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플 쇼크에 노출된 아시아 신흥국 위기 가능성 높아
최근 아시아 신흥국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중국 경기 둔화, 원자재 가격 급락이라는 트리플 쇼크에 직면하면서 외환위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들 아시아 신흥국들이 글로벌 경제위기가 불거질 때마다 타 지역 신흥국에 비해 더 큰 후유증을 겪는 것은 글로벌 경제에서 미국과 함께 G2로 군림하고 있는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 대한 경제 교역 의존도가 높은데서 비롯된 현상이라는 분석이다.
지난 2008년 세계금융 위기 이후 2011년 유럽발 재정위기로 촉발된 미국의 경기침체로 세계경제가 경직된 2차 금융 위기 당시에도 아시아권 신흥국이 타 지역에 비해 피해가 컸다.
또한, 세계 경제 침체가 곧 중국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진다는 점이 아시아 신흥국이 위기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중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각국 통계에 따르면 중국은 2008년 기준 인도네시아의 수출국 중 2위(78억달러), 베트남과 인도(2009년)에서는 3위(132억달러), 태국(2010년)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 반면 2008년 기준 아르헨티나와 멕시코에서는 총 84억달러에 불과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 따르면 아시아 신흥 5국(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의 재정수지 대비 국내총생산(GDP)은 비아시아 신흥 5국(러시아, 브라질, 멕시코, 칠레, 아르헨티나)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현대경제연구원이 ‘경제주평’을 통해 트리플 쇼크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의 외환위기 가능성,그리고 이들의 외환위기 등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 등을 발표했다.
외환위기 가능성이 동남아 3국에만 한정되면 한국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은 상대적으로 작을 것이다. 2016년 우리나라 총수출 증감률 및 경제성장률은 예상보다 각각 1.8%p 및 0.5%p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트리플 쇼크와 악순환 고리를 형성하면서 글로벌 경기침체로 확산될 경우, 2016년 우리나라의 총수출 증감률 및 경제성장률은 예상보다 각각 5.2%p 및 1.3%p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인도네시아의 경우 실물 경제 및 투자여건 악화로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이 우려되며, 이에 대한 방어력이 취약해 외환위기 가능성이 높다. 경제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가운데 중국 경기 둔화 및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수출도 2014년 4분기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최근 중국의 금융 불안이 전이되면서 주가와 루피화 가치도 급락했다.
부도 위험 정도를 나타내는 CDS 프리미엄이 2014년 11월 135bp에서 2015년 9월 2일 246.0bp까지 상승했다. 필요 외환보유액(3개월치 수입액 + 단기외채 +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의 1/3)이 1,526억 달러에 달하는 반면, 최근 외환보유고는 1,021억 달러에 불과해 외환위기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두 번째, 말레이시아는 트리플 쇼크로 급격한 자금 유출 가능성이 높은 반면 외화유동성이 크게 부족해 외환위기 가능성이 높다.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는 가운데 주요 수출품인 유가 하락으로 수출이 급감하고 만성적인 재정적자가 심화되고 있다. 주가와 링킷화 가치는 급락했다. CDS 프리미엄이 2014년 말에는 100bp 이하였으나 2015년 9월 2일 187bp까지 상승했다. 필요 외환보유액이 1,859억 달러에 달하는 반면, 최근 외환보유고는 944억 달러에 불과해 외환위기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마지막으로 태국의 경우는 수출 감소 및 투자여건 악화로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이 우려되면서 외환외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수출 감소 및 민간소비 위축으로 성장세가 둔화되고 재정적자가 지속될 것이다. 주가와 바트화 가치는 떨어졌다. CDS 프리미엄은 2015년 7월 약 100bp에서 2015년 9월 2일 148.9bp로 상승했고, 10년물 국채금리는 2.8%로 양호한 수준이다.
현재 외환보유액은 1,573억 달러로 필요 외환보유액 1,499억 달러를 소폭 상회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조규림 선임연구원은 이와같은 아시아 신흥국 외환위기 발생 가능성에 대비하여 " 거대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외환보유고를 확충하고, 언제든지 주요국과의 통화스왑을 맺을 수 있도록 공조체계를 유지" 해야 하며, " 미국 기준금리 인상 및 중국 경기 둔화의 한국경제 파급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파급경로 차단에 주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