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의 바이러스(Virus of Freedom)

by eknews posted Mar 06,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자유의 바이러스(Virus of Freedom)




나의 마음이여, 황금 날개를 타고 날아 가라

비탄의 언덕길을 타고 날아가라.

부드럽고 따뜻한 고향 산들바람의

향기 나는 곳으로 날아가라.---- 

-중        략 -

오! 사랑하는 나의 잃어버린 조국이여

(Oh! my country, so lovely and lost!)

소중한 추억과 불행한 기억이 있는 곳

(Oh! remembrance so dear yet unhappy.) ----

- 이하생략 -


이상은 독자 여러분들도 잘 아는 베르디(Va, Pensiero, Verdi)의 오페라 "나부코" 중 3부에 등장하는 Hebrew Chorus(한국에서는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이라고 명명하는데 가능하면 그냥 "히브리인들의 합창"이라고 했으면 좋으련만----)의 가사이다. 솔로몬왕이 통치하던 시대의 화려했던 문명과 최고의 영화를 누리며 하나님을 찬양하던 이스라엘이 솔로몬왕의 사후에 남북으로 분열되어 점점 그 국력이 쇠퇴해 갔으며 잦은 외세의 침입을 받았으며 마침내는 포로가 되어 바벨론으로 끌려가는 비극을 맞으며 기원전 601년경 그당시 세계의 중심부 역할을 했던 신바빌로니아의 1,2,3차에 이르는 침공으로 바빌로니아의 느부가넷살왕대에 이르러서는 유다왕국의 마지막왕 시드기야는 두눈이 빼어짐을 당하고 국토는 유린되고 예루살렘을 비롯한 모든 고도들은 파괴되어 국민들은 포로가 되어 적국의 수도 바벨론으로 강제 이주를 당하며 유다왕국은 지구상에서 그 흔적을 감추었다. 때를 같이하여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고 있던 이탈리아의 한 음악가는 바빌론의  느부가넷살왕의 20여년에 걸친 끊임없는 침공에 의하여 멸망해 가는 유다왕국과 이스라엘 민족의 참혹한 역사와 그들의 한을 지켜보며 그 광경을 오페라로 만들었으니 그가 바로 "베르디" 이다. 


서두에 기록한 노래말에서 보듯이 이스라엘 민족은 극심한 고통과 환란 중에서도 민족의식과 그들의 신앙을 고수하며 언젠가는 조국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강인한 결속력으로 유프라테스 강변에서 그들나라의 요단강과 예루살렘을 그리워하며 노래한다. 그리움 속에는 좋은 추억과 더러는 불행했던 기억마저도 이젠 그리움이다. 그만큼 자유로움에 대한 소망과 조국에 대한 절박한 열망을 표출하며 압박과 설음에서 우리를 건지사 자유와 평화를 우리에게 내려주소서 라고 기도했을 것이다. 자유! 생각할 수 있는 자유, 말할 수 있는 자유, 행동할 수 있는 자유 등등 수많은 자유스러움을 우리 인간들은 갈망한다. 억압받는 입장에 서 본 사람들은 그 자유의 소중함을 절실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



1080- 김혜성 칼럼.jpg



자유라고 하면 보통은 어떤 존재가 내부나 외부로부터 구속이나 지배를 받지 않고 자신이 하고자하는 것을 하면서 존재할 수 있는 상태를 이른다. 이러한 자유를 영문표현에서는 흔히 Liberty,또는 Freedom 의 두가지로 나타낸다. 필자는 오늘 Freedom에 비중을 두고 몇마디 독자들께 전달하려고 한다.   몇일전에 3.1절이 지나갔다. 아까도 잠시 언급했지만 자유를 빼앗겨 본 사람이 자유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 하는 문제를 절감할 것이다.

----으로부터의 자유,     ---- 에 대한 자유,   전자를 보편적 자유라고 볼때 조금은 소극적 의미이며 후자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자유라고 볼 수 있다.  유럽의 시민혁명 이후로는 자유의 개념이 타인 또는 무엇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대로 행위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자유개념이 봉건시대에는 동서양이 공히 불평등한 신분제도를 구성하고 있었다오늘날의 자유라는 개념 역시 약간의 문제는 안고 있다. 왜냐하면 이 자유라는 놈이 가끔씩 다른사람의 자유와 접촉사고를 내기도하는 그것이다.


19세기, 영국의 철학자이며 사회학자였던 죤.스튜어트(John Stuart Mill)는 그의 저서 자유론에서   다른 사람의 자유를 존중하지 않고 제멋대로인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고 표명한다. 


---인간사회에서 누구든(개인이든, 집단이든) 다른사람의 행동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경우는 오직 한가지, 자기보호(self protection)를 위해 필요할 때 뿐이다.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이라면 당사자의 의지에 반하여 권력이 사용되는 것도 정당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유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문명사회에서 시민의 자유를 침해하는 그 어떤 정치권력의 행사도 정당화될 수 없다.----  자! 이제 우리의 과거와 현실을 잠시 살펴보자.


지금으로부터 98년전, 우리 민족은 역사상 가장 어둡고 힘든 고통의 터널을 지나고 있었다. 일본 식민지 정책의 압박 때문에 숨죽이고 있던 중에 우리 민족은 세대와 신분, 종교, 지역을 초월하여 오직 독립에 대한 의지와 소망으로 결집하여 용감하게 나가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그것이 1919년 3월 1일 정오였다. 이를 계기로 하여 상해 임시정부가 수립되었고 이러한 3.1운동의 여파는 한반도를 넘어 인도 간디의 비폭력, 무저항 운동, 말레지아와 필립핀 그리고 이집트 등에서도 반제국주의 민족 독립운동을 일으키는데 선구적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 시절에는 온 세계가 약육강식하고 적자생존의 논리로 제국주의 식민지 통치에 신음하고 있을 때였다.


따라서 각국 각처에서는 자주독립과 자유를 찾기 위한 운동들이 갖가지 모양으로 일어나고 있었다. 중국 베이찡 대학의 5.4운동 역시 그 중의 하나였다. 어쨌던 우리 앞세대를 살고간 우리 민족들의 죽음까지도 감수한 애국과 선구자적 투쟁으로 말미암아 1945년 8월 15일 그렇게도 열망하던 대한민국의 독립과 우리 민족의 자유를 찾은 것이다. 그 이후! 우리는 근면함과 성실함으로 급격한 도약의 과정을 거쳐서 민주주의를 쟁취하였고 세계 10대 무역국으로 성장했다. 3.1운동은 우리 역사에 길이 빛날 전환점을 만들어 냈으며 "대한 독립" "동양 평화" "인류공존" 이라는 3.1운동의 정신은 오늘날 우리들의 피속에 살아서 뛰고 있다.  죽음으로 쟁취한   자유 민주주의의 나라, 대한민국이 지금 열병을 앓고 있다. 편 가르기 병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 1 조 1항에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2항에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라고 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헌법대로라면 나라의 주인은 국민이고 모든 국민은 평등하게 그리고 자유롭게 살아갈 권리가 있다. 그런데,---- 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조금 정치에 관심을 두고 현정부의 정책에 반대의견이라도 표현할라치면 종북집단 속으로 밀어버린다. 적어도 우리 앞서 가신 3.1운동의 주인공들과 독립운동가들은 그렇지는 않았다. 정권을 부여받은(국민들로부터) 자들의 생각과 조금만 달라도 심한 경우에는 위협과 으름짱까지 놓아가며 종북세력으로 몰아 넣는 현 정부가 과연 정당한 민주주의 노선을 걷고 있다고 보는가? 아니다. 


민주주의의 절차에 따라 선출된 국민의 대표들이 마치 대한민국이 자기들 것이고 백성은 자기들을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다. 그래서 고고한 자세로 정작 나라의 주인인 국민들 위에 군림하는 주객이 전도된 지배자적 위치에서 행세하며 권력에 책임지지도 아니하는 모양세로 국민들의 화를 돋우며 국민들의 자존감을 땅바닥으로 떨어뜨리고 있다. 기미년 3월 1일의 하늘에 나부끼던 태극기는  피맺히는 고통과 절규 속에서 애끓는 간절한 마음으로 대한독립만세를 부르며 자유의 바이러스를 온 나라와 밖으로 퍼뜨리는 민족의 자긍심과 자존감의 표출이었다. 그런데 98년 후 지금 정유년의 3월1일에 태극기를 든 손들은 과연 무엇을 위해 흔드는 것인지 묻고 싶다. 편을 갈라서 어쩌자는 것인지 묻고 싶다.  당장 눈앞에 놓인 빵조각 때문에 민주 공화국인 대한민국의 진정한 주인, 국민이기를 거부하는 것인지 묻고 싶다. 독립과 자유의 바이러스를 퍼뜨리며 목청 높이 만세를 부르다 죽어간 선국 선렬들의 눈물인 양  보슬비조차 내리던 그 밤에(지난 3월 1일) 황량한 거리에 나딍구는 태극기를 보며 저 98년 전 그때 그사람들을 한번쯤 생각해 보았는지 묻고 싶다.   




김레이첼 증명사진.jpg

1072-김레이첼 사진 3.jpg


유로저널 탈럼니스트. 

목사.

전 한국 청소년 교육연합회 대표

London College of Technical, Lecturer(Social Work)

Society of Social Worker's East London(Chairman) 



유로저널광고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