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기업,인도포함 아시아 진출 심상치 않아 최근 일본기업이 인도을 비롯한 동남아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의 대규모 투자로 인도차이나 반도의 사회인프라 건설은 한층 더 속도를 내며 경제부흥에 크게 기여하고 일본의 동남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도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인도 일본대사관에 따르면 인도에 진출한 일본기업은 2006년 초 267개사에서, 2011년 말 812개사로 3배나 증가했다. 일본기업들의 對인도 투자규모도 매년 급증하고 있는데,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에는 전년대비 60% 증가한 24.9억 달러를 투자했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의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기업 중 86%가 2012년 인도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응답했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인도시장에 대해 비관적으로 판단했던 일본기업들은 최근 인도 내수시장이 급성장세를 보임에 따라 큰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기업들이 휴대폰과 가전 등의 분야에서 맹활약을 보이자, 불안한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인도 진출전략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부 주도의 양국 협력체제를 적극 활용한다는 점이다. 일본 정부는 연간 2,000억엔 이상의 ODA자금을 인도에 지원하며 인프라개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작년 인도를 방문한 노다총리의 델리-뭄바이 산업회랑(DMIC)프로젝트에 45억불 투자 발표 등 델리-뭄바이 화물전용철도(DFC)에도 총 프로젝트비용의 80%인 3,250억루피(약 8조1천억원)를 일본 ODA자금으로 사용한다. 최근에는 인도 인프라진출의 방식이 더욱 과감해지고 있는데, 올해 1월 일본 경제산업성 에다노 장관은 타밀나두 州정부와 인도 남부 거점인 첸나이에 일본 전용공단 및 미니신도시를 조성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일본식의 상업시설, 학교, 병원, 주거시설 등을 개발하는 인프라수출 사업이다. 일본기업은 리스크를 줄이고 인도 파트너와의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M&A나 합작투자 방식을 통해 인도 기업의 유통망·생산시설·노하우·브랜드 등을 공유하고 비즈니스 기반을 조기에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올해 초에는 미쓰비시 전기(Mitsubishi Electric)가 인도 메셍 그룹(Messung Group)을 인수하기도 했다. 최근 발효된 일본·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인도는 통신·건설·광고 등 86개 분야를 개방했으며 투자자 보호제도를 마련해 투자환경을 개선했다. 또한 수입액 기준 90%에 달하는 시장이 개방돼 관세가 10년에 걸쳐 철폐될 예정이므로 양국 간의 무역규모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일본의 적극적인 움직임을 반영하듯, 인도에 진출한 일본기업들의 투자규모가 금액기준으로 한국의 9배에 달하고 있다. 최근 일본기업들은 인도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이 진출에 성공한 자동차·전자·인프라 분야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일-메콩 정상회의는 2009년에 아세안 지역의 국가 간 개발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시작됐으며 태국,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등 메콩강유역 5개국과 일본이 참여했다. 일본의 역할은 지역 개발을 위한 지원이며, 5개국 중 비교적 경제적으로 발전한 태국은 일본과 더불어 공동 공여국으로 참여했다.
금년 1사분기 동안 베트남에 약 23억 달러 규모를 지원한 일본의 직접투자와 포괄적 프로그램의 ODA를 통해 베트남은 부품 산업 육성과 경제회복, 삶의 질 향상을 모색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JICA 베트남 사무소에 의하면, 일본은 지난 2011년 한 해 동안 베트남에 총 2,700억엔(약 33억 8천만 달러) 규모의 거의 무이자에 가까운 저리 이자를 통해 ODA를 공여(양허기준)하여 단일국 기준 최대 금액을 기록했다. 이 ODA 규모는 2010년도 일본의 對베트남 ODA 규모 1,456억엔(약 16억 6천만 달러) 대비 약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최근까지 일본의 ODA는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에 집중되었는데, 금년부터 베트남인들의 보건, 위생 등 생활수준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사업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또한 소프트웨어 지원도 계획하고 있는데, JICA는 베트남 교통부, 보건부, 농업개발부에 전문가를 파견하여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모색하고 일본의 경험을 전수할 예정이다.
일본, 한국은 대필 투자 1,2위 국이면서, 두 나라 입장에서 필리핀은 인니, 베트남(VIPs)과 함께 동남아 3대 투자대상국이라는 공통점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은 수십 년째 對 필리핀 최대 투자국, 최근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對 필리핀 투자, ODA 규모/비중은 오히려 늘어나는 상태이다. 2011년 필리핀 전체 직접투자유치액은 2,561억페소(약 61억불)로 전년비 31% 증가, 1996년 이후 최대 규모로, 이중 일본으로부터 투자 비중이 30.2%로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2011년 3월 후쿠야마 지진 여파로 안전문제에 더해 일본내 50기 원전중 가동중인 것은 3기에 불과, 에너지 다소비 기업의 해외진출이 불가피할 수 밖에 없어,일본 기업의 해외진출이 더욱 확대 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외 중국내 심각한 구인난, 외국인투자환경 악화도 동남아로의 기업 이전을 촉진하고 있다. 일본대외무역기구(JETRO)는 최근 일본기업의 對필리핀 투자 관심이 제조업과 함께 도로, 수자원, 에너지, 재난방지 등 인프라 개발에 집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인도차이나 반도의 사회인프라 개발에 깊숙이 관여해 자국기업들의 지역진출을 지원한 일본은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들에 대규모 재정지원계획 발표를 통해 향후에도 아세안과의 경제유대를 지속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