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사회
2023.09.19 19:04
여성 고용률 60.0%로 2010년 이후 최고
조회 수 297 추천 수 0 댓글 0
여성 고용률 60.0%로 2010년 이후 최고 30대 남녀 일보다 가정 중시, 20대 여성과 50대 남성은 일이 더 중요
지난해 15~64세 여성 고용률은 60.0%로, 2010년(52.7%) 대비 7.3%p 상승해 처음으로 60%에 진입한 가운데, 특히 30~34세 여성 고용률(68.5%)이 2010년 대비 15.5%p, 큰 폭으로 증가했다. 여성가족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고용기간 1년 이상) 비율은 지난해 남성 57.6%, 여성 53.6%로 2010년 대비 남성 9.6%p, 여성 19.1%p 증가했다.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은 여성 46.0%, 남성 30.6%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4%p 높았다. 여성 저임금근로자(중위임금의 2/3 미만인 자) 비율은 지난해 22.8%, 남성은 11.8%로 나타났고 2010년 대비 여성은 17.0%p, 남성은 4.4%p 줄었다. 아울러 1만 8113원인 여성 임금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남성(2만 5886원)의 70.0% 수준으로, 2010년 대비 8.4%p 개선됐다. 이와 함께 지난해 육아휴직자는 약 13만 1천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10만 5000명) 대비 남성은 1만 6천명, 여성은 1만 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육아휴직자는 3만 8천명으로 1.7배 증가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활용한 근로자는 지난해 1만 9천명으로, 2019년(5600명) 대비 3.4배 증가했다. 남성(29.4%)과 여성(20.9%) 모두 1천명 이상 규모 사업장에서 사용 비율이 높았다. 또 지난해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근로자는 남성(17.3%)과 여성(14.4%) 모두 2019년 대비 5.0%p 이상 증가했고, 여성은 시차출퇴근제(33.7%), 남성은 탄력근무제(30.7%) 활용률이 가장 높았다. 지난해 여성 가구주 가구소득은 3652만 원으로, 전년 대비 9.1% 증가했으나 남성 가구주 가구소득 7344만 원에 비해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 가구주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 비율은 58.5%로 전년 대비 2.0%p 증가했고, 공적이전소득 비율은 14.7%로 전년 대비 1.6%p 감소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건강보험 직장가입률은 2010년 대비 여성은 16.7%p, 남성은 7.8%p 증가했다. 기초생활수급자는 235만 9천명으로 2010년 대비 1.6배 증가했으며, 기초생활수급자 중 여성의 비율은 55.7%로 남성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한편 지난해 규모가 1천명 이상인 민간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은 12.4%로, 2018년(10.1%) 대비 2.3%p 증가했다. 4급 이상 국가공무원 중 여성 비율의 경우 23.2%로, 2018년 대비 1.4배 늘었다. 아울러 2021년 여성의 기대수명은 86.6년, 남성의 기대수명은 80.6년으로, 2010년 대비 여성은 3.0년, 남성은 3.8년 증가했다. 2021년 일반건강검진 중 정신건강(우울증) 검사의 경우 ‘우울 증상이 없음’으로 판정받은 남성은 82.4%, 여성은 76.7%인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 산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33.4세로, 2010년 대비 2.1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해 불임 치료 환자는 약 25만 2천명으로 2017년 대비 20.9% 증가했으며, 난임 시술 이용자 중 여성 비율은 54.2%로 2017년 대비 4.4%p 감소했다. 이 밖에도 지난해 기준 가사분담을 ‘아내가 전적으로 책임진다’는 응답이 여성(23.7%)과 남성(18.2%) 모두에서 2020년 대비 각 1.4%p, 2.9%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일과 가정생활 중 ‘가정생활을 우선시한다’는 응답은 30대 여성(25.4%)과 남성(23.7%)이 가장 높았고, ‘일을 우선시한다’는 응답이 여성은 19~29세(33.6%), 남성은 50대(42.9%)에서 가장 높았다.
한국 유로저널 노영애 선임기자 eurojournal03@eknews.net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