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건강
2024.12.07 23:52
수면무호흡증 환자 5년 새 3배 늘어,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도 높아
조회 수 9 추천 수 0 댓글 0
수면무호흡증 환자 5년 새 3배 늘어,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도 높아 심혈관질환 없는 18~64세의 젊은 연령층서 급성심장정지 위험도 76% 증가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5년 새 3배가량 늘어 났고, 수면무호흡증으로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5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추거나 불규칙해지는 상태로, 호흡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거나 얕아지는 증상은 수면의 질을 낮춘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2018년 4만 5067명에서 지난해 15만 3802명으로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은 30~40대, 여성은 50~60대에서 수면무호흡증 발생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면무호흡증의 주요 증상으로는 수면 중 호흡 중단, 주간 졸림증, 집중력 저하, 코골이 등이 있다. 수면무호흡증은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연구 결과를 보면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5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혈관질환이 없는 18~64세의 젊은 연령층에서 급성심장정지 위험도가 76%까지 증가해 심혈관질환이 없는 젊은 연령층에서 수면무호흡증이 급성심장정지의 위험한 요인 중 하나라는 것을 나타낸다. 수면무호흡증의 원인 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OSA)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기도가 부분적 또는 완전히 막혀서 발생합니다. 주로 기도 주변의 인후근육(목 근육)의 이완으로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게 됩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비만: 과도한 체중이 목 주변의 지방 축적을 증가시켜 기도를 좁히는 주된 원인이다. 연령: 나이가 들수록 목 근육의 탄력이 감소하고 기도가 더 쉽게 좁아질 수 있다. 구조적인 문제: 비강이나 목 구조에 이상이 있을 경우(예: 비중격만곡증, 아데노이드, 편도선 비대 등)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힐 수 있다. 흡연: 흡연은 기도 염증과 부종을 유발하여 기도가 좁아지는 원인이 된다. 음주 및 약물: 알콜과 진정제는 인후 근육을 이완시켜 기도가 막히기 쉬운 환경을 만든다.
유전적 요인: 가족력에 따라 수면무호흡증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2. 중추성 수면무호흡증 (CSA) 중추성 수면무호흡증은 뇌가 호흡을 제어하는 신경 신호를 제대로 보내지 못해 발생한다. 즉, 호흡 근육에 대한 신경 신호의 결함으로 호흡이 멈추게 되는 상황이다. 이 유형은 상대적으로 드물며,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이 있다 심장 질환: 심부전 등의 심장 질환이 있을 경우 뇌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중추성 무호흡이 발생할 수 있다. 뇌졸중: 뇌의 특정 부위에 손상이 있을 경우 호흡을 조절하는 뇌의 기능이 떨어져 중추성 수면무호흡증이 발생할 수 있다. 약물: 진정제나 진통제 등이 뇌의 호흡 제어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3. 복합적 수면무호흡증 (Complex Sleep Apnea Syndrome) 이 유형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중추성 수면무호흡증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이다. 치료가 까다롭고, 주로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기기를 사용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수면무호흡증은 단순한 수면 문제를 넘어서 급성심장정지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 위험 요인으로 그 위험성을 인식하고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특히, 비만이나 흡연, 고혈압 등은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건강관리를 통해 급성심장정지를 예방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국 유로저널 김용대 의학전문기자 ydkim@theeurojournal.com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