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전체

세계 최고 나라는? THE BEST COUNTRIES IN THE WORLD

by 유로저널 posted Aug 25,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extra_vars1 774_05_01774-3.jpg|||774_05_01774-4.jpg|||774_05_01774-5.jpg|||774_05_01774-6.jpg||||||||||||
extra_vars2 |||||||||||||||||||||||||||||||||||||||||||||||||||||||||||||||||||||||||||||||||




뉴스위크지 선정 ‘세계 베스트국가’ 종합 15위를 차지한 한국의 5개 부문(교육, 건강, 삶의 질, 경제적 경쟁력, 정치 환경)별 순위. 


 
(윗줄 왼쪽부터) 만모한 싱 인도총리,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 브라이언 코웬 아일랜드 총리, (아랫줄 왼쪽부터)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실바 브라질 대통령, 이명박 대통령, 엘렌 존슨-설리프 라이베리아 대통령,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사우디 국왕, 모하메드 나시드 몰디브 대통령. (뉴스위크 선정 세계 10 대 지도자)

 

세계 최고 나라는? THE BEST COUNTRIES IN THE WORLD
뉴스위크지 평가 : 한국이 전체 15위, 아시아 2위, 인구 1 천만명이상인 국가들중 8 위,


월드컵, 올림픽, 심지어 미스 유니버스 선발대회 등은 잊어버리고 지금 이 순간 어느 나라에서 태어나야 건강하고, 안전하고, 적절히 부유하고, 신분 상승이 가능한 삶을 영위할 기회가 가장 많을까?

세계 시사전문지인 뉴스위크지(Newsweek) 8월 25일자가 한국에서 태어나면 조사 대상 100 개 국중에서 ‘세계 베스트 국가’ 순위 전체 15 번째로 라고 평가해 이는 아시아에서 일본(9위)에 이어 두 번째이다.

이 15 개국 내에는 호주(4위), 캐나다(7위), 일본(9위), 미국(11위), 뉴질랜드(13위)를 제외하고 유럽국이지만 유럽국가들중에서도 독일(12위), 영국 (14위),네델란드(8위)를 제외하고 인구 수가 대부분 1 천만명 내외인 국가들이다.

또한 인구 수 1 천만명이 넘는 국가들중에서는 한국은 호주, 캐나다, 네델란드, 일본, 미국, 독일, 영국에 이어 8 위에 속하게 된다.
이는 프랑스, 벨기에,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스페인, 이탈리아 등 보다 삶의 질이 앞서 있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해외에 거주하는 특히 유럽 내 거주하는 한국인들 입장에서 본다면 문화적, 언어적, 인종적 등의 차이로 받는 스트레스를 고려한다면 최소한 거주국이 받는 평가보다 더 하락할 수 밖에 없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세계의 존경받는 10대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선정됐다.

***유럽 내 인구수 참고: 벨기에: 1058만명  , 룩셈부르크 : 48만명, 핀란드: 518만명 ,스웨덴 : 883만명, 스위스: 730만명,덴마크:536만명, 노르웨이: 460만명,네델란드:1630만명


‘오마하의 현인’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미국 억만장자 워런 버핏은 이런 말을 즐겨 했다. “내게 좋은 일이 있었다면 미국이라는 나라에서 때를 잘 만나 태어났다는 사실일지 모른다.” 옳은 말이다. 지구상의 어느 국가에서나 뛰어난 인물이 나오겠지만, 특정 국가들은 특정 시점에서 다른 나라보다 국민에게 훨씬 좋은 기회를 훨씬 많이 준다. 오늘날에 특히 무시하기 어려운 문제다. 부와 권력이 서에서 동으로 이동하고 탈위기의 새로운 세계 질서가 계속 만들어지면서, 버핏처럼 오마하에서 태어나 자란다는 사실이 지금은 과거처럼 크게 유리하게 작용한다고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 상황을 감안해 뉴스위크지는 사상 최초로 세계 ‘최고의 나라’ 특집을 준비했다. 이 잡지는 너무도 간단하면서도 너무도 복잡한 질문의 답을 찾아보려고 했다. 지금 이 순간 어느 나라에서 태어나야 건강하고, 안전하고, 적절히 부유하고, 신분 상승이 가능한 삶을 영위할 기회가 가장 많을까?

많은 기구나 기관이 국가 경쟁력의 여러 면을 측정하지만 그 모든 면을 종합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뉴스위크지는 국가적 만족도(wellbeing) 측정을 교육, 건강, 삶의 질, 경제적 경쟁력,정치적 환경 등 다섯 가지 범주를 선택해 수 개월에 걸쳐 그 범주 안에서 국가들을 평가한 다음 각 가중치를 적용해 톱100 국가의 종합 순위를 매겨 발표했다.
그동안 뉴스위크지는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조셉 E 스티글리츠 컬럼비아대 교수, 매킨지 앤 컴퍼니의 바이런 오거스트 사회부문 책임자, 제임스 매나이카 매킨지 글로벌 연구소장, 조디헤이만 맥길대 건강사회정책 연구소장, 겅샤오 브루킹스-칭화 공공정책 연구소장 등이 참여한 자문단의 도움을 받았다고 전했다.


세계 15위 한국, 교육·경제 부문 높은 점수

뉴스위크지는  교육, 건강, 삶의 질, 경제적 경쟁력, 정치적 환경 등 5개 부문을 종합평가한 결과, 한국이 평균 83.28점을 얻어 15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 사진 6 &&&&&&&&&&&&&

 

 

뉴스위크지가 분류한 5개의 평가항목 중 한국은 특히 ‘교육’과 ‘경제적 경쟁력’ 부문에서 각각 세계 2위와 3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교육 부문은 ‘읽고 쓸 수 있는 능력’과 ‘평균 학교 교육기간’ 등을 통해 평가되며, 이 부문에서 96.72를 얻은 한국은 100점을 얻은 핀란드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이 잡지는 “한국은 교육의 질과 학생들의 열정으로 유명하다. 한국 학생들은 중등교육만이 아니라 대학까지 마칠 가능성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편에 든다”며 선정 이유를 밝혔다.
이어 “지금은 상상도 하기 어렵지만 1960년대만 해도 한국의 국가 부는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수준이었다”며,“지금의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 중 하나다. 그 과정에서 교육 투자가 큰 몫을 했다”고 설명했다.
경제성장률과 국내총생산에서 서비스와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 사업 환경 등을 통해 평가하는 경제적 경쟁력도 73.02점으로 싱가포르와 미국에 이어 전체 국가 중 3위를 기록했다.
뉴스위크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딛고 빠른 경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한국의 저력을 높이 평가하면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선진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인 5.8%를 기록 할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경제연구소 이동훈 수석은 “조사기관마다 통계를 집계하는 방식이 제각각이긴 하지만 공신력 있는 기관이나 잡지에서 발표하는 순위는 국가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그런 의미에서 이번 결과는 국제사회에서 한국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지고 있다는 의미 있는 결과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 ‘존경받는 지도자 10인’에 올라

 

그런가 하면 세계적으로 존경받는 10명의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이명박 대통령이 꼽혔다. 이명박 대통령을 7번째로 소개한 뉴스위크는 ‘국가경영 CEO 이명박’이라는 제목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이 대통령의 경영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이 기업의 CEO였던 경험을 살려 한국주식회사가 역경을 이겨내도록 인도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이 잡지는 또 오는 11월 서울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의 주요 의제가 또 다른 글로벌 경제위기를 방지하는 것인 만큼, 이 대통령의 능력이 다시 한번 발휘될 것으로 기대했다.


&&&&&&&&&&& 사진 7 &&&&&&&&&&&&&

삼성경제연구소 이동훈 수석은 “세계적인 금융위기 국면에서 보여준 한국의 위기극복 능력과 기업 CEO 출신 대통령의 리더십이 좋은 성적의 주 요인이 된 것 같다”며, “이는 ‘한국이란 나라의 숨은 저력’을 세계인들에게 각인시키는 효과는 물론, 오는 11월 열리는 G20 정상회의와 함께 국가 이미지를 높이는 데에도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삶의 질은 상대적 낮은 점수…개성있는 국가 성공모델 개발해야

아쉬운 점도 뒤따랐다. 한국은 소득 불평등과 실업률, 성차별 등으로 평가하는 삶의 질(29위·77.02점)이나 건강(23위·87.93점), 정치적 환경(19위·81.72점) 부문은 모두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이는 국가 규모, 경제력 등과 함께 이제 삶의 질과 같은 소프트웨어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에서 무시할 수 없는 요소가 됐음을 시사하고 있다.

뉴스위크지는 이와 관련, “실제로 중국이나 브라질, 터키 같은 신흥시장 대국들의 활력을 부인할 수 없지만 실제 통계를 비교해 보면 슬로베니아나 에스토니아 같은 작은 나라에 종종 뒤지는 경향을 나타냈다”며, “이런 나라들이 국민 만족도의 전체 수준을 개선하는 데 힘이 적게 들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은 교육부문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교육지수는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한국 학생들의 하루 평균 공부 시간은 평균 7시간 50분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 공부하는 청소년’에 올라 있다는 사실도 간과해선 안 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뉴스위크지는 “이번 시도를 통해 드러난 가장 중요한 점은 국가적 성공의 유일한 모델은 없다는 사실”이라며, “승자들은 각자의 독특한 방법으로 나름대로 역동적이고,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다양한 방법을 개발해냈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도자들과 정책입안자들은 앞으로 더 나은 점수를 얻으려고 애쓰면서 바로 그런 점을 명심해야 할 듯하다”고 전했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1 2 3 4 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