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옛’스러움 담아 ‘힙’ 하게 돌아온 ‘복고 문화’

by 편집부 posted Jan 30,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옛’스러움 담아 ‘힙’ 하게 돌아온 ‘복고 문화’

 ‘복고(레트로)’ 문화에 대한 호감도,'노래, 식품'순으로 높아져

‘복고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힙 트래디션’ 트렌드에 호감을 느끼는 소비자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3~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복고(레트로) 문화 및 ‘힙 트래디션’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10명 중 7명(72.9%)이 요즘 다양한 분야에서 복고(레트로) 컨셉이 등장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어린 시절 문화들이 복고문화로 재소환되는 것이 좋다(72.9%, 동의율)는 인식도 높은 수준으로, 복고문화가 단순히 과거의 추억을 되새기는 것을 넘어, 현대 사회에서 강한 문화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요즘 노래보다 옛날 노래가 더 듣기 좋고(68.4%, 동의율), 옛날 포장 그대로인 제품을 보면 한번쯤 사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68.3%)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는 등 복고풍 컨텐츠와 제품을 수용하는 태도 역시 자리 잡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1378-사회 1 사진.png

이처럼 복고 문화가 유행하고 있는 배경에는 행복했던 과거시절이 주는 안정감과 관련이 있어 보였다. 

전체 응답자의 상당수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은 과거보다 팍팍해진 것 같다(80.7%, 동의율)는 데에 높은 공감을 내비친 것으로, 사회가 불안할수록 옛 것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것 같다(70.8%)는 인식이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었다. 

과거를 그리워하는 것은 과거 행복한 기억이 있기 때문이란 응답도 79.9%에 달한 결과를 보여, 과거의 안정감과 따뜻함을 찾고자 하는 니즈가 복고문화 유행을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한편, 복고 문화 중 가장 호감을 느끼는 분야로는 복고풍 (옛날) 노래(40.4%, 중복응답)를 주로 꼽았으며, 복고풍 식품(33.4%), 복고풍 시대 콘텐츠(28.8%), 복고풍 패션(26.1%) 순으로 호감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전통 굿즈와 같은 복고풍 소품이 전 연령대에서 비교적 고르게 인기를 얻고 있는 모습이 눈에 띄는 결과였다. 

복고풍 소품을 통해 전통적인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세대를 아우르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한국 유로저널 노영애 선임기자   yanoh@theeurojournal.com

유로저널광고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