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혜 예술칼럼

오, 내 사랑! (1) 꽃의 도시 피렌체에서 사랑이 꽃피다

by 편집부 posted Sep 25,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오, 내 사랑! (1)
1. 꽃의 도시 피렌체에서 사랑이 꽃피다

1) 냉정과 열정 사이
“약속할 수 있니?”
“뭘?”
“내 서른살 생일날, 피렌체의 두오모, 쿠폴라 위에서 만나기로, 어때?”
 피렌체의 두오모(대성당),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의 쿠폴라.JPG
피렌체의 두오모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의 쿠폴라
얼마 만큼의 시간이 흘렀을까? 일본에서 함께 대학 생활을 한 게 어그저께 같은데, 벌써 10년이 훌쩍 지났다. 
아오이는 이탈리아의 밀라노에서 보석 가게 아르바이트를 하며 살아가고 있다. 쥰세이는 어느 날 공방 동창에게서 이탈리아의 은사가 자살했다는 연락을 받고,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피렌체로 향했다. 그리고는 옛 친구 다카나시의 권유로 피렌체에서 다시 살기로 결심하게 되었고, 그림 복원사로 일하며 피렌체에서 지내고 있다. 
두 사람 모두 애인이 있지만, 항상 그들의 가슴속엔 10년 전의 약속과 함께 과거가 고스란히 자리하고 있었다.
전과 다름 없는 이탈리아에서의 시간이 흐르고, 드디어 그 날이 왔다. 준세이는 천천히 쿠폴라의 계단을 오른다. 하지만 아오이의 모습은 보이지 않고, 두오모 폐관 시간은 점점 다가오고 있었다. 
피렌체는 과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한 도시다. 르네상스 문화를 꽃피우고 중세의 유산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토스카나의 중심 도시인 피렌체의 의미는 ‘꽃의 도시’다. 도시 전체가 과거에 빠진, 그리고 과거가 여전히 현재를 이루고 있는 곳이다. 
피렌체의 두오모,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의 쿠폴라의 463개 계단을 올라가면 피렌체 시내가 한눈에 들어온다. 아오이와 쥰세이는 자신들의 과거의 사랑을 과거가 이렇게 생생히 살아 숨쉬는 피렌체에서 찾을 수 있기를 바랬다. 
 
쿠폴라에서 바라본 두오모 성당의 돔과 피렌체 시내 전경.jpg
쿠폴라에서 바라본 두오모 성당의 돔과 피렌체 시내 전경

드디어 아오이와 쥰세이는 서른 살 생일날, 피렌체 두오모에서 재회를 했다. 하지만, 그들은 곧 깨닫았다. 잠깐의 열정을 벗고 다시 냉정을 되찾아 아오이는 결국 떠났다. 이런 아오이를 쥰세이는 잡지 않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과거도 미래도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쥰세이는 아오이를 만나러 밀라노행 특급 열차에 오른다.  
 
냉정과 열정 사이의 한 장면(쥰세이와 아오이).jpg
냉정과 열정 사이의 한 장면(쥰세이와 아오이)

소설 <냉정과 열정 사이>는 하나의 이야기를 남자 작가 츠지 히토나리가 <Blu>에서 남자 주인공 쥰세이의 시각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여자 작가 에쿠니 가오리가 <Rosso>에서 여자 주인공 아오이의 시각에서 이야기를 쓴, 릴레이 합작이라는 특이한 과정으로 만들어진 소설이다. 그렇게 정말 두 남녀가 만나 사랑을 하듯, 작가들은 애틋한 사랑이야기를 풀어나갔다.  
 
2) 보티첼리의 짝사랑
사랑의 화신은 비너스(로마신화)다. 아프로디테(그리스신화)라고도 불리는 이 미의 여신은 완벽하고 조화로운 여자의 몸을 하고 있다. 
 
Venus, Alexandros of Antioch, BC 101.jpg
Venus, Alexandros of Antioch, BC 101
 
비너스의 탄생 , 보티첼리, 1486 (우피치 미술관 소장).jpg
비너스의 탄생 , 보티첼리, 1486 (우피치 미술관 소장)

피렌체의 또 하나의 사랑이야기가 이 비너스로 탄생해 지금까지 생생히  살아 숨쉬고 있다.  
화가 산드로 보티첼리는 자신의 사랑을 그만의 비너스로 완성했다. 이 ‘비너스의 탄생’은 1480년 경에, 당시 플로렌스의 경제와 문화를 주름잡고 있던 메디치가문, 더 정확히 말하면 로렌초 디 피에프란체스코 디 메디치를 위해 그려진 작품이다. 
그러나 로렌초의 1499년 재산 목록에 ‘비너스의 탄생’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보티첼리의 ‘봄’이 그의 다른 그림과 함께 로렌초의 피렌체 시내 저택을 장식했다는 문헌적 증거가 발견됨에 따라 ‘비너스의 탄생’의 제작 배경은 모호해졌다.  
 
봄, 보티첼리, 1482-87(우피치 미술관 소장).jpg
봄, 보티첼리, 1482-87(우피치 미술관 소장)

하지만, 작품에 등장하는 월계수 및 오렌지 나무는 메디치 가문의 상징들이고, 1540년에 메디치 가의 소유였으므로, ‘비너스의 탄생’의 주문에 메디치 가문의 일원이 관여하였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기법이나 내용상으로 볼 때 ‘비너스의 탄생’은 시골 별장을 장식하기 위한 용도로 제작된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당시 15세기 피렌체 부르조아들에게 있어 시골 별장은 도시의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고, 인문학에 몰두할 수 있었던 최적의 공간이었다.  
이러한 별장들은 주로 패널화보다는 비교적 저렴한 캔버스화로 제작되어, 감상자들을 즐겁고 편안하게 만드는 전원적인 주제나 소유자의 지적 취향을 반영하는 신화적, 철학적 소재의 그림들로 장식되었다. 
‘비너스의 탄생’ 역시 캔버스에 그려진 작품으로 그 조형적인 아름다움과 함께, 피렌체에 봄이 온다는 상징 및 복잡한 시각적 은유들을 담고 있어, 당대 인문학자들의 지적 취향과 미적인 욕구를 잘 반영하고 있다. 
가로 285.5cm, 세로 184cm의 대작으로, 지금은 복원 작업을 마치고 원래의 눈부신 색채를 회복한 채 플로렌스의 우피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3) 비너스 탄생
 
신화에 따르면 비너스는 바다의 물거품에서 탄생했다. 대지의 여신 가이아의 아들 크노소스가 복수로 아버지인 우라노스의 성기를 잘라 바다에 버리자, 거품이 일어나면서 비너스가 태어났다. 이 비너스의 탄생의 순간을 그린 작품이 바로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이다.
화면 중앙에 조개껍질 위에 서 있는 비너스는 희미하게 반짝이는 흰 피부로 인해 마치 대리석 같은 느낌을 준다. 고대 전설에 의하면 장미꽃은 비너스의 탄생과 함께 생겨났다고 하는데, 이 작품에서도 비너스의 탄생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조개껍질과 화면에 떠다니고 있는 장미꽃이다.
작품 왼쪽에는 서풍을 일으키는 제피로스가 님프 클로리스를 안고 비너스를 키프로스 섬 해변으로 불어 보내고 있다. 오른쪽에는 꽃 장식 옷을 입고 있는 계절의 여신 호라가 해변에서 비너스를 맞으며 그녀를 위해 빨간색 옷을 펼쳐들고 있다. 이 여신을 봄의 여신 ‘플로라’라고도 한다. 주변에 앵초, 데이지, 팔랑개비국화, 도금양 등, 그녀를 상징하는 봄꽃들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전체적으로 너무나도 조화롭고 아름다운 이 그림을 자세히 보면, 비너스의 우아하지만 약간 비상적으로 긴 목이 오른쪽으로 꾸부정하게 꺽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왼쪽 팔이 지나치게 길다는 것도 눈치챌 수 있다. 그런데도 이상하게 그녀는 전혀 못생겨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눈부시게  아름답다. 왜 그런 걸까?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Articles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