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32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사실 이번 시리즈의 제목을 ‘오싹 오싹 공포체험’으로 정한 것은 초등학교 시절 읽었던 ‘오싹 오싹 공포체험’이라는 책이 떠올라서였다. 지금은 한국에서 학습지가 종류도 정말 많고, 매우 흔한 것이 되었지만, 당시에는 그리 많지 않았다. 그 중에서 한창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게 ‘공문수학’이라는 산수/수학 학습지였다. 단계별 학습지가 배부되고 일주일에 한 번씩 ‘공문 선생님’이 가정으로 방문하여 지도 및 점검을 하는, 가정 방문 학습지의 거의 효시라 할 수 있겠다. 지금 떠올려 보면 제법 예쁘장하고 어린 여선생님들도 있었던 것 같다. 어쨌든, 이 ‘공문수학’을 운영하는 회사는 ‘대교’로, 소속 출판사인 ‘대교 문화’를 통해 이런 저런 청소년 서적을 출간했었는데, 거기서 제작한 무서운 이야기 모음집이 바로 이 ‘오싹 오싹 공포체험’이었고, 필자는 예쁜 ‘공문 선생님’에게 신청하여 본 서적을 구입했다.

사실, 청소년 대상 도서로 무서운 이야기 모음집을 출간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다소 논란거리가 있을 수도 있겠는데, 어쨌든 당시에는 매우 호응이 좋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현대 공포물에만 익숙한 이들에게는 다소 촌스러울(?) 수도 있는, 말 그대로 무서운 이야기들을 담았는데, 거기에는 수학여행이나 극기훈련에서 단골 레퍼토리로 취급되던 ‘수진이 이야기’를 비롯, 당시 초등학생들의 간담을 서늘케 하던 이야기들이 담겨 있었다. 극기훈련에서 실종된 여자 어린이의 이야기를 다룬 ‘수진이 이야기’는 서울의 모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실화라는 근거 없는 소문이 아이들 사이에서 퍼지면서, 정말 오싹했던 기억이 난다.

사촌 형, 동생들과 모여서 놀다가 밤이 되면 늘 꺼냈던 무서운 얘기들, 더운 여름에도 이불 속에 쏙 들어가 괜히 심각한 톤(?)으로 주워 삼켰던 그 수 많은 이야기들, 한여름 모기장 속에서 떨면서 봤던 ‘전설의 고향’과 ‘여곡성’, 읽고 또 읽어 어지간한 스토리는 거의 암기하다시피 했던 ‘오싹 오싹 공포체험’, 그 시절에는 그렇게 무서웠던 것들...

그런데 서른이 되어버린 지금, 그 시절 그렇게 무서웠던 것들이 더 이상 그렇게 무섭게 여겨지지 않음을 발견한다. 세상에는 어두움이나 귀신보다 훨씬 더 무서운 것들이 너무나 많다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다름아닌 우리 사람, 더 정확히는 우리의 어두움과 악함이다. 사람이 사람을 얼마나 미워하고 증오할 수 있는지, 사람이 사람에게 얼마나 못되고 끔찍한 짓을 할 수 있는지, 사람이 사람을 얼마나 속일 수 있는지, 이런 것들을 직접 목격하고, 또 간접적으로 접하면서 정말 사람이라는 존재는 그 어떤 무서운 이야기보다 더 무서울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어린 시절 우리들이 공포스러워하던 무서운 이야기에 별로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어른들은 아마도 이미 이러한 진리를 깨달았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인생을 살다보면 ‘전설의 고향’의 귀신이나 무서운 이야기보다도 훨씬 더 무섭고 몸서리쳐지는 일들이 너무나 많다는 것을...

사람이 가장 무서운 존재지만, 어떻게 보면 가장 무서울 때는 나 자신이 악함을 발견할 때인 것 같다. 사람을 미워하고, 질투하고, 목적에 의해 거짓으로 말하고, 행하고, 또 무시하고, 욕하고... 물론, 이러한 것들이 주로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이상 다른 사람들은 모를 것이다. 그러나, 내 안에서는 이러한 스스로의 추악함에 엄청난 공포를 느끼며 떨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언제나 변치 않는 순수함과 꿈, 도전, 열정, 이런 것들을 간직하려 하지만, 그러면서도 나도 모르게 돈과 안락함에, 명예와 권력에 매혹되는 스스로의 모습도 너무나 무섭다. 또, 다가올 날들에 대한 두려움도 무섭다. 가진 것 없어도 마음은 저 넓은 우주를 꿈꾸고, 한없이 당당했던 지난 시절에 비해, 어느새 내가 쥐고 있는 물질이 나의 존재를 대변하는 듯 하다. 어린 시절, 아니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었던 그런 속물적인 모습이 스스로에게 발견될 때면 무서움과 함께 서글픔마저 밀려온다.

그러고 보면, 또 너무나 무서운 것은 바로 돈인 것 같다. 우리 인간들의 어두움과 악함을 자아내는 가장 큰 매개체는 바로 이 돈이 아닐까? 날마다 돈 때문에 벌어지는 수 많은 놀라운 일들, 돈은 분명 우리 인간에게 꼭 필요한 것이고 우리가 잘 다스릴 때는 참 좋은 일도 많이 하는 선한 것이 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이 세상을 가장 어둡게 만드는 악한 것이 되기도 하는 것 같다.

남들은 이미 터득해버린 세상의 쓴 맛(?)을 이제서야 조금씩 맛보고 있는 지도 모르겠다. 그럼에도 사람이, 돈이 무서워지는 게 너무나 싫다. 추악하게 변하는 스스로의 내면에 실망하는 것이 너무나 두렵다. 그냥 여전히 무서운 이야기가 가장 무서우면 좋을 텐데... 사람을, 돈을 무서워하지 않고, 귀신과 무서운 이야기를 가장 무서워할 수 있는 행복(?)은 아마도 어린이들의 특권인가 보다.


<사진 출처 http://jampuri.egloos.com/3526560>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전성민의 '서른 즈음에' - 필자 소개 file 유로저널 2007.01.19 12967
93 마지막 선택 file 유로저널 2008.12.02 3505
92 내가 살던 그곳은... file 유로저널 2008.11.23 2653
91 비오는 날, 어둠이 내린 창밖을 보며... file 유로저널 2008.11.15 2017
90 오랜만에 해 본 양보 file 유로저널 2008.11.09 2136
89 무엇에 투자하고 있는가? file 유로저널 2008.11.02 1923
88 영국 3년차, 웃은만큼 눈물도... file 유로저널 2008.10.20 3102
87 21세기에 예수쟁이로 산다는 것은 – 마지막 회 유로저널 2008.10.12 2119
86 21세기에 예수쟁이로 산다는 것은 (6) 유로저널 2008.10.01 2079
85 21세기에 예수쟁이로 산다는 것은 (5) 유로저널 2008.09.26 1838
84 21세기에 예수쟁이로 산다는 것은 (4) 유로저널 2008.09.21 1874
83 21세기에 예수쟁이로 산다는 것은 (3) 유로저널 2008.09.14 2016
82 21세기에 예수쟁이로 산다는 것은 (2) 유로저널 2008.09.07 2261
81 21세기에 예수쟁이로 산다는 것은 (1) 유로저널 2008.08.29 2370
80 얼굴이랑 몸매가 그렇게 중요해? file 유로저널 2008.08.24 3689
79 작은 대나무에 물을 주면서... file 유로저널 2008.08.18 3943
78 그래도 아직은 아름다운 사람들... file 유로저널 2008.08.11 2141
» 오싹 오싹 공포체험 (2) file 유로저널 2008.08.05 3281
76 오싹 오싹 공포체험 (1) file 유로저널 2008.07.29 2704
75 그 시절 라디오 스타들을 추억하며 (2) file 유로저널 2008.07.21 2275
74 그 시절 라디오 스타들을 추억하며 (1) file 유로저널 2008.07.15 3443
Board Pagination ‹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 2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