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24.06.10 15:31

신뢰와 존중의 관계 – 윤형근과 김환기 1

조회 수 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유로저널 384

신뢰와 존중의 관계 – 윤형근과 김환기 1

 

더할  없는 분노를 주체할  없어’ 

윤형근, 다색, 1980.jpg

윤형근다색, 1980 (사진출처국립현대미술관)

 

먹물같은 색의 기둥들이 쓰러질  아슬아슬하게  있다그림 왼쪽에  기둥은 오른쪽에 쓰러진  기둥을 받치고 있는  같기도 한데 웬지 이마저도  쓰러질  힘들어 보인다하지만모두 꿋꿋히 쓰러지지 않기 위해서 버틴다그리고 뒤로도 흐린 기둥들도 겹겹이 보인다. 

먹을 갈아 만든  같은  검정에 가까운 색은 작가 윤형근(1928-2007) 하늘의 색인 ‘블루(Blue)’ 땅의 색인 ‘엄버(Umber)’ 섞어 검게 만든  거기에 오일을 타서 만든 것이다이것을 그는 면포나 마포에 그어 내렸다그렇게 해서 하늘과 땅이 섞여 만든 검정이 기둥을 이루고 사이에는 문같은 여백이 조금 생겼다. 

윤형근은 1980,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벌어진 직후에 ‘더할  없는 분노를 주체할  없어’  작품을 그렸다. 

그런데한국의 현대미술의 거장   명으로 꼽히는 윤형근 작가의 초기 작품은 이런 먹빛 기둥의 그림과는 아주 다르다그렇다면살아 생전에 말이 거의 없어 ‘침묵의 화가라고 불렸던 그가 어떤 삶을 살았길래 이런 힘든 기둥을 그렸을까 

1928 청주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한국의 역사적 시기에 청년기를 보낸 그는 3번의 복역과 1번의 죽을 고비를 넘길 만큼 녹록지 않은 삶을 살았다. 1947 서울대학교에 입학했지만, ‘국대안(국립대학교설립안반대’ 시위에 참가했다가 구류 조치  제적당했다. 

당시 교수였던 김환기(1913-1974) 도움으로 홍익대학교 회화과에 편입할  있었다그러다가 1950 한국전쟁 발발 직후 학창시절 시위 전력으로 ‘보도연맹 끌려가 학살당할 위기도 겨우 면했다또한 전쟁 중에 피난을 가지 않고 서울에서 부역했다는 명목으로1956 6개월간 서대문형무소에서 6개월간 복역했다.

1960년에 윤형근은 김환기의 장녀와 결혼해  사람은 가족이 되었다윤형근은 평생 김환기를 ‘아버지 불렀고김환기도 윤형근을 ‘신뢰와 존중으로 대했다고 한다. 

이후 유신체제가 한창이던 1973 숙명여고 미술교사로 재직 당시당대 최고의 권력자인 중앙정보부장이 뒤를  주던  학생의 비리를 따져 물었다는 이유로, ‘반공법 위반’ 협의로 잡혀가 고초를 겪었다 

당시 그가 쓰고 있던  모자가 러시아의 레닌의 것과 비슷하다는 것이 이유였다고 윤형근의 아들은 회고했다 모자는 사실 윤형근의 장인이자 스승이었던 작가 김환기가 뉴욕에 살면서 즐겨쓰던 모자였고 그것을 윤형근이 사진으로   멋있어 보여 자신도 직접 만들어  것이라고 한다. 

고초를 겪고 집으로 돌아온 윤형근은 그때부터 다른 직업을 아예 가질  없었다. ‘요시찰 인물 찍혀 수시로 경찰의 감시를 받고 있었기 때문이다그래서 그는 어쩔  없이 10 년간 그림 작업에만 전념했다당시 그의 나이는 45세였다 

 

 

하늘과 별과 

윤형근, 별과 과 뜰, 1966.jpg  

윤형근, 별과 달과 뜰, 1966 (사진출처: 홍대신문)

 

이 작품은 홍익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윤형근 작가의 초기 작품이다. 자신이 가장 좋아했던 김환기(1913-1974) 작가의 푸른 색감에 색점이 그대로 드러난다. 

 

김환기, 북서풍 30-VIII-65, 1965.jpg

김환기, 북서풍 30-VIII-65, 1965

 

이렇게 윤형근의 1960년대 중반 작품들에서는 김환기 점과 원의 영향이 많이 드러난다 

김환기 작가는 특히 한국의 전통 미술과 자연을 사랑했다백자에 ‘달항아리라는 이름을 붙여준 것도 바로 그다그의 한국의 전통적 소재에 대한 사랑은 1956 파리로 건너간  더욱 깊어졌다. 1957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 그는 “여기 와서 느낀 것은 시정신(詩精神)이오예술에는 노래가 담겨야   같소거장들의 작품에는 모두가 강력한 노래가 있구려.”라고 적었다. 

 

김환기, 영원의 노래, 1957.jpg

김환기영원의 노래, 1957 (사진출처다음카페)

 

이후김환기는 1963 50세에 미국 뉴욕으로 건너가  다른 도전에 몸을 던졌다. 1  개인전을 열었지만뉴욕타임스(NYT) 전시에 대해 “미국 추상표현주의의 모방이라고 혹평을 받았다하지만그는 포기하지 않고 새로운 형식의 실험을 계속했고 마침내 ‘ 재발견했다위의  북서풍 30-VIII-65’   결과물의 하나라고   있다. 

점화가 성공할  같다미술은 하나의 질서다.”  

– 김환기 뉴욕일기 - 

윤형근 작가의 1970년대부터 2007년까지 나타나는 번짐 기법 또한 김환기 작가의 작품에서   있는 특징적인 것이다. 

 

윤형근, Umber-Blue, 1980.jpg

윤형근, Umber-Blue, 1980 (사진출처: curio-jpn.com)

 

윤형근은 1970년대 ‘한국미술대상전에서 대상을 받은 김환기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1970)’에서 번짐 기법을 접하고 그것에 영향을 받았다고 직접 말한 적이 있다. 

 

김환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1970.jpg  

김환기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16-IV-70 #166, 1970 (사진출처한국일보)

 

 작품은 1969~1970 김환기의 점화가 마침내 전면 점화로 진화하면서 완성된 작품이다. 

내가 그리는 하늘 끝에  갔을까내가 찍은  총총히 빛나는 별만큼이나 했을까눈을 감으면 환히 보이는 무지개보다  환해지는 우리 강산….” 

-김환기 뉴욕일기-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Kculture #Kart #윤형근 #김환기 #다색 #점화 #유로저널 #최지혜예술칼럼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57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989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20076
18 최지혜 예술칼럼 예술가의 역할; 신디 셔먼 5 file 편집부 2023.11.09 69
17 최지혜 예술칼럼 요즘 예술 트렌드 - ‘올드머니(Old Money)’ 스타일 file 편집부 2023.11.26 450
16 최지혜 예술칼럼 요즘 예술 트렌드 – ‘Diversity’ file 편집부 2023.12.13 83
15 최지혜 예술칼럼 요즘 예술 트렌드 - ‘Identity’ file 편집부 2023.12.13 70
14 최지혜 예술칼럼 유행을 만들려면? – ‘판’ 짜기 file 편집부 2024.01.08 79
13 최지혜 예술칼럼 유행을 만들려면? – ‘꾼’들의 행보 file 편집부 2024.01.08 62
12 최지혜 예술칼럼 예술 시장 대세 읽기 file 편집부 2024.02.27 56
11 최지혜 예술칼럼 예술 트렌드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file 편집부 2024.02.27 53
10 최지혜 예술칼럼 예술에서만큼은, 나는 킬러다! – 루이즈 부르주아1 file 편집부 2024.02.27 44
9 최지혜 예술칼럼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잔인함을 경험한다.’ - 루이즈 부르주아2 file 편집부 2024.02.27 49
8 최지혜 예술칼럼 ‘마주하기’ - 루이즈 부르주아3 file 편집부 2024.03.10 42
7 최지혜 예술칼럼 파괴하고자 하는 욕망 또한 창조의 욕망 – 뱅크시 1 file 편집부 2024.03.17 113
6 최지혜 예술칼럼 뱅크시는 성공한 예술가가 아니다? - 뱅크시 2 file 편집부 2024.03.31 59
5 최지혜 예술칼럼 삶의 가벼움과 참을 수 없는 무게 - 리처드 세라를 추모하며 1 file 편집부 2024.04.22 51
4 최지혜 예술칼럼 삶의 가벼움과 참을 수 없는 무게 - 리처드 세라를 추모하며 2 편집부 2024.04.27 57
3 최지혜 예술칼럼 고립감과 자유로움 - 리처드 세라3 file 편집부 2024.05.12 54
2 최지혜 예술칼럼 멘토를 찾아서 – 윤형근1 file 편집부 2024.05.12 72
» 최지혜 예술칼럼 신뢰와 존중의 관계 – 윤형근과 김환기 1 file 편집부 2024.06.10 19
Board Pagination ‹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