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동안‘후천성 무지외반증’ 진료환자가 2005년 에서 2009년사이 77% 증가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7배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최근 5년 동안(2005~2009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후천성) 무지외반증’ 진료환자가 2005년 2만 4천명에서 2009년 4만 2천명으로 77% 증가했으며, 2009년 기준 여성이 3만 6천명으로 남성(5천명)보다 7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구 10만명당 성별·연령별 진료환자 추이를 보면 남성의 경우 최근 5년간 모든 연령대에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여성의 경우 30대 이하와 70대 이상에서는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나 40~60대는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전체 진료환자 중 40~60대 여성 진료환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2009년 기준 40~60대 여성이 인구 10만명당 842명으로 여성 전체 진료환자(1,251명)의 67.3%를 차지했다.
순천향대학교 명예교수인 정형외과 전문의 김연일 교수는 무지외반증의 증상과 원인에 대해 “가장 흔한 증상은 제1중족(엄지) 발가락 관절 안쪽의 돌출 부위(건막류)의 통증인데 이 부위가 신발에 자극을 받아 두꺼워지고 염증이 생겨 통증이 발생한다. 또한,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발가락의 발바닥 쪽에 굳은 살이 생기고 통증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심한경우에는 두 번째 발가락이 엄지 발가락과 겹쳐지거나 관절이 탈구되기도 한다”면서 “전체인구의 약 4~10%정도에서 방사선학적으로 무지외반에 부합하는 소견을 가지고 있으며, 선천적 요인으로는 족부의 기형 즉 평발 및 원발성 중족내전증등의 기형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는 후천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바, 오랜 기간 하이힐 등의 굽이 높은 신발 또는 신발코가 좁고 앞이 뾰족한 신발을 신었을 때 체중이 엄지발가락에 집중되어 변형이 올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김연일 교수는 무지외반증의 예방법에 대해 “발이 편한 신발을 신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지만 직업의 특성상 편한 신발을 신지 못하는 경우에는 최대한 신발을 자주 벗어 쉬어주며, 종아리 근육을 신전시켜주는 스트레칭을 시행하여 종아리 근육의 단축으로 인해 나타나는 이차적인 발목통증, 무릎통증, 요통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유로저널 김태호 기자
eurojournal02@ek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