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103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박 우리나라의 프랑스 와인기행 28: 


프랑스 와인 자습서 제4장 부르고뉴(Bourgogne) – 1



세상에서 가장 우아한 와인은 어느 지역에서 나오는가? 이 질문에 상당수는 부르고뉴라고 답할 것이다. 하지만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대답이 나올 수 있다. 그럼 질문을 바꿔보자. 세상에서 가장 비싼 와인은 어느 지역에서 나오는가? 이견이 없을 것이다.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수많은 와인 애호가들이 가장 우아하다고 칭송하지만, 비싼 가격 때문에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와인이 바로 부르고뉴 와인이다.

 

부르고뉴는 어떻게 최고의 와인 산지가 됐을까? 기본적으로는 포도 재배에 아주 적합한 토양과 기후, 즉 테루아(Terroir)가 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하지만 자연조건 외에도 중요한 것이 문화·역사적 배경이다. 유럽의 유명 와인 산지는 교회와 관련이 깊다. 교회가 있는 곳에서는 성찬식을 해야 하고, 성찬식은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상징하는 와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부르고뉴도 마찬가지다. 당시 부르고뉴 지역에는 909년에 세워진 클뤼니(Cluny) 수도원과 1098년에 세워진 시토(Cîteaux) 수도원이 있었다. 이 힘 있는 수도원은 부르고뉴의 뛰어난 포도밭을 대부분 소유했다. 그리고 많은 수도승은 기도와 함께 와인 양조에도 힘을 기울였다. 그들의 공으로 이 기간에 부르고뉴 와인은 질이 굉장히 좋아졌으며, 그 유명세가 점차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상류사회에 퍼져갔다.

 

이 와인의 주 소비자는 종교 권력자, 왕과 귀족이었다. 그중에는 우리가 익히 알만한 이름이 많다. 태양왕 루이 14세는 오래된 부르고뉴 와인이 건강에 좋다는 주치의 파공 박사(Guy Crescent Fagon)의 조언에 따라 즐겨 마셨고, 그 취향은 루이 15세와 16세까지 이어졌다


18세기 말에는 부르고뉴의 로마네(Romanée)’라는 포도밭을 사이에 두고 루이 15세의 측근과 애첩, 콩티 공(Louis-François de Bourbon, prince de Conti)과 퐁파두르 부인(Madame de Pompadour)이 한판 대결을 펼쳤었다. 승자는 콩티 공이었고, 그 밭의 이름은 현재 세계 최고라고 불리는 포도밭이자 와인, ‘로마네 콩티가 됐다. 나폴레옹 역시 부르고뉴 와인 애호가로 유명한데, 전쟁터에서도 부르고뉴 와인, 그것도 샹베르탕(Chambertin)을 꼭 챙겨 마셨다고 한다.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와인이라 하면 이탈리아와 부르고뉴를 우승 후보로 이야기한다. 이탈리아 와인은 토착 품종과 그 변종(클론)이 너무 많은 것이 큰 이유 중 하나다. 그런 점에서 부르고뉴는 참 쉽다. 두 품종만 기억하면 된다. 화이트 와인은 샤르도네(Chardonnay), 레드 와인은 피노 누아(Pinot noir). 물론 깊이 들어가면 화이트의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과 소비뇽 그리(Sauvignon Gris), 알리고테(aligoté), 레드의 갸메(Gamay), 세자르(César) 등이 있지만 잠시 잊어도 괜찮다.

 

그럼 포도 품종이 이렇게 간단한데 뭐가 그렇게 어렵단 말인가? 보르도의 유명한 샤토에서 나오는 와인의 종류는 보통 매년 한 두 종류에 불과하다. 자신들의 간판 와인과 세컨 와인. 하지만 부르고뉴에서는 일반적으로 5~6종류, 많으면 30종류가 넘는다


부르고뉴 와이너리에서 시음하다 취해 쓰러졌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 이런 이유다. 부르고뉴에는 약 100개의 아펠라씨옹이 있다. 60개 근처인 보르도와 비교해도 엄청난 숫자다. 같은 부르고뉴 와인이지만 종류가 100가지고, 가격도 천차만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걸 다 외울 수 없으니 어려운 것이다.

 

부르고뉴 와인 등급은 밭을 기준으로 분류한다. 가장 낮은 급에서 높은 급 순서로, 지역 단위(Appellation régionale), 마을 단위(Communale), 프르미에 크뤼(Premier cru), 그리고 대망의 그랑 크뤼(Grand cru)로 나눈다. 높은 등급으로 갈수록 생산량은 적어지고, 가격은 급격하게 올라간다


보르도는 샤토, 즉 생산자에게 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부르고뉴는 밭에 등급을 매긴다. 생산자가 아무리 실력이 없어도 밭이 그랑 크뤼면 그 와인은 그랑 크뤼지만, 아무리 대가가 만들어도 그 밭이 지역 단위라면 그 와인은 가장 낮은 등급을 받게 된다. 등급이 품질을 정확히 대변하지는 못한다. 그 맹점을 가격이 보완해주기도 한다. 부르고뉴의 거성 르루아 여사(Leroy)가 만든 지역 단위급 레드 와인이 실력 없는 생산자의 그랑 크뤼보다 비싸게 팔리기도 하는 것이 그런 이유다. 더 맛있으니까.

 

www.beaune-tourisme.fr.gif

                                                          출처 : www.beaune-tourisme.fr

 

다음 시간부터는 본격적으로 부르고뉴의 주요 산지를 살펴보겠다.


프랑스 유로저널 박우리나라 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71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5026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20107
124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7) 몽마르트언덕의 보헤미안, 그들의 넥타 (Nectar:생명의 물) file 편집부 2019.12.16 1327
123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6) 니스(Nice)에서 만난, 부르고뉴(Bourgogne) 와인 만드는 의사선생님 file 편집부 2019.12.02 1259
122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5) 부르고뉴(Bourgogne) 피노 누와(Pinot Noir), 그 매혹의 이름! file 편집부 2019.11.08 1211
121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4)-소박한 거품(bulles)과 귀로 마시는 와인의 즐거움 (2) file 편집부 2019.10.08 1657
120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3)-소박한 거품(bulles)과 귀로 마시는 와인의 즐거움 (1) file 편집부 2019.09.24 1333
119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2)-G7 정상 회담과 바스크(Basque) 와인의 추억 (2) file 편집부 2019.09.09 1336
118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1)-G7 정상 회담과 바스크(Basque) 와인의 추억 (1) file 편집부 2019.08.27 1390
117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0)-프로방스 산골 마을에서의 점심식사 file 편집부 2019.08.13 1977
116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19)-아흐카숑(arcachon) 으로 떠난 여행에서 만난 와인 file 편집부 2019.07.24 1873
115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18)-무더운 여름날 로제와인 한 잔 file 편집부 2019.07.09 1681
114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17)-봉(BONG)감독의 기생충과 봉뱅(BON VIN :좋은 와인) file 편집부 2019.06.25 1252
113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16)-'빈엑스포(VINEXPO )2019 보르도(Bordeaux)' file 편집부 2019.06.12 1850
112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14)-그녀들만의 리그 file 편집부 2019.05.15 1286
111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13)-'백마 포도원'에서, "백마타고 오는 초인"을 생각하다. file 편집부 2019.05.01 1614
110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13)-두개의 시음회를 대하는 제각기 다른 자세(2) file 편집부 2019.04.10 1672
109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 (12) - 두개의 시음회를 대하는 제각기 다른 자세 (1) file 편집부 2019.03.25 1058
108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 (11) - 바자스(Bazas)카니발에서 만난 와인들 file 편집부 2019.03.05 2388
107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 (10) - 와인 파리 2019 행사 스케치 file 편집부 2019.02.20 2293
106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 (9) - 사랑! 그 달콤함에 대하여 file 편집부 2019.01.21 1844
105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 (8) - 와인의 죽음과 에곤 쉴레(Egon SCHIELE)의 해바라기 file 편집부 2018.12.18 1916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Next ›
/ 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