실질적 이익이 없다고 비판했으며, 앞서 캐나다가 무역수지 불균형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취임 첫날부터 모든 캐나다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이에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교부 장관은 "캐나다는 강국이며 우리는 어떠한 위협에도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입장을 표명하며 강경 대응을 시사했다.
CNN은 “트럼프의 위협은 악의와 장난이 뒤섞인 형태로 나타났다”라면서도 “그의 21세기 신식민주의는 엄청난 위험이며 국제법과 정면으로 충돌할 것이 확실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동맹국에 대한 트럼프 당선인의 ‘괴롭힘’은 장기적으로 국제사회에서 미국을 소외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고 짚었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shkim@theeurojournal.com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