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16.12.19 01:41

낭만에 대하여2

조회 수 16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낭만에 대하여2



4. "몸이 세계에 거주한다

몸은 세계 속에 있다. 마치 평온한 집에서 거주하듯이 말이다. 메를로-퐁티는 이것을 "몸이 세계에 거주한다고 했다. 이와 같이 우리의 몸은 친숙함의 정도에 따라 세계 속에 깊이 진하게 편입되어 살아 가고 있다.


1071 - 최지혜 칼럼 5.jpg


The Rokeby Venus, Diego Rodriguez de Silva Velazques, 1648



몸은 세계가 가하는 여러 작용들을 받아 그것에 적응하려고 한다. 과정에서 세계에 대한 경험들이 일종의 유형으로서 몸에 형태지워진다. 메를로-퐁티는 이를 세계가 몸을 구조화한다고 말했다.

세계 속에 사는 몸이 세계 속에서 세계와 친숙하게 살기 위해서는 순간순간 혹은 장기적으로 세계가 자기에게 부과하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길을 걸어가야 하고, 밥을 먹어 영양을 섭취해야 하고, 버스를 타고 문제없이 학교에도 가야 하고, 사람들과 만나 정치적이거나 경제적인 혹은 종교적인 각종 사회, 문화적인 행동도 해야 한다.


1071 - 최지혜 칼럼 7.jpg


Angst, Anne Imhof, 2016



살아가는데 있어서 이런 것들이 가지가 아니다. 이럴 때마다 몸은 일일이 순간순간의 상황에 일정한 대응 방식도 없이 그야말로 맨몸으로 알몸으로 대처하지는 않는다. 몸은 주어지는 상황과 상황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있는 일반적인 형태들을 지닌다. 그렇지 않으면 상황마다 우리의 몸은 일일이 처음으로 상황을 대하듯 낯설어 하고 힘들어 것이기 때문이다.


1071 - 최지혜 칼럼.jpg


Young Virgin Auto-Sodomized by Her Own Chasity, 살바도르 달리, 1954



이런 모든 것들이 바로 우리가 세계 속에서 살다 보니 획득하게  일종의 습관과 같은 것들이다. 이것을 메를로-퐁티는 몸이 세계와 하나되기 위해 적응하는 과정에서 세계로부터 일정한 형태를 받아들여 자기 속에 구조화한다고 말했고, 이렇게 이미 구조화된 형태들에 따라 우리가 지각하고 행동한다고 했다.

예를 들어, 공부를 잘 하는 사람은 공부를 잘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정치를 하는 사람은 정치를 있는 방식으로, 그리고 경제를 일구는 사람은 경제를 일구는 방식으로 몸이 구조화되어 있다.

물론 그렇게 구조화된 몸의 형태는 기본적으로는 물리적인 질서, 생명의 질서, 인간의 질서 등으로 크게 나눌 있지만, 얼마든지 여러 수준으로 여러 방식으로 세분될 있다. 그만큼 세계를 살아 가는 인간의 몸은 세계에 의해 미세하게 구조화되고, 그래야만 미세한 세계를 살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몸은 세계 속에 무진장하게 들어 있는 가능성들이 현실화되는 장소가 되고, 바로 그럼으로써 다기능적인 세계 속에 존재할 있는 것이다.


1071 - 최지혜 칼럼 3.jpg

목욕하는 여성, 우타가와 도요쿠니, 1812



5. “몸의 도식


몸이 세계와 하나되기 위해 세계를 향해 나아갈 때에 몸은 가능한 자기가 친숙하게 거주할 있는 방향으로 세계를 바꾼다. 그러나 그것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세계가 요구하는 대로 몸이 자신의 구조를 바꾸기도 한다. 메를로-퐁티는 이를 '몸의 도식(圖式)'이라고 했다.

, 우리의 몸이 세계와 하나를 이루기 위해 세계에게로 나아갈 , 반대편에서는 세계가 몸과 하나를 이루기 위해 몸에게로 다가오는 것이다. 계를 구조화하고 또 몸 자신의 구조를 바꾸는 대부분의 능력은 습관처럼 몸이 세계를 경험하면서 획득한 감각적이고 운동적인 능력이다.


1071 - 최지혜 칼럼 6.jpg


모나리자, 페르난도 보테로, 1977



예술의 특수성은 잠재적인 것을 현실화한다기보다 그것에 실체를 부여하여 잠재태를 구현하는 것이다라고 프랑스 철학자 들뢰즈는 말했다. 즉 예술작품은 사건에다가 하나의 육체와 삶, 그리고 우주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예술 작품속에서 도식화된 몸, 도식화된 세계, 우주를 들여다 볼 수 있다.


1071 - 최지혜 칼럼 2.jpg


Study of George Dyer, Francis Bacon, 1971



따라서, 우리의 몸이 어떻게 세계를 구조화하고 또 우리의 몸을 그 세계에 맞게 어떤 방식으로 구조화해 나갈 수 있는지 그 방식들을 배워보기 위해, 다양한 색과 모양을 통해 몸을 도식화해 온 예술가들의 작품들을 들여다 보고자 한다.


1071 - 최지혜 칼럼 4.jpg


Drown, Njideka Akunyili Crosby, 2012



6. 이미 존재하지만 존재할 수 없는 순서에 대한 발견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70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5026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20107
279 최지혜 예술칼럼 나는 반항하는 사람이다 - 아이 웨이웨이 4 file eknews 2017.05.21 3235
278 최지혜 예술칼럼 우리의 삶을 흔들어 놓는 예술가 2 - 김수자 ( 1 ) file eknews 2016.09.04 3230
277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 예술칼럽(39) 예술이 삶에 대한 해석이자 제기(提起)이다 2 file eknews 2015.08.30 3189
276 최지혜 예술칼럼 우리의 삶을 흔들어 놓는 예술가 2 - 김수자 ( 2 ) file eknews 2016.09.11 3147
275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7)당신은 어떤 유토피아를 꿈꾸는가? file eknews 2015.02.02 3116
274 최지혜 예술칼럼 17: 행운과 비운의 화가, 마크 로스코 2 - 모두 왜 어떻게 우리가 로스코의 그림으로 치유되는지는 말하지 않는다 file eknews 2015.03.23 3099
273 최지혜 예술칼럼 예술가가 사랑한 예술가 1 - 검은 피카소, 바스키아 1 file eknews 2016.05.01 3057
272 최지혜 예술칼럼 최소의 미학의 찾아서3 file eknews 2017.03.13 3030
271 최지혜 예술칼럼 이 시대 우리 심층의 갈망을 일깨워 줄 영웅은? (4) file 편집부 2018.12.19 3006
270 최지혜 예술칼럼 삶의 기쁨에서의 절정과 아름다움의 서비스를 모두 함께 전달해 주는 것은 바로 예술이다1 file eknews 2015.12.14 3002
269 최지혜 예술칼럼 27: 세계 미술시장의 눈이 중국으로 쏠리고 있다-미술 시장의 큰 돈, 그 정체는? (4-1편) file eknews 2015.05.31 2988
268 최지혜 예술칼럼 낭만 그것을 찾아서 1 file eknews 2017.01.23 2938
267 최지혜 예술칼럼 새로운 예술가는 항의한다 다다이즘1 file 편집부 2018.02.26 2917
266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 예술칼럼(40) 예술이 삶에 대한 해석이자 제기(提起)이다 3 file eknews 2015.09.07 2850
265 최지혜 예술칼럼 < 예술가가 사랑한 예술가 2 > 아시아 앤디워홀, 무라카미 다카시 ( 2 ) file eknews 2016.06.12 2813
264 최지혜 예술칼럼 잭슨을 감동시켰다 file 편집부 2020.02.02 2772
263 최지혜 예술칼럼 몽파르나스의 전설이 100년만에 부활하다 2 file eknews 2015.12.07 2749
262 최지혜 예술칼럼 예술이란 우리가 생각하던 것보다 훨씬 넓고 자유로운 것이다. 플럭서스 3 file 편집부 2018.02.19 2742
261 최지혜 예술칼럼 “예술가는 영혼으로 자신을 표현해야 하며, 예술작품은 그 영혼과 하나가 되어야 한다.” 플럭서스 1 file 편집부 2018.02.07 2712
260 최지혜 예술칼럼 주목해야 할 전시 2 – 한국의 비엔날레(Biennale) 축제, 이대로 괜찮은가? 2 ; 비엔날레보다 더 바쁜 미술 시장들 1 file eknews 2016.11.21 269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