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1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트랜스 지방에 대해 알아야 할 위험한 진실

비만과 성인병의 원인, 일일 트랜스지방 섭취량은 2g미만으로 제한해야

지방에는 포화 지방과 불포화 지방으로 나뉘고, 이들을 통해 만들어진 트랜스 지방이 있다.

포화 지방은 실온에서 고체 형태를 유지하는 기름이나 지방으로 육류나 가공식품에 많이 포함되어 있고 고혈압이나 심장 질환 따위를 유발한다.

포화지방은 일부 식물성 유지에도 있는데 쇠기름, 돼지기름 버터(동물성 기름), 팜유, 코코넛 오일(식물성 기름) 등이 이에 해당한다. 포화지방은 체온 유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포화지방을 과다 섭취할 경우 지방간 위험을 높이고,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증가시켜 심혈관계 질환과 비만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불포화 지방은 실온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기름이나 지방으로 주로 생선이나 식물성 기름에 함유되어 있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심근경색, 뇌졸중 등 동맥경화성 질환의 발병위험을 감소시킨다.

불포화지방이 많이 함유되고 있는 식물성 기름이란 생선기름, 들깨기름, 옥수수기름, 면실유, 콩기름, 홍화기름, 참기름 등에 포함되어 있다. 

이중 단일 불포화지방산으로는 올리브유 등이 있는 데 총콜레스테롤과 나쁜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춰준다.

다가 불포화지방산에는 콩기름, 옥수수기름 등 대부분의 식용유가 포함되는 데 과다 섭취할 경우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추므로 포화지방과 마찬가지로 섭취량을 적절히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요식품멸 지방산 함유 비율

*들깨기름: 

포화지방 10%, 단일불포화지방산 15%, 오메가(6) 20%, 오메가(3) 55%

* 콩기름:

포화지방 15%, 단일불포화지방산 25%, 오메가(6) 50%,오메가(3) 10%

* 옥수수기름:

포화지방 15%, 단일불포화지방산 25%, 오메가(6) 60%,오메가(3) 0%

* 참기름:

포화지방 15%, 단일불포화지방산 25%, 오메가(6) 60%,오메가(3) 0%

* 카놀라유:

포화지방 5%, 단일불포화지방산 55%, 오메가(6) 35%,오메가(3) 5%

* 올리브오일:

포화지방 15%, 단일불포화지방산 75%, 오메가(6) 10%,오메가(3) 0%

*닭가슴살:

포화지방 30%, 단일불포화지방산 50%, 오메가(6) 20%,오메가(3) 0%

* 돼지고기:

포화지방 45%, 단일불포화지방산 45%, 오메가(6) 10%,오메가(3) 0%

* 소고기:

포화지방 50%, 단일불포화지방산 45%, 오메가(6) 5%,오메가(3) 0%

* 버터:

포화지방 65%, 단일불포화지방산 30%, 오메가(6) 5%,오메가(3) 0%

* 코코넛 오일:

포화지방 75%, 단일불포화지방산 20%, 오메가(6) 5%,오메가(3) 0%

 “트랜스 지방이란” 정확히 무엇일까? 

트랜스 지방이란 액체 상태의 식물성 기름을 가공해 상온에서 단단해지도록 만들어 반고체나 고체의 상태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지방으로  이 과정에서 분자의 구조가 변형되어, 우리 몸이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형태가 된다.

간단히 말해, 식품산업에서 인공적으로 생성된 지방 형태로, 화학적으로 ‘불포화 지방산’을 고체 상태로 만들기 위해 수소를 첨가해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분자의 구조가 변형되어, 우리 몸이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형태가 되어 몸에 축적되게 되는 것이다.

흔히 기름이나 버터, 마가린, 쇼트님, 과자, 빵 등을 말할 때 “트랜스 지방 함유”라는 문구를 볼 수 있다. 

트랜스 지방 섭취를 줄이려면 ?

트랜스 지방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영양소가 치우친 가공식품보다는 신선한 채소, 과일, 살코기, 생선 등을 섭취하는 쪽이 안전하다.

또한, 튀김보다는 구이, 찜, 삶기 등 기름 사용을 줄이는 조리 방식이 좋다.

버터나 오일을 쓸 때도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올리브유, 카놀라유 등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스 지방이 몸에 축적되어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LDL 수치를 증가시키고 HDL을 감소시켜 심장병 발병률을 높이고, 그 외에도 복부 비만, 뇌졸중, 암, 치매, 당뇨병 등의 가능성도 높이는 등 온갖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2006년 말부터 미국에서 퇴출 바람이 불었고, WHO에서는 전체 열량 섭취에서 트랜스 지방의 섭취 비율을 1% 미만(하루 2,000kcal를 섭취할 경우 트랜스지방은 약 2.2g 미만)으로 제한하고 있고, 한국에서는 일일 트랜스지방 섭취량을 2g으로 제한하고 있다.

트랜스 지방에 대해 잘못 알려진 부분부터, 너무 많이 섭취했을 때와 부족할 때 나타나는 증상, 그리고 실제 생활에서 어떻게 조절할 수 있는지까지 https://tghui23.tistory닷컴을 인용해 정리해본다. 

1,  트랜스 지방 주요 쓰임새: 

* 식품의 바삭함·고소함·부드러움을 더해주어, 스낵류나 튀김, 제과제빵 제품 등에 자주 활용된다.

* 문제점: 인체에 해로운 작용을 하며, 포화지방보다도 심혈관계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알려져 있다.

2, 트랜스 지방 과잉 섭취 시 나타나는 증상

*혈중 콜레스테롤 불균형

나쁜 콜레스테롤(LDL)은 높아지고, 좋은 콜레스테롤(HDL)은 낮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동맥경화나 심장질환 위험이 올라간다.

* 체중 증가 및 비만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으면 열량이 높아 비만으로 이어지기 쉽고, 복부비만이 특히 주의 대상이다.

비만은 고지혈증·고혈압 등 대사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만성 피로감

과도한 지방 섭취로 인해 소화기관과 간에 부담이 커져, 몸이 쉽게 피곤해질 수 있다.

혈액 순환에도 악영향을 주어, 전반적인 컨디션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 혈관 건강 악화

혈관이 탄력을 잃고, 염증이 증가해 심근경색·뇌졸중 같은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할 위험이 높아진다.

“조금만 먹는 건 괜찮겠지” 하다가도 장기적으로 누적될 경우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 

트랜스 지방이 듬뿍 함유된 매일 치킨, 감자튀김을 먹게 되면, 체중이 금방 늘어나고, 콜레스테롤 수치도 위협적으로 올라가게 되기 때문에 결국 식습관을 바꾸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인 식단에서 트랜스 지방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가 되긴 쉽지 않고, 오히려 과잉 섭취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트랜스 지방은 필수영양소가 아니므로, 부족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0g에 가까운 섭취’가 건강에 유익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이다. 

4. 왜 과잉이 일어날까? (과한 원인)

* 패스트푸드 문화

감자튀김, 치킨, 햄버거, 도넛 등은 튀기거나 볶을 때 트랜스 지방이 생기기 쉬운 식재료·조리법을 활용한다.

편리하고 맛있다는 이유로 자주 먹으면 쉽게 과잉 상태로 이어진다.

* 가공식품 섭취 증가

스낵류, 제과·제빵, 크래커, 인스턴트 식품 등에도 “부분경화유”가 포함될 수 있다.

장기간 섭취 시, 몸이 서서히 부담을 느끼게 된다.

* 가정에서도 사용되는 마가린·쇼트닝

마가린이나 쇼트닝을 사용하는 베이킹, 디저트 만드는 과정에서 트랜스 지방 함량이 높아질 수 있다.

무심코 “버터 대신 마가린이 싸고 편하다”고 써버리면, 결국 몸에 해로운 지방을 더 많이 섭취하게 된다. 

한국 유로저널 김용대 의학 전문기자   ydkim@theeurojournal.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스포츠 유로저널 스포츠 기사 2025년 1월 15일자부터 영국 EPL 등 유럽 프로 축구 소식부터 현장의 생생한 뉴스를 다시 전달을 시작합니다. 2025.01.15 5999
공지 국제 해외 병역기피자 입국금지 및 국적 회복 불허법 발의 2020.12.19 217951
공지 사회 선천적 복수국적자 국적선택신고 안내 -외국국적불행사 서약 방식- (2023년 5월 수정안 제시) file 2019.01.07 330697
공지 사회 5월부터 41세 미만 병역미필자는 재외동포 비자 발급제한 file 2018.02.19 341756
공지 사회 병역 미필자는 국적 회복 불허, 해외 병역대상자 40세로 !!! file 2017.06.20 382424
공지 사회 10억 넘는 해외금융계좌 내국인과 일부 외국인 신고 안 하면 과태료율 40% 2016.05.31 416328
공지 사회 재외국민 국내거소신고제도 폐지에 따른 재외국민 주민등록증 발급 안내 2016.05.22 429157
공지 사회 병역 의무 회피나 감면 목적 외국 여행이나 유학 후 미귀국시 강력 처벌 file 2016.02.22 413192
공지 사회 재외동포, 입국시 자동출입국심사 가능한 반면 지문정보 제공 필수 file 2015.11.23 410598
공지 사회 재외국민 선거, 법 위반하면 국적에 관계없이 처벌 받는다. file 2015.11.17 416816
공지 사회 재외동포 등 외국인 입국 즉시 공항에서 휴대폰 개통 가능 file 2015.10.01 414163
공지 사회 한국 국적 포기자, '최근 3년간 5만명 육박,병역기피자도 증가세 file 2015.09.23 426120
공지 사회 국내 주민등록자, 해외 재산·소득 자진 신고하면 처벌 면제,10월1일부터 6개월간 file 2015.09.22 406761
공지 건강 2007년 출생 선천적 복수국적자,2025년 3월31일까지 국적이탈 신고해야 (18세 이전 이탈 가능); 2023년 5월 수정안 추기 게시) 2015.07.19 436513
3013 건강 사과식초 웰빙 효과, 체중 감량ㆍ당뇨병 관리ㆍ심장 건강에 유익 2025.03.06 150
3012 건강 비타민D 보충, 노년기 근감소증 예방에 효과 2025.03.06 205
» 건강 트랜스 지방에 대해 알아야 할 위험한 진실 2025.03.06 150
3010 건강 만성질환자, 노인에게 특히 더 위험한 폐렴.'사망율 증가세' 2025.03.06 155
3009 건강 커피, 체내 지방 연소에 기여하고 뇌 건강 보호 효과 등 다양 2025.03.06 151
3008 건강 만성질환자, 노인에게 특히 더 위험한 폐렴.'사망율 증가세' file 2025.02.23 620
3007 건강 커피, 체내 지방 연소에 기여하고 뇌 건강 보호 효과 등 다양 2025.02.23 691
3006 건강 대장암' , 50~70대는 증상이 없어도 정기 검진 필수 file 2025.02.07 1089
3005 건강 계란, 최고의 면역 강화하고 단백질 보충에 효과적 2025.02.07 1088
3004 건강 치주 질환 예방,꼼꼼한 칫솔질과 주기적 스케일링이 최선책 file 2025.02.07 1312
3003 건강 비만 아동·청소년,초가공식품섭취가 많을수록, 대사질환 위험 증가 file 2025.01.28 501
3002 건강 혈당과 혈압 관리, 치매 예방에도 중요 file 2025.01.28 529
3001 건강 가려움의 대명사 아토피피부염, 철저한 보습과 피부관리로 생활 속 예방관리 가능 file 2025.01.28 545
3000 건강 10대 ‧ 20대 절반 이상이 혈중 엽산 부족 '남자가 더 부족' file 2025.01.18 234
2999 건강 심근경색증 발생 54.5% 증가해 1년내 사망자도 16%에 육박, file 2025.01.18 218
2998 건강 뇌졸증 환자 발생, 최근 10년동안 9.5% 증가해 file 2025.01.18 220
2997 건강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감염, 개인위생부터 철저히! file 2025.01.18 416
2996 건강 한국인 당뇨,지난 10년 간 당뇨병 조절 25%에서 정체 file 2025.01.05 733
2995 건강 비타민D 보충, 노년기 근감소증 예방에 효과 2025.01.05 758
2994 건강 한국인의 43%가 마그네슘 섭취 부족 상태 2024.12.18 865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