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사회적 신분 상승의 주 발판은 교육
프랑스 전략연구기관France Stratégie의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출신에 따라 생활 수준도 현격히 차이가 나며 사회적 지위상승을 위한 첫 번째 수단은 학위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OECD는 프랑스에서 계층 상승을 위해서는 3세대가 걸린다며 기회 불균등이 심각한 나라라고 경고하기도 했었다. 총리실 산하 씽크탱크인 프랑스 전략연구기관의 연구에서도 OECD 의 발표와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번 연구를 인용한 프랑스 일간지 르 피가로에 따르면 프랑스는 복지 등 소득재분배 시스템이 어느 정도 가동되고 있어 소득불평등이 미비하게나마 해소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사회적 계층상승은 차단되어 있다.
간부직 자녀들이 부유층이 될 확률이 매우 높다. 프랑스에서 사회적 출신이 생활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하위 10% 서민층 절반이 상이 공장 노동자 집안 출신이며 간부직 자녀는 이 중 10%에 지나지 않는다. 빈곤가정 출신의 자녀가 빈곤층이 될 확률이 절반이 넘는다는 것이다.
반대로 노동자집안 출신의 자녀가 상위 10%에 들어갈 확률은 20% 미만이며 간부직 자녀가 1% 최상위층에 속할 확률은 50% 이상이다.
부모의 직업이 특정 생활 수준을 기계적으로 결정짓는다고 단언하기는 힘들지만 프랑스에서 대부분의 사회적 수준은 그대로 재생산 되는 특징이 있다고 이번 연구책임자 클레망 데베꾸르는 말했다. 현실적으로 상급 관부직의 자녀가 20% 상위층에 속할 수 있는 기회는 노동자의 자녀보다 4,5배 이상 높다.
이러한 기회와 소득 불균등은 무엇보다 교육 환경의 영향이 크다고 이번 연구서는 강조했다. 간부직과 노동자 자녀들의 생활수준 차이의 이유 중 절반 이상을 차지 하는 것이 교육수준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배우자의 소득을 고려할 때 이러한 간극은 더욱 선명해 진다. 서민층은 동일 계층의 동반자를 만나고 이들의 교육수준 또한 비슷해 노동시장 접근이 더 어려우며 결과적으로 가구 총 소득은 낮은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간부직 자녀와 노동자의 자녀가 비슷한 수준의 사회적 지위를 갖는다 할지라도 자산 상속 유무로 인해 생활의 질은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대학 졸업장이 사회적 신분상승의 강한 지렛대 역할을 하지만 이 또한 생활 수준에 따라 교육의 질은 달라짐으로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프랑스 전략연구소 부국장 파브리스 랑라르는 강조했다.
<사진출처 : 르 피가로>
프랑스 유로저널 전은정 기자
eurojournal18@ek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