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혜 예술칼럼

요즘 핫한 예술가는? (2) 히토 슈타이얼(Hito Steyerl) (1)

by 편집부 posted Feb 13,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최지혜의 예술 칼럼 (272) 
요즘 핫한 예술가는? (2)  히토 슈타이얼(Hito Steyerl) (1)


1. 스텍터클
우리는 SNS를 통해 하루에도 최소 10개 이상의 이미지를 본다. 이미지를 직접 업로드하기도 하고 이미지와 함께 살아가고 있다. 이미지가 현실인지 가상인지 헷갈릴 정도로 이미지없는 세상은 이제 상상이 안 될 정도다. 

기 드보르는 <스펙터클의 사회>에서 "현대적 생산 조건들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모든 삶은 스펙터클의 거대한 축적물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여기서 스펙터클은 거대한 예산의 제작 기획, 서사시적 주제, 그리고 현란한 장관 혹은 볼거리로써, 스펙터클 영화(spectacle film)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기 드보르의 스펙터클은 고도로 축적되어 이미지가 된 자본이다. 그는 자본주의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것을 사용했다.  

그래서 그의 스펙터클은 이미지들의 집합을 넘어 이미지들에 의해 매개된 사람들 간의 사회적 관계를 포함한다. 이 스텍터클은 자아와 세계의 경계를, 그리고 진실과 거짓의 경계를 소멸시킨다.  

자신을 스펙터클로 편집하여 집어 넣고, 그것을 널리 공유하여 피드백과 댓글을 갈구하는 세상속에 살고 있는 우리는 이런 스펙터클에 전방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런데, 수많은 SNS 공유 이미지들은 점점 표상 속으로 사라지게 되고, 결국 우리는 우리가 창조한 이 스펙터클에 의해 소외되어 버린다.  

이것은 진짜로 살아있는 것이 아니다. 기 드보르는 이러한 사이비적 삶을 사는 우리가 스펙터클이 만들어내는 외양의 지배를 받으면서 자본주의 사회에 순응한 채, 수동적인 관객의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자신과 소원해진 운명을 수동적으로 매일 감내하면서, 삶을 사는 것이 아니라, 삶을 견뎌내고 있다.   

기 드보르는 스펙터클을 통해 고도로 함축된 이미지에만 매혹되어 진정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는 현대 사회, 즉 디지털 시대, 지금의 모바일 문화의 속성을 비난했다.    

여기에 히토 슈타이얼(Hito STEYERL, 1966- )는 이미지 홍수 사태를 우리가 어떻게 대처해야 할 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그는 이미지는 현실을 재현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즉, 이미지는 이미 가상이 아니라 실체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우리가 이것을 비판하기보다는 그저 사실로 직시하고 받아들이는 편이 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히토 슈타이얼의 관심사를 가장 잘 간결하게 요약한 작품 중 하나이다. 14분 가량의 비디오는 'visibility'에 대한 내용을 반복적인 이미지로 보여준다. 

입으면 자신이 투명해져서 보이지 않게 되는 해리포터의 로브처럼 그 자신이 까만 가운을 입고 출현해 질문을 던진다. 
"어떤 것도 누구도 보여질 수 있을 때 안 보여질 수 있는 것이 가능할까?"
그는 'invisibility'에 대한 5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첫번 째로, 어떤 것을 카메라에 보이지 않게 하는 것, 두 번째 명확하게 앞이 보일 때 안 보이게 되는 것, 셋째 사진이 됨으로써 안보이는 것, 넷째 사라짐으로써 안 보이는 것, 다섯 째 그림으로 된 세상과 합성됨으로써 안 보이게 되는 것이다. 

 '그림인 세상을 완성하는 그림의 일부분이 되라'
 '거기 없는 척을 해라!'
 '박스를 쓰고 사라져라!'
 '당신의 눈만 가려라!'

이것은 마치 판타지 만화, 영화 대사나 혹은 애들 말장난 같다. 
실제로 그가 제시하는 이런 방법들로 정말 'invisibility'가 가능한 것일까? 예를 들어, 내 눈만 가리면 앞이 명확하게 보이는 곳에서 안 보여지는 것인가? 

그는 계속해서 질문을 던진다. 
"사람이 총체적 'visibility' 시대에 살고 있으면서 어떻게 사라질 수 있나?", "수많은 이미지들에 의해 사람들은 숨겨질 수 있나?", "사람이 아예 이미지가 되어버릴 수도 있나?"
그러니까, 정보 시대의 수많은 이미지 속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이 'invisibility'는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는 우리에게 'visibility'에 대한 완전한 책임감(full responsibility)을 묻고 있다. 
그는 네번 째의 렛슨, 즉 '사라짐으로써 안 보이는 것'에 대해서, '외부 출입이 통제된 주택지에서 사는 것' 또는 '국가의 적으로서 사라진 사람이 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대중 속에 묻혀 있는 듯 없는 존재가 되거나, 비판적 사고로 목소리를 크게 내어 권력의 제거 대상이 되라는 말이다. 
이것은 사실 그에게 실제로 일어난 일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1998년 터키에서 그의 친구가 사라져 버렸다. 그 일에 상당한 충격을 받은 그는 'invisibility'를 통해서 개인의 자유 박탈이 공공연히 일어나고 있는 정치적 관행에 대해서 비판하고 있다. 
그는 "가능성이 제로인 일, 절대로 가능하지 않는 일, 예를 들어 지구의 얼굴이 인간을 삼켜버리는 것과 같은 일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으며, 우리는 이것을 두 번 생각하거나 고려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한 이 비디오에는 캘리포니아 사막 지역에 공군 감시 지역 표시 기능을 했던 콘크리트가 구멍이 숭숭 뚫려진 채 나온다.
왜 이렇게 된 것일까? 사막의 바람에 부식되고 금이 간 것일까? 아니면, 감시가 멈춰졌기 때문일까? 둘다 아니다. 
이것은 더 발전된 시스템의 사용으로 더 이상 사용의 가치가 없어져서 버려진 것이다. 더 나은 것이 만들어지면 이전의 것은 가차없이 버려지고 결국 우리는 그 존재 자체를 잊어 버리게 된다. 
히토 슈타이얼이 이미지 홍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요구하는 완전한 책임감(full responsibility)은 과연 무엇인가? 
안보이는 척을 하지 말고, 익명성에 의존해 숨어있지 말고, 보이는 것에 책임을 져라는 것이다. 

2. "영웅은 죽었다. 사물이여 영원하라!"

(다음에 계속…)

최지혜
유로저널 칼럼니스트 / 아트컨설턴트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Articles

6 7 8 9 10 11 12 13 14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