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경제
2025.01.30 22:59
2024년 취업자 수, '50대미만은 감소나 정체, 60대 이상은 크게 증가'
조회 수 82 추천 수 0 댓글 0
2024년 취업자 수, '50대미만은 감소나 정체, 60대 이상은 크게 증가' 취업자 중에서 근무 시간이 주당 36시간 미만은 29.7% 증가한 반면, 36시간이상은 -8.8% 감소 2024년 취업자 수가 50대미만에서는 감소하거나 전체였던 반면, 60대 이상은 대폭 증가해 양질의 고용 시장이 되지는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시간대별 취업자의 전년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주당 36시간미만 취업자는 881만명으로 201만 5천명(29.7%) 증가하였으나, 36시간이상 취업자는 1,931만 9천명으로 187만 5천명(-8.8%) 감소했다. 지난 해 12월 '계엄 사태'가 내수 침체에 비상계엄 선포와 탄핵소추에 따른 정국 불안이 겹치면서 고용 시장까지 덮쳐 취업자 수 5만 명 급감해 고용률도 지난 2021년 2월(-1.3%p) 이후 3년 10개월 만에 하락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해 12월 15살 이상 취업자 수는 2,804만 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만 2,000명 감소했고, 고용률도 61.4%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3%p 줄었다. 특히, 12월 건설업 취업자 수는 15만 7,000명 감소하면서, 2013년 10차 산업 분류 개편 이후 가장 크게 감소했고, 제조업도 9만 7,000명 줄었고, 임시·일용직을 중심으로 도소매·운수창고·숙박음식·개인서비스업 취업자 수도 6만 5,000명 급감했다. 연령별로는 20대와 40대는 각각 12만 4,000명, 8만 1,000명 감소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24년 한국의 경제 활동 인구는 4,557만명이고 그 중 취업자 수는 2,857만 6천명으로 고용률인 62.7%로 전년대비 0.1% 증가해 정체 상태에 머물렀다. 15-64세 인구 수는 총 3,561만 8천명으로 전년 대비 33만 8천명이 감소한 반면 취업자 수는 2,477만명으로 전년대비 12만 2천만명이 감소해 인구 감소로 인한 고용률이 전년대비 0.3% 증가하게 되었다.
15-29세의 경우는 인구 수가 815만 2천명으로 전년대비 23만 8천만명이 감소했지만 취업자 수는 375만 5천명으로 14만 4천명만이 감소해 전년대비 고용률이 -0.4% 감소한 46.1%로 가장 낮아 청년 실업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30-39세의 경우는 인구 수가 680만 3천명으로 전년대비 1만 6천명이 증가한 반면, 취업자 수는 544만 7천명으로 9만명이 증가해 고용률은 전년대비 1.2% 상승한 80.1%로 가징 높았다. 40-49세의 경우 인구 수는 781만 4천명으로 14만 9천명이 감소한 반면, 취업자 수는 617만 9천명으로 8만 1천명이 감소해 고용률은 전년대비 0.5% 증가한 79.1%를 기록했다. 50-59세의 경우 인구 수는 865만 5천명으로 전년대비 6만 2천명이 증가했고, 취업자 수는 670만 5천명으로 2만8천명이 증가해 고용률은 -0.2% 감소한 77.5%였다. 60세이상 인구 수는 1,414만 7천명으로 47만 3천명이 증가했고, 취업 자 수는 648만 9천명으로 전년대비 26만 6천명이 증가해 고용률이 45.9%로 전년대비 0.4% 증가했다. 65세이상 인구 수는 995만 3천명으로 50만 1천명이 증가했고, 취업자 수는 380만 6천명으로 전년대비 50만 1천명이 증가해 고용률은 전년대비 0.9% 증가한 38.2%를 기록했다. 70세이상 인구 수는 645만 4천명으로 28만 2천명이 증가했고, 취업자 수는 198만 명으로 전년대비 13만 1천명이 증가해 고용률은 전년대비 0.7% 증가한 30.7%를 기록했다. 15-64세 남성의 경우 인구 수는 전년대비 9만 7천명이 증가한 2,245만 9천명인 반면, 취업자 수는 -2만 9천명이 감소한 1592만 4천명으로 고용률은 전년대비 -0.4% 감소한 70.9%를 나타냈다. 15-64세 여성의 경우 인구 수는 전년대비 6만 6천명이 증가한 2,311만 1천명이었고,, 취업자 수는 18만 8천명이 증가한 1,265만 2천명으로 고용률은 전년대비 0.6%증가한 54.7%를 나타냈다. 산업별 취업자의 전년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8만 3천명, 2.9%), 정보통신업(7만 2천명, 6.9%),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6만 5천명, 4.8%) 등에서 증가하였다. 반면, 도매및소매업(-6만 1천명, -1.9%),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및임대서비스업(-5만 2천명, -3.6%), 건설업(-4만 9천명, -2.3%) 등에서 감소하였다. 직업별 취업자의 전년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전문가및관련종사자(22만 4천명, 3.6%), 사무종사자(8만 4천명, 1.7%), 서비스종사자(6만 1천명, 1.7%) 등에서 증가하였다. 반면, 판매종사자(-10만 8천명, -4.1%), 기능원및관련기능종사자(-5만명, -2.2%), 관리자(-3만 5천명, -7.4%) 등에서 감소하였다. 한국 유로저널 임택 선임기자 tlim@theeurojournal.com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