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中 금융 불안, 세계시장 파급 효과 크지 않아

by eknews posted Sep 15,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中 금융 불안, 세계시장 파급 효과 크지 않아
위안화 평가 절하 계속되면 아시아 경제 위기 확산될 수도,中정부의 위안화 20% 이상 추가절하 가능성


중국 금융시장 불안이 세계금융시장 불안으로 파급되는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 속에서도 중국 정부의 위안화 평가 추가절하로 아시아 경제의 위기 가 확산될 수도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국당국은 최저임금 인상, 도시화 급진전 등으로 중산층을 키워내 소비중심 성장을 꾀하고 있지만, 주요 소비재 성장률이 절반이상으로 떨어지는 등 쉽지만은 않아 보인다. 통계만 봐도, 지난 4년새 자동차 판매증가율은 32.4%에서 6.8%로 25.6%p 감소했고 가전은 15.0%p(18.0%→3.0%), 의류는 13.2%p(24.8%→11.6%) 감소한 상황이다.


1012-국제 3 사진 1.jpg


지난 5년간 평균임금도 35.1%가량 상승하고 있는 데다가 8조 달러에 달하는 아시아 인프라 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  중국내 각국 주요 투자기업들이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등 ‘포스트 차이나’를 찾아 공장을 옮기는 ‘중국투자 엑소더스’까지 벌어지고 있다.


세계경제를 견인했던 2010년과 비교해 중국의 내년 수입증가율은 22.1%에서 14.9%로 7.2%포인트(p) 떨어지고, 소비증가율은 9.4%→7.7%, 투자는 15.3%→4.7% 감소하는 신창타이 시대에 들어섰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 신경제성장의 목표가 되고 있는 신창타이란 ‘중국경제가 중요한 변곡점을 지나고 있으며, 신창타이에 적응해야 한다’는 시진핑 주석의 말에서 유래됐다. 신창타이 특징은 중속성장, 구조개선, 산업고도화, 금융리스크 완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브루킹스연구소(2014)에 따르면, 지난 25년간(1988년~2013년) 9.4%를 기록했던 중국의 잠재성장률이 향후 10년간 약 7.3%로 둔화되는 등 성장동력의 감속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 바 있다.


이와같은 시점에서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9월 14일(월) 개최한 ‘세계금융시장 불안과 신흥시장국 위기: 전망과 대응방향’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의 분석 및 발표를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김정식 연세대 교수는 “중국의 위안화가 추가 평가 절하될 경우 금융시장 불안은 지속되겠지만 중국의 금융시장 불안이 세계금융시장 불안으로 파급되는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주식시장의 크기와 비중이 작고 위안화 국제화나 자본자유화가 크게 진전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다만 실물시장 불안이 금융시장으로 파급될 가능성은 크고, 중국성장둔화가 세계실물경제로 파급되는 효과도 클 것이라고 김 교수는 전망했다.

또 위안화 추가 평가절하 가능성에 대해 김정식 교수는 “중국은 위안화 국제화, 수출증대를 위한 환율고정,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삼위일체 불가능의 딜레마에 빠져있다”면서, “경착륙을 피하기 위해 추가 평가절하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같은 중국경제의 성장둔화는 한국경제의 수출과 내수에 동반침체를 가져와 2%대 성장의 경착륙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김 교수는 분석했다. 그는 “장기적인 대응책은 구조개혁이지만 단기적으로 경기침체와 자본유출에 대응해야 한다”며, “경기침체에는 금리보다는 환율로 대응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자본유출에 대응해 미국 등과 통화스왑 협정을 체결하고 외환보유액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창배 한경연 연구위원은 “위안화 절하는 미국, 유로지역, 일본 등으로의 수출시장에서 우리의 교역조건을 불리하게 만들 것”이라며, “특히 가공무역 축소 정책으로 위안화 절하에 따른 대중수출 증가 혜택도 이전보다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처럼 환율전쟁 리스크가 커지고 있으므로 원·엔, 원·위안 환율간 적정수준 유지, 국제금융외교의 강화와 내수·해외투자 활성화 등 정교하고 신중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중간재 중심의 대중 수출구조를 개선하고 한중 FTA, AIIB 등을 통한 시장 확대노력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데이비드 L. 애셔 신미국안보센터(CNAS) 선임연구위원은 "중국 정부가 발표하는 경제성장률은 7%대지만, 신뢰할 수 없다"며 "원자재 사용량, 전력 가동량 등을 감안했을 때 낙관적으로 봐도 실제 경제성장률은 3%대 정도로 판단한다"고 말하면서  "중국이 하루 아침에 위안화 가치를 20~25% 이상 떨어뜨린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애셔 위원은 "중국은 경제 위기 상황이지만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수단이 통화 절화외에는 방법이 없다"며 "위안화 가치가 낮아지면 같은 제품을 판매하고도 달러화 수입이 더 커지기 때문에, 위안화 가치가 25% 정도 평가절하되면 교역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엔화 대비, 원화 대비 중국의 수출 경쟁력은 예전만하지 않다"며 경기 부양 효과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냈다.
애셔 위원은 오히려 "중국 정부가 과감한 투자에 나서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외환보유액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는 중국의 외환위기로 이어져, 아시아 전체 지역으로 위기가 확산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지난 8월 중국 금융당국이 위안화 평가절하 압력을 해소하고 자본유출을 막기 위해 보유외환에서 달러를 팔고 위안화를 사들이면서 외환보유액이 급격히 줄고 있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을 앞두고 글로벌 자금 이동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해석이 제기되고 있다.


영국 경제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지는 중국이 위안화 평가절하 조치 이후 매서운 역풍(외환보유액 감소)을 맞고 있다며 환율통제, 통화완화, 자본계정 자유화라는 모순된 세 가지 정책이 중국을 트릴레마(3중 딜레마)에 빠지게 했다고 지적했다.
크레디트스위스증권은 "외환보유액 감소는 위안화와 중국 주식에 대한 신뢰가 추락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분석했다.
외환보유액 감소가 중국이 사들인 미국 국채 매각으로 나타나면서 미국 국채금리는 뛰게 되고 다른 차입금리도 덩달아 상승해 경기부양에 나서는 국가들에 부담이 되는 탓이다. 블룸버그는 8월 마지막 2주 동안만도 중국은 최소 1,060억달러에 달하는 미 국채를 매각했다고 전했다.


반면, 니콜라스 파니기르졸우 JP모건 글로벌시장전략가는 "감소한 외환보유액 중 상당수는 순유출이라기보다는 다른 대체투자처를 찾는 대기자금"이라며 "반드시 미국 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