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CBHI Canada 건강 칼럼
2023.02.20 08:17

칼슘과 통풍

조회 수 1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칼슘과 통풍

식생활의 변화로 주변에 통풍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다.

image3.png

 

통풍은 세포 구성 성분인 퓨린이라는 물질이 세포가 파괴되면서 혈중으로 나와 요산으로 되어 인체조직에 결정화되면서 쌓여 발생하는 질병이다.

 

인체의 세포가 60조 이상이 되어 매일 같이 세포가 수억 수십억 개씩 죽고 새로 태어나는데 퓨린 방출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고 요산으로 소변으로 배출되지 않으면 안 된다.

 

퓨린은 DNA와 RNA에서 퓨린(아데닌과 구아닌)의 중요한 구성 성분일 뿐만 아니라 ATP, GTP, 사이 클릭 AMP, NADH, 코엔자임 A와 같은 여러 가지 중요한 생체 분자에서 중요한 성분이다.

요산은 당연히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많은 량의 요산이 혈중에 남아 있으면 조직 내에 쌓여 가면서 발병이 진행되는데 그중 관절에 쌓여 일으키는 질병이 통풍이다. 통풍은 염증성 관절염의 한 형태로 관절에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궤양, 신장 결석 또는 요산염 신 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는 혈액 중 요산의 수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섭식 생활과 유전적 요인으로 발생한다. 요산이 결정화되고 관절, 힘줄 및 주변 조직에 결정이 침착되어 통풍을 유발한다. 통풍은 정기적으로 고기나 해산물을 먹거나 맥주를 마시거나 과체중인 사람들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대개 의사의 처방은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스테로이드 또는 콜히친으로 치료하면 증상이 호전되기도 하지만 식이요법으로 요산 수치를 낮춰 증세를 호전 시킬 수 있다. 하지만 근본적인 치료가 되기 위해서는 요산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야 한다.

 

요산은 낮은 PH, 저 체온에서 많이 발생한다. 즉 산성에서 결정화되며 높은 체온에서는 잘 요해되어 이를 해결하면 사라진다는 의미이다. 

어떻게 혈액과 체액의 PH를 올릴 수 있을까? 이온 칼슘 레벨을 증가시키면 된다.

 

어떻게 체온을 올릴 수 있을까? 미토콘드리아를 활성화시키면 된다.

(칼슘과 미토콘드리아   칼럼 참조) 

CBHI연구소 소장

이규헌 박사

www.cbhi.info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71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5026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20107
101 최지혜 예술칼럼 페르소나에 대한 고찰; 신디 셔먼 3 file 편집부 2023.09.25 96
100 최지혜 예술칼럼 ‘포커스 아트 붐’ file 편집부 2022.10.09 95
99 아멘선교교회 칼럼 아멘선교교회 2022년 11월 23일자 말씀 file 편집부 2022.11.22 94
98 이윤경의 예술칼럼 모스브로이히 박물관 Museum Morsbroich – 1 file 편집부 2022.03.29 94
97 최지혜 예술칼럼 초현실주의는 ‘마음의 상태’ (‘혁신적인 미술 운동의 역사를 새로 쓰다’ 3) file 편집부 2022.03.11 93
96 CBHI Canada 건강 칼럼 피부와 칼슘 : 주근깨 , 기미(II ) file 편집부 2023.04.11 92
95 최지혜 예술칼럼 NFT 아트에 대한 열풍 file 편집부 2023.01.06 92
94 최지혜 예술칼럼 설레는 아트 페어 2 – ‘아트 바젤 홍콩’ 성과 file 편집부 2023.04.03 89
93 최지혜 예술칼럼 “I paint as I see, as I feel” (뉴욕 모마 세잔전2) file 편집부 2022.03.10 89
92 CBHI Canada 건강 칼럼 골다공증과 당뇨병 file 편집부 2023.04.11 87
91 이윤경의 예술칼럼 독일 도예가, 키라 슈피커 Kyra Spieker - 1 file 편집부 2023.03.13 87
90 아멘선교교회 칼럼 아멘선교교회 2023년 3월 8일자 말씀 file 편집부 2023.03.14 86
89 최지혜 예술칼럼 아트테크는 어떻게 해야 하나? (3) - MZ세대의 투자 file 편집부 2023.01.06 86
88 이윤경의 예술칼럼 도자박물관 틴드스휘어 테헬렌 Keramiekcentrum Tiendschuur Tegelen – 1 file 편집부 2023.02.07 85
87 최지혜 예술칼럼 K-아트 시대 : 프리즈 아트페어 1 – 완판 행진! file 편집부 2023.01.06 85
86 최지혜 예술칼럼 요즘 예술 트렌드 – ‘Diversity’ file 편집부 2023.12.13 84
85 최지혜 예술칼럼 정체성에 대한 고찰; 신디 셔먼 2 file 편집부 2023.09.25 84
84 이윤경의 예술칼럼 오스텐데 현대미술관 Mu.ZEE - 1 file 편집부 2023.06.13 84
83 CBHI Canada 건강 칼럼 칼슘과 석회화 file 편집부 2023.04.11 81
82 최지혜 예술칼럼 멘토를 찾아서 – 윤형근1 file 편집부 2024.05.12 80
Board Pagination ‹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Next ›
/ 11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