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국제
2025.04.10 11:35
‘트럼프세션’ 공포 질린 금융시장, 뉴욕증시 폭락 등 변동성 심화
조회 수 209 추천 수 0 댓글 0
‘트럼프세션’ 공포 질린 금융시장, 뉴욕증시 폭락 등 변동성 심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 경기 침체 우려로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이른 바 '트럼프세션'(Trumpcession, 트럼프(Trump) 경기 침체(Recession)를 합친 표현) 공포다. 3월 둘째 주 미국 뉴욕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 여파로 급락과 반등을 반복하며 변동성을 키웠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한때 4% 넘게 빠지며 2022년 9월 이래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스탠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사상 최고치 기준 10% 가까이 하락하며 조정 국면 진입 가능성이 커졌다. 뉴욕증시 폭락 이후 저가 매수세가 들어오며 반등하긴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경기 침체 공포에 따른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본격적으로 무역 전쟁 판을 키우고 나섰다. 지난 12일 전 세계 모든 나라를 대상으로 철강·알루미늄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를 시작했다. 4월 2일부터는 각국을 상대로 '상호 관세' 부과에 나선다. 유럽연합(EU), 캐나다, 중국 등은 미국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트럼프 대통령과 날 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기업과 소비자 신뢰도가 추락하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혼란스러운 관세 정책이 계속 타격을 주면서 올해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인터뷰에서 침체 가능성에 대해 자신의 경제 정책을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과도기'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시기가 지나가면 미국 경제에 장기적인 이득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월스트리트에서는 미국 경제 향방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쏟아졌다. 골드만삭스는 관세와 물가 상승에 따른 국내총생산(GDP)과 고용 타격을 지적하며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을 15%에서 20%로 올려 잡았다. 모건스탠리는 올해 미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1.9%에서 1.5%로 내렸다. 관세와 이민 통제 등 성장을 제한하는 정책이 감세와 규제 완화 등 긍정적인 면을 압도하고 있으며 그 심각성이 예상보다 크다고 지적했다. 글로벌트 인베스트먼츠의 토머스 마틴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CNBC에 "관세 전쟁이 가라앉지 않고 계속 심화하면서 예측 불가능성과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면서 "당연히 주식에는 부정적”이라고 말했다. 영국 유로저널 이지예 기자 jylee@theeurojournal.com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