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내 하이브리드 자동차 해외에서 호평받아

by eknews posted Jun 06,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국내 하이브리드 자동차 해외에서 호평받아


일본,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뒤늦게 개발 경쟁에 뛰어든 국산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후발 주자임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인 특허기술로 높은 진입 장벽을 넘어 해외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

1997년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세계 최초로 ‘프리우스’를 출시한 것을 시작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개발 경쟁이 시작되었으나, 우리나라는 2009년에 현대차가 아반떼 하이브리드를 시판함으로써 도요타자동차에 비해 12년 늦게 상용화에 성공하였다. 이후 계속된 개발 노력의 결과, 2011년 출시한 쏘나타 하이브리드는 미국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에서 판매량 4위에 올라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했는데, 이러한 원동력은 특허로 인정받은 뛰어난 기술력이 바탕이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하이브리드 자동차 분야의 특허출원 3,328건 중 우리나라의 75%(2,489건)에 이어 일본이 14%(458건)를 출원함으로써 미국, 유럽에 비하여 많은 출원 건수를 보였고, 반면 중국은 5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첨단기술에 속하는 하이브리드 기술에서는 선진국과 상당한 격차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857-경제 3 ekn 사진.jpg


  특히, 현대차가 전체 출원 중 41%(1,367건)를 차지하여 특허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이 가장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어 한라공조, 현대모비스, 만도 등 부품 업체들도 특허선점을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업체들의 기술분야별 동향을 살펴보면, 엔진, 모터 등의 핵심 기술인 동력장치와 관련된 기술의 출원이 2002년(54건)에 비해 2011년(163건)에는 약 3배 증가하면서 전체 출원 중 3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이어서 차량제어기술, 차량구조, 변속장치의 순으로 많은 출원을 보였다. 

  한편, 특허출원의 양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기술의 질적인 면에서도 국내 자동차 업체들은 선진국에 비하여 차별화된 특허기술들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주요 핵심 특허기술들을 살펴보면, 현대차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병렬형 하드타입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원천 특허기술로서, 동력장치에는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충전시 발전 제어방법이 있고, 차량제어 기술로는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방법이 있으며 변속장치로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기 등이 있다. 

또한, 부품기술로서 한라공조의 배터리 쿨링 시스템, 현대모비스의 회생 제동장치 및 만도의 전기모터가 장착된 차량의 회생 제동방법 등이 있다. 특히, 현대차가 개발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는 고속 주행 시에도 모터의 단독 작동이 가능하도록 모터와 엔진 클러치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기술로 지난해 특허기술상을 수상하였다. 


한국 유로저널 김해솔 인턴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