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17.08.14 00:54

정체성을 찾아 떠나는Grand Tour 2-1

조회 수 14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정체성을 찾아 떠나는Grand Tour 2-1


 

2. 아트 바젤

아트바젤.jpg  


: 아트 바젤(Art Basel)은 스위스 북부의 작은 도시 바젤에서 열리는 국제적인 아트 페어입니다.

바젤 출신의 거대 화상이었던 에른스트 바이엘러(Ernst Beyeler)는 젊은 시절 작은 서점을 인수해 미술품 거래를 시작했고, 피카소, 세잔, 마티스 등 위대한 거장들을 알아보고 그들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소장했습니다.

그의 뛰어난 안목과 적극적인 사업가 기질은 유럽 최초의 공공 뮤지엄이 건립된 바젤의 탄탄한 문화적 기반에 힘입어 1970년 국제적인 아트 페어의 문을 열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아메리카 대륙의 기점인 아트 바젤 마이애미와 아시아를 대표하는 아트 바젤 홍콩이 추가되어 총 세 군데에서 매년 개최되고 가장 큰 예술 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트 바젤은 본 전시관에서 열리는 메인 페어(Fair)와 거대 규모의 실험적인 작품들을 선보이는 언리미티드(Unlimited)전시, 그리고 떠오르는 신진 작가들을 소개하는 스테이트먼트(Statement)등 여러 부대 전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럼 1층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전시관의 1층에는 가고시안 갤러리(Gagosian Gallery), 페이스 갤러리(Pace Gallery) 등 유명 갤러리들이 포진해 있고, 한국의 국제갤러리(Kukje / Tina Kim Gallery)도 있습니다.



서희 (학생1) :  많은 갤러리들이 올해 말과 내년에 런던에서 전시를 앞두고 있는 장 미셸 바스키아(Jean-Michel Basquiat)와 피카소(Picasso)를 염두해 두고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그들의 희귀한 작품들을 공개한 것 같습니다.



또한 근대 예술의 거장들인 루치오 폰타나(Lucio Fontana),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 루이스 브루주아(Louise Bourgeois), 호안 미로(Joan Miro), 쟝 뒤뷔페(Jean Dubuffe), 싸이 톰블리(Cy Twombly)의 작품들도 있었습니다.



심지어 일본 구타이 미술, 그리고 국제 갤러리가 주도했던 단색화 작품들도 눈에 띄었습니다.

진영 ( 학생2) : 저는 특히 바스키아의 그림들이 정말 강렬하고 자유로움을 그대로 전달하는 것 같아 감동적이었습니다

 Big Sun, 장 미셸 바스키아, 1984.jpg


Big Sun, 장 미셸 바스키아, 1984


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독일의 예술가 게르하르트 리히터와 시그마 폴케, 미국의 로버트 라우셴버그, 도날드 저드의 작품들도 주목할 만 했습니다.



: 2층의 갤러리들에서는 시대적으로 보다 현대적인 작품들을 만나 볼 수 있습니다.

   

2층 스테이트먼트(Statement) 전시 현황.jpg


2스테이트먼트(Statement) 전시 현황



서희 (학생1) : 드로잉, 설치, 조각, 미디어, 회화의 혼합된 예술 형식과 빗자루, 의자, 자동차, 단추, 카트, 쓰레기 등 일상생활 용품 등 다양한 재료와 보다 확장된 규모의 작품들과 설치 공간 등 개념예술의 확장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층 갤러리 전시 현황.jpg 

2층 갤러리 전시 현황        



정체성을 찾아 떠나는Grand Tour 2-2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69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5026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20106
239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 추상표현주의의 뿌리 file 편집부 2019.02.18 2070
238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 추상표현주의의 확장 file 편집부 2019.02.25 21735
237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의 모더니즘의 시작 file 편집부 2019.02.11 2525
236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의 아방가르드 file 편집부 2019.11.10 1302
235 최지혜 예술칼럼 미술사에서 실종된 예술가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1 file eknews 2016.01.25 1820
234 최지혜 예술칼럼 미술사에서 실종된 예술가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2 file eknews 2016.02.01 3504
233 최지혜 예술칼럼 미술사에서 실종된 예술가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3 file eknews 2016.02.07 2613
232 최지혜 예술칼럼 미술사에서 실종된 예술가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4 file eknews 2016.02.14 1961
231 최지혜 예술칼럼 미술사에서 실종된 예술가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5 file eknews 2016.02.21 2039
230 최지혜 예술칼럼 미술사에서 실종된 예술가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6 file eknews 2016.02.29 1592
229 최지혜 예술칼럼 뱅크시는 성공한 예술가가 아니다? - 뱅크시 2 file 편집부 2024.03.31 63
228 최지혜 예술칼럼 변화해야 할 것은 오직 자신뿐이다 (네빌 고다드의 강의4-1) 편집부 2021.05.24 924
227 최지혜 예술칼럼 보편적인 휴머니즘 file 편집부 2020.01.13 6997
226 최지혜 예술칼럼 브라질의 우뚝 솟은 블랙수트의 모더니스트 Mira Schendel 2 file eknews 2016.03.14 1991
225 최지혜 예술칼럼 브라질의 우뚝 솟은 블랙수트의 모더니스트Mira Schendel 1 file eknews 2016.03.07 1902
224 최지혜 예술칼럼 브라질의 우뚝 솟은 블랙수트의 모더니스트Mira Schendel 3 file eknews 2016.03.21 1696
223 최지혜 예술칼럼 브라질의 우뚝 솟은 블랙수트의 모더니스트Mira Schendel 4 file eknews 2016.04.03 1313
222 최지혜 예술칼럼 브루스 나우만의 차이와 반복, 그리고 '되기' file 편집부 2020.12.14 1596
221 최지혜 예술칼럼 사람을 그리는 화가들 1 - 세잔과 마티스 file 편집부 2022.07.11 135
220 최지혜 예술칼럼 사람을 그리는 화가들 2 - 마티스와 모딜리아니 file 편집부 2022.07.11 226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