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월어는 되살아날 것인가?

by 한인신문 posted Oct 23, 20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콘월 주민들이 토착어를 되살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이코노미스트지가 보도했다. 콘월에 대한 향토애가 지극한 주민들은 콘월인을 독립된 민족으로 여긴다.
무엇보다도 콘월은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바다로 막혀 있고 또 타머강을 경계로 잉글랜드와도 격리되어 있다는 것. 무엇보다도 중요한 증거는 켈트어의 한 갈래로 브르통어와 웨일스와 비슷한 콘월어라는 독자적 언어를 역사적으로 썼다는 사실이다.
콘월어는 몇 세기 전에 사라진 언어였다. 콘월어를 마지막으로 쓴 사람은 1777년에 죽었다. 그러나 1920년대부터 콘월어 되살리기 운동이 불붙으면서 지금은 콘월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사람이 수백명으로 늘어났다. 2002년 영국 정부는 콘월어를 웨일스어, 스코틀랜드어의 몇개 방언, 아일랜드의 게일어, 망스어와 함께 영국의 소수민족어로 공식 지정했다.
그러나 어떤 콘월어를 표준어로 삼느냐를 놓고 콘월어 전문가 사이에서도 갑론을박이 있다. 콘월어 방언은 현재 서너 가지가 있다. 현재 각 방언 대표들이 머리를 맞대고 절충안을 협의하고 있다.
콘월어 부활론자들은 앞으로 웨일스처럼 초등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콘월어를 가르쳐서 콘월어 사용인구를 급속도로 늘리겠다는 꿈에 부풀어 있다. 콘월어 사용인구가 늘어나면 웨일스처럼 분리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질까? 정부 보조금으로 콘월어 보급운동을 벌이는 처지에서 아직은 그 문제에 대한 언급을 꺼리지만 그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콘월어를 배우면 필연적으로 콘월에 대한 역사의식이 생기기 때문이다.

한인신문 단독 영국 뉴스

@유로저널 ONLY 뉴스 에 게재된 각국 기사 내용은 한국 언론들이나 포탈싸이트에 보도되지 않았거나, 본지가 직접 취재한 기사들만을 보도합니다.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