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저널 단독보도 재독동포 김영상박사 북한방문기
60년만에 다시 찾은 내 고향 북녁땅
(4)
김영상박사(81)는 개성에서 출생해 당시 6년제인 개성중학교를 다니던 중 6.25를 만났다. 18세의 나이에 미 보병 25사단 예하 35연대 군속으로 종군하면서 가족과 헤어진 것이 오늘에 이른다. 김씨는 서울공대를 졸업한 후1958년 유학길에 올랐다. 독일 하노버 공대(석사)와 슈투트가르트 공대에서 기계공학을 전공(공학박사)했다. 김박사는 MAN회사, Hoechst 화학회사 등 독일 유명 기업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1994년 정년 퇴직했다. 그는 재독한국과학기술자협회장, 프랑크푸르트 한국문화회관 대표를 역임했고, 현재 거주지인 하터스하임(Hattersheim)의 외국인 후원정책팀 고문직을 맡아보고 있다. 독일인 아내 사이에 두 아들을 두었다. 이 기행문은 일기형식으로 꾸며졌으며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실을 왜곡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취재기자(김운경)가 정리했다.
5월8일(화)
묘향산에서 이른 아침식사를하고 8시에 평양을 향해 출발했다. 곳곳에 패인 구멍 투성이인 그 고속도로를 다시 가야한다고 생각하니 끔찍했지만 달리 방도가 없었다. 우리는 마음을 다잡아 먹었다. 묘향산으로 올 때 튀어 오르는 버스의 충격을 줄이는 기술을 나름 체득한 터이라 돌아 가는 길은 처음보다는 덜 고통스러웠다. 그 방법이란 엉덩이를 버스 시트에서 약간씩 들어주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거다.
도로 변 들녁에 일단의 농부들이 모여 일을 하고 있었다. 십 수마리의 양들이 그들 가까이에서 한가롭게 풀을 뜯고 있었다. 평화롭기만 한 전형적인 농촌 모습이었다. 하지만 겉모습과 달리 급수문제가 심각하다. 1990년대만해도 전기를 이용한 양수기를 사용했는데 그 후 전기 공급이 원활치 않자 아얘 펌프 시설을 폐기해 버렸다. 그리고 수 년전에 묘향산 아래 청천강에 댐을 건설하고 강물을160km나 되는 긴 운하를 통해 끌어들여 약 3 만 평방미터의 전답에 물을 대고 있었다. 전답의 반은 곡물 재배용이고, 나머지 절반은 야채와 과일 등 밭작물에 이용된다고 한다.
한참 오다 보니 나무연소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군용트럭이 힘겨운 듯 끙끙거리며 가는 것이 보였다. 트럭은 결국 고개길에 멈춰서 버렸다. 모터의 힘이 약해 언덕을 오르지 못하는 것 같았다.
만수대
평양에 돌아오자마자 우리는 '만수대'로 안내됐다. 이곳에 그 유명한 김일성 김정일 부자의 동상이 있다. 1972년 김일성은 광장 위쪽 언덕에 높이 20m 의 거대한 자신의 동상을 만들었다. 그리고 수 년전 김정일 사망 후 북한은 같은 크기의 동상을 김일성 오른쪽에 세웠다. 최근 김정일 동상이 점퍼 차림으로 바뀌었다고 하는데 2012년 내가 방문했을 때만 해도 두 부자는 외투를 입고 있었다. 그리고 둘 다 모두 안경을 쓰고 있었다. 내 기억으로는 분명히 2003년에 방문했을 때 김일성 동상엔 안경이 없었다. 우리는 안내인의 지시에 따라 5 유로짜리 조화를 사서 동상 앞에 놓고 허리를 굽혀 예를 갖췄다. 2003년엔 같은 돈으로 생화를 살 수 있었다. 북한 물가도 10년전에 비해 많이 올랐다는 것을 실감했다. 광장엔 북한 전역에서 단체로 온 수 백, 수 천명이 줄지어 서서 순서를 기다리고 있었다. 대부분 남자는 공산당원 정복 차림이었고 여자는 한복을 입었다. 그들은 모두 동상 앞 제단에 꽃을 바친 후 경건한 모습으로 엄숙한 표정으로 깊은 절을 했다. 만수대에서 내려다보니 너른 평양 시내가 한 눈에 들어왔다.
평양 지하철
평양 지하철은 북한이 자랑하는 시설로 외국인들에게 꼭 보여주는 필수 관광코스다. 북한 지하철은 구 소련의 지하철 시스템을 모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기선이 공중에 있지 않고 소련처럼 선로 밑에 설치돼 있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마치 디젤 기동차처럼 보인다. 또 유사시 반공호로 사용되는 만큼 지하 100-150m땅 속 깊이 건설됐다.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급경사의 지하를 한참 내려가면 지하역이 나오는데 그 규모화 화려함이 놀랍다. 수 백개의 크리스탈 등에서 뿜어 나오는 오색 빛. 그리고 이와 어우러지는 이국적이면서도 웅장한 느낌을 주는 역사. 궁전같이 지어 놓은 지하철역의 화려함은 이곳이 북한의 천국같다는 생각마저 들게 했다. 지하 속에 건설된 역 구내는 여름엔 서늘하고 겨울엔 따뜻해 이용자들에게 안락함을 준다. 그런데 우리를 또 한 번 놀라게 한 것은 지하철 역 사면 벽과 기둥, 천정에 이르기까지 그려 넣은 주체와 공산체제를 찬양하는 대형 그림들. 정말 어쩔 수 없는 나라다.
총연장 약 50km 정도(2003년 기준)의 평양 지하철은 모두 두 개 노선, 부흥역 - 붉은별역 노선과 광복역 - 락원역 노선이다. 서울과 비교하면 노선 길이도 짧고 노선 수도 비교가 안될 만큼 적다. 우리는 지하철을 직접 타 보았다. 열차를 보니 도색만 새로 했을 뿐 1998년 방문했을 때 탔던 것과 같은 것으로 보였다. 북한은 1950년대 구 동독에서 지하철을 기증받았다. 당시 동독은 철도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었는데 이때 낡은 열차를 북한에 기증했던 것. 기관차는 전면이 사각형 형태로 구형이다.
우리 일행은 지하철 시승을 한 후, 다시 지상으로 올라와 대동문 쪽으로 이동했다. 대동강과 대동문 사이에 있는 큰 나무들 그늘 밑에 10여명의 젊은 화가들이 근처의 풍경을 그리고 있었다. 강 언덕 그늘 아래에는 7-8명의 젊은 남녀 군인들이 아코디온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고, 다시 10m 정도 떠러진 곳에 10여명의 남녀학생들이 이번엔 기타 반주에 맞춰 흥겨운 민요를 합창하고 있었다. 젊은 세대들의 구김살없는 너무도 자연스러운 모습이었다. 우리는 두 세 명씩 나뉘어 이들 젊은이들 사이를 왔다갔다 하면서 산책 겸 구경을 했다. 멀리 대동강으로부터 100m이상으로 솟구쳐 올라가는 대형 분수와 주체탑이 보였다.
전쟁박물관
점심을 먹은 후 전쟁박물관을 방문했다. 주로 6.25 전쟁 때 노획한 미군의 장비를 전시하고 있었다. 전시품들은 전차, 트럭, 지프, 구급차 등 내 눈에 익은 것들이었다. 일부 장비들은 크게 파손된 형태 그대로 전시돼 잔혹했던 전쟁터가 떠오르기도 했고 전쟁의 상흔을 보는 것 같기도 해 마음이 언짢았다. 특히 북한이 크게 자랑하는 것은 1968년1월 동해상에서 나포한 미해군의 ‘푸에블로호’, 북한은 이 군함을 노획물로 전시하고 있었다. 또 당시 함께 체포된 미군 병사들의 사진과 그들의 영문 자술서를 확대해 벽에 걸어 두었다. 하지만 이 박물관은 더 이상 인기가 없는 듯, 우리 이외에는 아무도 구경하는 사람이 없었다.
영화세트장
북한이 자랑하는 것 중에는 영화세트장도 있다. 세트장은 한국을 비롯해 중국, 미국, 일본, 유럽, 인도상가 등이 실물크기로 세워져 있었다. 한국, 미국, 일본 세트장은 자본주의 상징인 은행과 전당포, 카지노 등으로 구성돼 있었다.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우리가 방문한 날이 마침 휴일이어서 세트장 전체는 텅 비어 있었고 사람은 커녕 강아지 한마리 없이 썰렁하기 그지 없었다. 그래도 세트장 책임자가 나와 수박 겉핥기라도 대충 시설을 소개했다. 그는 우리를 깨끗하고 깔끔하게 정리된 커피숍으로 안내했다. 모델처럼 늘씬하고 멋진 젊은 두 여성 종업원이 우리가 주문한 커피와 오미자차를 내왔다. 나는 이런 기회가 있을 때마다 관광 안내인과 운전기사, 관계자들에게 커피나 음료수를 베풀었다.
인민중앙도서관
북한의 인민중앙도서관은 1982년에 건축됐으며, 건물규모는 대지 십만 평방미터에 서고 600개, 열람실 6000석을 갖추고 있었다. 누구나 수시로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컴퓨터 실에는 100여대의 컴퓨터가 설치돼 있었으며 우리가 방문했을때 약 20명의 젊은이들이 있었다. 한 여성 열람자는 요리법을 찾고 있었으며 한 남성은 전자회로를 공부하고 있었다. 우리 일행 독일인 중 한 사람이 인터넷으로 Google을 접속하려고 애써봤으나 허사였다. 컴퓨터는 서방세계와의 연결을 거부했다. 북한 인터넷은 폐쇄적이었다.
<다음 호에 계속~>
글: 김영상박사, 사진: 부인 김일제
정리: 유로저널 프랑크푸르트 김운경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