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60년만에 다시 찾은 내 고향 북녁땅 (9)

by eknews08 posted Mar 26,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유로저널 단독보도 재독동포 김영상박사 북한방문기 

60년만에 다시 찾은 내 고향 북녁땅 (9)


김영상박사(81)는 개성에서 출생해 당시 6년제인 개성중학교를 다니던 중 6.25를 만났다. 18세의 나이에 미 보병 25사단 예하 35연대 군속으로 종군하면서 가족과 헤어진 것이 오늘에 이른다. 김씨는 서울공대를 졸업한 후1958년 유학길에 올랐다. 

독일 하노버 공대(석사)와 슈투트가르트 공대에서 기계공학을 전공(공학박사)했다. 김박사는 MAN회사, Hoechst 화학회사 등 독일 유명 기업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1994년 정년 퇴직했다. 그는 재독한국과학기술자협회장, 프랑크푸르트 한국문화회관 대표를 역임했고, 현재 거주지인 하터스하임(Hattersheim)의 외국인 후원정책팀 고문직을 맡아보고 있다. 독일인 아내 사이에 두 아들을 두었다. 이 기행문은 일기형식으로 꾸며졌으며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실을 왜곡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취재기자(김운경)가 정리했다.

필자 김영상박사.JPG
필자 김영상 박사

아아~ 내 고향 개성

우리 일행은 판문점을 출발해 개성으로 향했다. 고향으로 간다니 마음이 설렜다. 개성 시내에 도착하자 안내원 K가 식당까지 걸어가자고 했다. 나는 기뻤다. 고향의 거리를 걸어 볼 수 있다니 이게 웬일인가 싶었다. 주로 버스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시내를 걸어다닐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었다. 안내원의 제안에 독일인들도 반색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개성상인'이란 말이 생겨날 정도로 개성은 원래 상업이 융성한 도시였으며 특히 고려인삼의 본산으로 유명했다. 하지만 그 동안 공산 치하에서 부분적으로 변한 곳들이 있었다. 시내 중심에 넓고 긴 길이 새로 만들어졌고 길 위 쪽에 예전엔 없던 언덕과 그 곳에 10m가 넘는 김일성 동상이 세워져 있었다. 김일성이 개성 시내를 내려다 보고있었다. 이 도로를 건설하기 위해 개성의 상징인 남대문을 수 미터나 옮겨야 했다. 


개성시내 전경.JPG

개성시내 전경


그러나 대부분의 거리의 모습은 예전과 특별히 달라진 것이 없어 보였다. 초가들이 많았고 군데군데 2-3층 건물들이 보였다. 가옥들을 보니 60년전 그대로였고 수리도 하지 않은 듯 초라하고 낡아보였다. 지난 2003년 나와 아내는 6.25때 헤어졌던 가족을 만나기 위해 북한을 방문했었다. 당시 막내 아우는 개성시 관훈동에 살고 있었고, 우리는 평양 청년호텔에 묵고 있었는데 정작 동생네 가족과 상봉한 곳은 평양도 개성도 아닌 그 중간 쯤 되는 사리원이었다. 개성에 사는 동생집을 직접 방문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런 경험이 있는 터라 이번 여행에서 개성 방문 일정이 있다는 걸 알고는 있었지만 개성 시내를 걸어본다는 것은 감히 상상도 할 수 없었다. 그렇기에 안내원 K가 더욱 고마웠다. 북한 당국이 동생을 만나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짐작을 하면서도 혹시나 하는 생각에 K에게 개성에 가면 동생을 5분만 만나게 해달라고 넌즈시 청을 넣었다. 하지만 K는 “특별허가 없이는 절대 안됩니다.” 라며 단호하게 거절했다. 모든 활동을 일일히 상부에 보고하고 허락을 받아야 하는 사회, 바로 북한이었다.
우리 여행팀은 2-3명씩 짝을 지어 걸었다. 길을 지나는 사람들이나 동네 사람들이 호기심 어린 시선으로 우리를 처다보았다. 나는 이곳 어딘가에 동생이 살고 있겠거니 생각하며 만나지는 못해도 사는 동네라도 보고 싶어 길가는 사람들에게 관훈동이 어디에 있는지 물었다. 한 사람이 왼쪽으로 10분 정도 더 가면 된다고 했다. 가까이 간것 같다 싶어 또 다른 사람에게 물었더니 이번엔 오른쪽으로 20 분 정도 더 가보라고 했다. 결국 관훈동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지 못하고 시간만 허비했다. 하지만 내가 관훈동 가까이 지나고 있었다는 사실은 분명했다. 끝내 동생이 사는 집도 보지 못한 채 지나쳐야 하는 내 처지가 너무 슬프고 가슴이 아팠다. 형이 가까이 왔다 간 것을 알면 동생은 또 얼마나 서운해 할까. 나는 동생에게 편지로라도 이번 북한여행을 알리지 말아야겠다고 마음먹었다. 


개성 남대문.JPG

개성 남대문


우리는 개성민속촌에 도착했다. 옛 기와집 단층가옥들이 줄지어 들어서 있었다. 집 전체가 깨끗하고 옛모습 그대로였다. 하지만 세면장과 화장실은 서양식으로 개조되어 있었다. 서양인 관광객들이 좋아할 한옥마을이었다. 온돌방인 만큼 당연히 침대는 없었다. 우리 일행이 식당에 도착하니 벌써 상이 차려져 있었다. 한 사람 앞에 하나씩 밥상이 놓여있었는데 상이 낮았다. 무릎을 굽혀 앉거나 양반다리를 해야 했다. 서양인들의 긴 다리가 문제였다. 다리를 상 밑으로 뻗을 수도 없을 만큼 낮았기 때문에 독일인들은 다리를 옆으로 구부려 겨우 자세를 잡았다. 아마도 그 불편한 자세로 얼마나 즐거운 식사를 할 수 있을지 마음이 쓰였다. 


개성식 13첩 반상.JPG

개성식 13첩 반상


작은 접시에 담아내온 반찬이 아마도 20여가지는 넘을 듯했다. 우리가 먹은 것은 전통 개성음식. 오랜만에 고향의 음식을 대하니 감개가 무량했다. 모두들 양껏 잘 먹었다. 점심식사 후 역사 박물관을 구경했다. 옛 성균관 안에 고려시대의 역사서적과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성균관에 와보니 내 조부께서도 성균관 관장을 지내셨다는 기억이 떠올라 웬지 친근해 보였다. 

개성에는 유적지가 제법 많다. 고려시대 왕궁터인 만월대가 있고 특히 충신 정몽주가 끝까지 고려를 지키다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에게 죽음을 당했다는 선죽교가 유명하다. 또 서울처럼 개성 시내에도 14세기에 축조된 남대문이 있다. 이 외에 헌화사 7층 석탑과 고려시대 첨성대가 있다. 첨성대는 개성시 송학동 고려 궁터인 만월대의 서쪽에 있다.

5월12일(토)
원산을 거쳐 금강산으로


전날 개성을 관광하고 평양으로 돌아온 우리는 아침 일찍 금강산을 향해 다시 호텔을 나섰다. 해수욕장과 항구로 유명한 원산을 지나 해안가를 따라 남쪽으로 쭈욱 내려가면 금강산에 도달한다. 거리는 대략 450km. 지금까지 했던 여행 중 가장 긴 여정이었다. 이곳 고속도로 역시 상태가 형편없었다. 평양-개성간 도로보다 더 험해서 전혀 즐거운 여행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버스는 우리를 아랑곳하지 않고 계속 달리기만 한다. 산이 깊어가면서 군대차량이 자주보였다. 군트럭마다 인민군이 가득했다. 높은 산, 깊은 계곡이 겹치면서 경치는 더욱 아름다워간다. 큰 고개를 하나 넘으니 좌우에 넓은 농경지가 나타났다. 논밭 가상자리에는 붉은기가 꽂혀있고 백 여명의 농부들이 삽과 괭이로 밭둑을 보수하고 있었다. 그런데 논밭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모두 여자다. 남자들은 다 어디로 갔는지…


북한 선전문구.JPG

북한 선전문구


산길과 터널을 지나 얼마큼 갔는지 신개, 옥산 마을 표지판이 보였다. 우리는 투명한 청록색 물이 도도히 흐르는 강가의 찻집에서 휴식하기로 했다. 우리 외에는 손님이 없었다. 커피를 주문했으나 커피가 없다하여 오미자차를 마셨다. 북한에서는 오미자차를 주로 마시는 것 같았다. 산 속에 위장한 탱크 포탑이 군데군데 보이는 산 속을 또다시 달렸다. 한참을 가다가 팔각정 휴게소에서 잠시 쉬는 중이었다. 번쩍번쩍 윤이 나는 찝차가 주차장으로 들어오는 것을 물끄럼히 보고 있었다. 차가 서자마자 사병 한명이 급히 내려 뒷 문을 열어주자 배가 나온 북한군 3성 장군이 내린다. 그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자신을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눈치챘는지 찝차 앞에서 군복과 군모 그리고 훈장까지 가다듬더니 관광객들을 향해 와서 사진 찍으라는 제스쳐를 취했다. 그러자 이 기회를 놓칠새라 수 십명이 그에게로 돌진해 마치 사진기자들처럼 셔터를 눌러대기 시작했다. 이런 모습은 상상도 못했던 것이라 나는 또 한번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북한군 3성 장군.JPG

북한군 3성 장군


사실 북한에서 군인을 보는 것은 일반 시민 보는 것 만큼이나 흔한 일이다. 어딜 가나 군복입은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누구나 북한을 군사국가라고 생각할 것이다. 북한의 군경 계급체계를 모르는 우리는 군복을 입은 사람이 군인인지 경찰인지도 분간을 못했다. 안내원 K가 설명해주었다. 견장의 바탕색이 빨간색이면 군인이고 노란색이면 경찰이라고 했다. 인민군 사병의 의무복무 기간이 2003년까지만 해도 8년이 였는데 지금은 3년으로 엄청나게 단축되었단다. 이 말을 들으며 나는 아아 이렇게 남북한의 군복무 기간이 단축되는 걸 보니 이대로 계속 나간다면 머지않아 우리도 평화통일을 꼭 이룰 것 같다는 희망과 기대가 생겼다.

소년학생휴양소와 국제소년학생모임

금강산으로 가는 도중에 중학생들의 휴양소를 방문했다. 넓은 대지에 2층으로 된 긴 건물이었는데 김일성주석의 지시에 따라 건축했으며 전국에서 뽑힌 청소년들이 1주일간 휴양하는 곳이다. 그런데 우리가 방문하자 갑자기 세 방향에서 학생들이 군대처럼 절도있는 모습으로 행진곡을 부르며 학교 건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휴양소에서 뱃놀이 하는 북한 청소년.JPG

휴양소에서 뱃놀이 하는 북한 청소년


북한의 여자 어린이들.JPG

북한의 여자 어린이들


일부 학생들은 휴양소 내 호수에서 보트를 타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북한에서는 또 매년 외국청소년들을 초청해 북한청소년들과 함께 합숙시키며 우정을 쌓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었다. 이 국제학생모임도 김일성주석의 지시에 따라 시작됐다고 하는데 초청되는 나라는 모두 과거 공산권 국가들이었다. 러시아, 중국, 쿠바, 베트남, 아프가니스탄 등이다. 

우리가 방문했을 때가 바로 국제공동행사기간이었는데 검은 피부의 청소년들이 간간히 보였다. 교사용 화장실에 들어갔는데 변기는 서양식이었지만 휴지는 없었다. 생필품과 물자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북한 어디를 가나 확인할 수 있었다.


선죽교.JPG
선죽교

왕건능.JPG
왕건능


<다음 호에 계속> 


글: 김영상 박사, 사진: 부인 김일제 여사 정리 

독일 유로저널 김운경 woonkk@hotmail.com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