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더블 딥 가능성 최대 55%
미국의 더블 딥 가능성이 최대 55%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7일 세계경제와 국제금융 분야 전문가를 초청해 개최한 ‘세계경제
위기 전망과 기업의 대응 세미나’에서 김종만 국제금융센터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향후
미국경제 더블 딥 여부는 유럽 재정위기의 심화 정도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종만 박사는 실제로 “지난해 12월에 취한 미국의 경기부양 조치가 금년말에 종료될 경우
더블 딥 가능성은 33.3%에 이른다”며 “여기에 유럽에 신용쇼크가 초래되면 40%, 유동성
쇼크까지 더해진다면 55%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박사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더블 딥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재정
악화, 정치적 리더십 부족 등으로 정책 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세계경제가 회복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국의 정책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이라 추가로 인하하기가 쉽지 않고, 금융위기 대응 과정에서
유동성 공급이 늘어나 있어 새롭게 도입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이 거의 없기 때문에서다. 여기에
미국과 일본은 유동성 공급을 늘려도 경기 부양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유동성 함정에 이미 빠진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리스 재정위기와 관련해서서도 “유동성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채무 상환 능력 자체가 부족한 데
기인하고 있어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하다”며 “그러나 그리스가 유로존을 탈퇴할 경우 주변국과
유럽 은행의 대규모 손실이 불가피해 실제로 탈퇴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내다봤다.
김 박사는 “이번 위기가 실물경제도 영향을 미쳐 올해와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둔화시킬 것”이라며
“이번 위기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선진국 경제의 경우 큰 폭의 성장률 둔화가 불가피하며, 신흥국은
어느 정도의 하향 조정을 거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오석태 SC제일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세계 금융시장의 혼란에도 불구하고 더블 딥 불황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고 예상했다. 다만 오석태 박사는 세계경제의 빠른 회복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전제하고 재정 긴축과 민간 부문의 부진으로 선진국 경제의 저성장·저금리 현상은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