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유럽,베트남 참치 수입 세계 2 위 기록해 베트남 수산물 수출, 향후 5년내 40% 이상 증가 목표 베트남의 수산물...
Posted in 국제 / by admin_2017 / on Jan 06, 2021 00:53
유럽,베트남 참치 수입 세계 2 위 기록해 베트남 수산물 수출, 향후 5년내 40% 이상 증가 목표 베트남의 수산물 수출이 증가하면서 對EU 참치 수출액도 전년 동월 대비 0.5% 증가해 약 1억 2천6백만 달러를 기록해 미국에 이어 유럽이 베트남 참치 수입국으로 부상했다. 베트남 농림축산식품부의 발표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11월까지 베트남 對EU 참치 수출은 각각 이탈리아 60%, 독일 20%, 스페인 41%가 증가해 기록을 세웠다. 베트남의 참치 수입국으로는 미국이 약 2억 6천만 달러로 수입국 1위 자리를 유지했으며, EU가 2위를 기록했다. ![]() 2020년 1월-11월 베트남 참치 수출 총액은 약 60억 달러였다. 베트남의 對EU 참치 수출 급증은 2020년 8월 1일에 발효된 베트남-EU 자유무역협정(EVFTA)이 원인이 되고 있다. EVFTA에 의해 EU는 베트남의 냉동, 찜, 통조림 참치 제품에 대한 관세를 철폐했다. 냉동 참치 필레의 경우 3년간 관세 인하 일정에 따라 수출 관세가 0%로 낮아지게 된다. 베트남 수산식품 수출생산자 협회(VASEP)는 베트남 기업들이 불법 조업, 식품 추적성, 식품 안전 등의 규제를 성실히 이행한다면 EU 시장에서 더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베트남 참치는 전 세계 참치 수입국들이 코로나19로 인해 공급원의 다양화를 원하는 만큼 향후 이집트와 중동,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참치 공급 잠재성 또한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베트남 농림축산식품부 발표에 따르면 2020년 베트남의 농림어업 분야 총 수출액은 412억 달러이며, 수산물은 그중 85억 달러를 차지했다. 베트남 수산물은 현재 미국, 일본, EU, 중국, 한국, 아세안 등 전 세계 160여 개 시장으로 수출되고 있다. 베트남 수산물 수출가공협회(VASEP)는 악천후, 미국의 반덤핑 관세, EU의 옐로카드 등의 무역 장벽에도 베트남의 수산물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2025년까지 2020년보다 40% 높은 120억 달러의 수출액 달성을 전망했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
유로저널-한국 뉴스
www.eknews.net는 최대발행부수와 최대발행면을 통해 전유럽 19 개국 한인사회로 유일하게 배포되고 있는 주간신문 유로저널의 홈페이지입니다. 기사 제보를 비롯한 광고 문의 등은 아래 연락처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44 (0)208 949 1100, +44 (0)786 8755 848 eurojournal@eknews.net 혹은 eurojournals@hot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