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아동 ‘삶의 만족도’ OECD 최하위
우리나라 아동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가 OECD 국가 중 가장 낮고 ‘결핍지수’는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터넷·스마트폰 등 매체중독 고위험에 포함되는 초등학생은 16.3%에 이르며 아동의 스트레스 및 우울 수준도 5년 전인 2008년보다 증가했다.
보건복지부는 4일 18세 미만 아동을 양육하는 4007가구(빈곤가구 1499가구 포함)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3 한국 아동종합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아동의 ‘삶의 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60.3점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
회원국 가운데 아동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국가는 네덜란드로 94.2점이었으며 우리보다 한 단계 위인 루마니아도 76.6점으로 우리나라보다 16점 이상 높았다.
삶의 만족도는 아동이 자신의 삶을 어떤 수준으로 인지하는지를 11구간 내에서 측정하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 척도다.
또 아동의 기본조건에 대한 결여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아동결핍지수’도 54.8%로 나타나 OECD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유니세프가 개발한 도구인 아동결핍지수는 ‘하루 세끼 섭취’, ‘교과서 이외 도서 보유’, ‘소풍·수학여행 등 학교 이벤트 참가’ 등 총 14항목 중 2개 이상의 항목에 ‘아니오’라고 답변한 아동의 수치를 측정한 것이다. 수치가 높을수록 아동의 기본조건에 대한 결여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아동의 경우 정기적 취미활동(음악·스포츠·동아리 활동 등)의 결핍률이 52.8%로 가장 높게 나타나는 등 대체로 여가활동 및 각종 여가향유를 위한 인프라 관련한 항목의 결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빈곤가구 아동의 아동결핍지수가 85% 이상, 가구형태별로는 한부모 및 조손가구의 결핍지수가 75.9%로 높았다.
아동의 스트레스 및 우울 수준도 2008년 조사 때 보다 증가했다.
9∼17세 아동의 스트레스 수치는 2.16(4점 만점), 우울 수준은 1.25로 5년 전 2.14, 1.21 보다 다소 상승했다. 아동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는 숙제, 시험, 성적 등 학업과 관련된 항목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소득계층별로는 일반가구의 아동은 학업, 교육을 주요인으로 꼽은 반면 빈곤가구 아동은 돈, 부모와의 갈등, 열등감, 외모 등을 지적했다.
또 12~17세 아동의 3.6%가 최근 1년간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항목 응답자의 25.9%가 실제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답변했다.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해서는 초등학생의 16.3%, 중고생의 9.3%가 고위험군으로 밝혀졌으며 중고생의 경우 중독 고위험군이 2008년(1.3%)에 비해 7배 이상 증가했다.
잠재적 위험군을 포함할 경우 초등학생의 23.8%, 중고생의 17.4%가 중독 위험군 수준으로 매체중독 고위험군의 저연령화 추세가 확인됐다.
아동가구의 상대적 빈곤률(경상소득 기준으로 중위소득 50% 미만 가구 비율)은 8.25%로 2008년 11.5%보다 개선됐다.
또 9~17세 아동의 97.2%는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답변해 주관적 건강 수준이 OECD 국가 중에서는 가장 양호했다.
음주 6.9%, 흡연 4.0% 등 비행행동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률도 32.2%로 지난 조사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전체 아동의 8%, 빈곤가구 아동의 42.2%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먹을 것을 살 돈이 없는 ‘식품빈곤’ 상태를 경험한 적이 있으며 이 가운데 각각 9.3%, 46.6%가 이로 인한 영양섭취부족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주 3일 이상 30분 이상’ 운동을 하고 있는 아동은 34%에 불과했으며 31.2%는 하루도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0∼5세 영유아의 16.2%, 6∼17세 초중고 아동의 77.4%가 민간 사교육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사교육 지출비용은 각각 월 11만 3000원, 32만 2000원 수준이었다.
한국 유로저널 방창완 기자
eurojournal25@ek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