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
|
||||||||||||||||||||||||||||||||||||||||||||||||||||||||||||||||||||||||||||||||||||||
|
2011.11.29 02:02
폭력의 역사, 비폭력 시위가 필요할 때
조회 수 2919 추천 수 0 댓글 0
폭력의 역사, 비폭력 시위가 필요할 때 정태춘이 부른 <92년 장마, 종로에서>라는 노래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다시는/ 다시는 시청 광장에서 눈물을 흘리지 말자/ 물대포에 쓰러지지도 말자/ 절망으로 무너진 가슴들/ 이제 다시 일어서고 있구나” 90년대 중반 연대사태를 비롯한 일련의 시위진압과정에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할 때까지 대부분의 집회, 시위 과정에서 과도한 폭력의 사용은 헤어나올 수 없는 굴레와 같았다. 대나무로 보강된 방호복과 방독면, 철망이 덮인 헬멧은 국가의 합법적 폭력을 대변하는 아이콘이었고, 쪼개진 보도블럭과 화염병은 이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었다. 사실 이러한 폭력의 악순환을 끊기 위한 노력은 집회를 하는 쪽이나 막는 쪽이나 양 쪽에서 끊임없이 있어 왔다. 1989년 경찰은 이스라엘제 물대포 2대를 처음으로 도입하게 된다. 그러나 너무 커서 시위 현장에서 사용하기가 어려웠던 이 장비가 1년 넘게 전혀 사용되질 않자, 90년 국정감사에서 야당 의원들은 “왜 비싼 돈 들여 구입하고는 사용하지도 않느냐”고 따지기도 했다. 최루탄보다는 그래도 물대포가 더 낫지 않으냐는 뜻이었다. 이 물대포가 처음으로 선보인 것은 91년 3월28일이었다. 서울대생 3천여명이 총학생회 발대식을 마친 뒤 교문 앞에서 경찰과 맞붙었다. 당시 반정부 시위가 으레 그랬듯이 한편에서는 돌과 화염병이 날고, 다른 쪽에서는 곤봉과 최루탄이 작렬했다. 이런 공방전이 계속되는 중에 갑자기 물벼락이 학생들에게 쏟아졌다. 나중에 시위학생을 가려낼 목적으로 물속에는 형광물질도 넣었다.이후 물대포는 항상 최루탄과 함께 사용되고도 했고 얼마 전에는 최루용액을 섞어 분사하기도 했다. 그만큼 시위자들의 고통도 갑절로 늘었다. 그리고 이번엔 영하의 날씨에서 매서운 ‘칼분사’로 반FTA 시위대를 죽음의 공포로 몰아넣었다. 애시당초 시위 진압과정에서 과도한 폭력을 배제하고자 도입한 장비가 오히려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장비로 탈바꿈한 순간이었다. 사실 물대포는 소방선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미국에서 개발된 폭동 진압용 기구였다. 흑인 민권운동이 한창이던 60년대에 물대포의 사용도 절정기를 맞았다. 그러나 물대포에 쫓겨서 달아나는 흑인들의 모습으로 말미암아 물대포는 인권침해뿐 아니라 인종차별적 이미지까지 띠게 되면서 인기를 잃었다. 미국에서는 요즘 거의 사용되지 않고, 다른 나라에 수출만 하고 있다.아무튼 이런 폭력적 시위진압의 반작용은 즉각적이었다. 지난 26일 밤 한미FTA 무효화 시위 과정에서 마침 야당 대표를 만나러 간다는 명분으로 시위 중심부로 걸어가던 박건찬 종로경찰서장이 경찰 제복을 입은 상태에서 시위대로부터 폭행을 당한 것이다. 박 서장은 계급장이 뜯기고, 안경이 부러졌다. 사건 뒤 이강덕 서울지방경찰청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불법행위는 엄중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이 청장은 “적법하게 공무를 수행하던 종로경찰서장이 폭행을 당하고 경찰관 38명이 부상을 입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밝히고 “사회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일단 만날 약속도 정하지 않았다는 정동영 의원이나 이정희 의원이 제기한 의아함은 차치하고, 또 전치 3주라지만 외견으로 보이는 외상도 없을뿐더러, 일상업무에 바로 복귀한 경찰서장의 상태 역시 차치하더라도 우선 현직 경찰서장에 대한 폭행은 명백한 불법행위이다. 물대포에 대한 증오가 아무리 심하더라도 이에 대한 폭력의 행사는 또다른 폭력의 악순환을 초래할 수 밖에 없다. 진정한 비폭력 집회만이 시민들을 설득할 수 있는 무기가 된다.이번 기회에 집회지도부와 경찰은 냉정함을 되찾을 필요가 있다. 어떤 방식으로 의사를 표출하고 또 어떤 방식으로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고민할 때다.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