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혜 예술칼럼

색즉시공 공즉시색 (시그마 폴케5)

by 편집부 posted Apr 25,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유로저널 315 – 색즉시공 공즉시색 (시그마 폴케5)



5. 통제를 벗어나 자동적으로 독립적으로



폴케의 화면에 자주 등장하는 형상들은 동양화의 문인화에서 보이는 것처럼, 그저 회화를 도와주기 위한 수단으로 등장시키는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와 같이 빌려온 이미지들이 많다. 이것들을 통해 그는 조형적 방법론과 역동적 에너지의 결합체로서의 화면을 만들어냈다.



그리하여 폴케는 페인팅과 드로잉을 마치 자연현상의 하나로 펼쳐놓았다. 



Sigmar Polke, Ohne Titel, 1993.jpg



Sigmar Polke, Ohne Titel, 1993 (사진출처: Kornfeld.ch)



 



동양에서는 만물의 형상과 바탕이 음양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뤄어진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자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위로는 하늘의 기운을 받고 아래로는 땅의 기운을 근거로 해서 만물이 존재한다는 생각의 틀이다. 



그래서 변화하고 발전해 가는 모든 현상들이 모두 음양의  기운이 교감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고 여긴다. 음양은 음이나 양의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고, 서로 깊숙이 조응하면서 더욱 깊고 넓어지는 전혀 새로운 지평을 함께 도모한다.



중국의 형호(870-930?)필법기에서 (), (), (), (), () 육요를 언급한 적이 있다. () 의미는 깍고 덜어서 사물의 꾸임을 제거하여 요체를 취한다는 말인데, 화가가 그림을 그리기 전에 소재의 관찰을 통해 깊은 경지의 전개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가는 이런 깨달음의 감성을 그림을 통해 나타내는데, 동양화에서는 화가들은 주로 여백을 통해 정신과 의식, 그리고 실존하는 이상의 깊은 의미를 표현했다. 현실로는 표현할 없거나 극복해야 메시지를 고도의 사의적 추념화를 통해 여백에 담아냈다. 



, 동양화에서는 유와 무란 공백이 음양의 개념을 바탕으로 요철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래서 공백이 없으면, 회화로서의 성립이 불가능하다라고 생각했다. 그러니까, 음양의 철학이 없으면 동양화의 사유의 진의가 없어져 결국 그림이 없다는 것이다. 



폴케의 페인팅도 이런 동양화와 닮아 있다. 



Untitled-1.jpg



Sigmar Polke, Kirchenfenster (church windows), 2001 (사진출처: Artsy



 



그의 그림은 자체로 이미지가 되는 회화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것만으로는 강렬한 표출을 이루지내지 못하는 음적인 표현으로서의 단순한 기호와 색면에 불과하기도 하다. 



그래서, 이런 그림에다가 양적인 다른 이미지를 지닌 드로잉이나 선들을 그려넣으면, 이것들이 오히려 화면 전체에서 주체적 역할을 하게 되기도 한다. 



이것은 폴케다운 회화의 진면목이 여실히 드러나는 작품이다.



Sigmar Polke, Untitled, 1941 - 2010.jpg



Sigmar Polke, Untitled, 1941 – 2010 (사진출처: Sotheby’s)



 



그는 패턴이 있는 직물에 붓의 스쳐감과 물감을 붓고 흐트려지게 하는 것을 통해 무정형의 형태들이 자신의 통제를 벗어나 자동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나타나게끔 했다.  



이것은 그가 과학의 한계를 넘어 자연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방식이었다. 그는 당시 연금술에 깊이 빠져 있었다. 



동양화의 공간은 감정의 특정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그것은 자연에서 체득된 무한의 삶의 사의적 표현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공간은 물리적 세계가 아닌 정신을 연결하는 것이다. 



Sigmar Polke, Young Peas, 1963.jpg



Sigmar Polke, Young Peas, 1963 © 2022 Artists Rights Society (ARS), New York



 



폴케의 회화에서 드러나는 방식도 이와 비슷한 점이 있다. 번잡함이 없이 흐트러지거나 얄팍함이 없고, 너저분함이 없으며 가공함이 없다. 그리하여 있는데 없는 같은 무로 드러난다.  



이것은 마치색불이공공불이색(色不異空空不異色) 색즉시공공즉시색(色卽是空空卽是色)” 비슷하다. 이는 물질적인 세계와 평등 무차별한 () 세계가 다르지 않음을 뜻하는 말로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이 공이요 공이 색이다 것이다.  



Sigmar Polke, Katastrophentheorie III, 1983.jpg



Sigmar Polke, Katastrophentheorie III, 1983 (사진출처:christies.com)



 



이것은 1983 폴케가파국 이론 집중하여 그린 불가사의한 4개의 시리즈 작품 하나다. 폴케는 당시 아주 유명했던 수학적 이론과 혼란 이론을 결합하여 상상의 이미지가 만들어지고 인지되어지며 이해되어지는 방식을 다양하면서 전체적인 관점을 통해 보여주고자 했다.



물질적 현상이란 실체가 없는 것이다. 그러니 대개 실체가 없다는 것은 물질적 현상인 것이다. 색이란 일어남도 일어나지 않음도 없는 공의 본질이기 때문에 역시 공하다. 따라서, 색과 공의 실체를 꿰뚫어보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불교에서는 색을 직관하여 공임을 , 완전한 해탈을 얻은 자유인이 있다고 했다.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유로저널광고

Articles

3 4 5 6 7 8 9 10 11 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