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주년,한·일 관계 정상화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금년 8·15 광복절은 광복 70주년을 맞는 날로써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일제 치하 35년간 고난과 수탈을 당한 우리 민족이 여러 나라의 도움으로 해방을 맞이한 뜻깊은 날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잊어야 할 것과 잊지 말아야 할 것을 분별해야 한다. 역사는 인간이 살아온 흔적이며 앞으로 미래를 만들어갈 중요한 재산이라고 생각한다. 역사를 잊고 기억하지 않는다면 인간은 더 발전할 수 없는 것이다.
역사를 잊은 민족, 역사를 잊은 백성은 미래가 없다. 현재를 잘 아는 사람은 과거를 불러와 현재를 풍요롭게 하는 ‘기억’으로 만들고 미래를 불러와 ‘희망’으로 바꾼다. 기억을 상실한 사람에게는 희망도 없다.
우리는 일본으로부터 기본권을 박탈당하고 강제노동과 징용에 시달렸다. 우리의 역사, 언어, 문자, 심지어 성과 이름까지도 일본식으로 고치게 하는 등 민족정신 말살정책을 겪었다. 전쟁물자와 식량 공급을 위해 각종 약탈을 감행한 일본인들의 만행을 알아야 한다. 또한 위안부 동원에 대한 역사적 사실은 부인할 수 없는 일이다. 일본 정부가 강제적으로 대규모 위안부를 징집한 것은 역사적 사실이고, 일본 군국주의자들이 침략전쟁 기간 중 저지른 가장 잔악하고 반인륜적인 죄악 중의 하나임을 일본은 자백해야 한다.
이와 같은 온갖 탄압 속에서도 광복을 위해 국내에서는 우국지사들의 지하운동이 맹렬했으며, 해외에서는 김구선생을 중심으로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광복군을 조직하여 항일투쟁을 계속 했다. 국내외적으로 광복을 위해 목숨을 바치신 안중근의사, 윤봉길의사, 이준열사 등의 우국충정을 잊어서는 안된다. 3·1운동과 광주학생운동에서 보여준 자주정신과 저항정신을 발휘한 우리의 민족정신을 결코 망각해서도 안된다. 이번 기회에 각급 학교 학생들에게 민족정신과 애국·애족정신을 발휘할 수 있는 계기교육을 해야 한다. 주체적 민족사관을 정립하도록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역사인식을 바르게 갖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우리 교육자들과 국민의 책무란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일이다.
한·일 수교 50년이 되었지만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서 풀어야 할 3가지 과제가 있다. 첫째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법적 책임을 불인정하고 있으며 잇단 협의 중에서도 의견차가 여전히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1965년 청구권 협정 근거로 보상을 외면하고 있는 강제징용 문제이다. 셋째는 갈수록 심해지는 교과서 왜곡 등을 통한 끝없는 야욕이다. 독도 영유권 문제는 양국이 풀어야 할 핵심과제다.
한·일 갈등은 일시적이 아니라 다변화, 장기화, 구조화, 국제화하면서 화해의 출구를 막고 있다. 일본은 가해의 역사에 겸허하게 사죄하고 한국은 피해의 역사를 극복해야 새로운 관계가 가능해질 것이며 변화의 핵심은 ‘커진 한국’과 ‘작아진 일본’이라고 생각한다.
국제사회는 두 나라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법치주의와 인권을 공유하는 ‘쌍둥이 국가’로 인식하고 있다. 양국이 국제사회에서 협력할 일은 여전히 많다. 한·일의 협력모델은 ‘국제사회의 공공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아베 담화를 모두의 기억에서 지우는 것이다. 아베 담화가 나왔다고 세상이 끝나지 않는다. 더 길게 더 넓은 시각으로 일본인들을 마주보고 우리가 받았던 식민지배의 고통에 대해 그리고 이 문제를 올바로 해결했을 때 양국이 만들어갈 수 있는 수많은 기회와 가능성에 대하여 끈질기게 얘기하고 설득해야 한다.
우리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광복절의 유래와 의의를 알고 늘 조국의 광복을 위해 헌신하신 선열들의 애국충정에 고마움을 느끼며, 나라의 소중함을 깨닫고 민족의 과제인 평화통일의 의지를 가슴 깊이 새기고 실천해야 한다. 한·일 수교 50주년을 갈등에서 화해로 돌아서는 기회로 만들 책임은 양국 지도자에게 있으며, 한·일 관계 정상화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