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1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Extra Form
extra_vars1 |||||||||||||||||||||
extra_vars2 |||||||||||||||||||||||||||||||||||||||||||||||||||||||||||||||||||||||||||||||||




레바논 헤즈볼라 로켓발사,5차 중동전쟁 위기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하마스에 대해 전면전을 선언하면서 지난 12월 27일부터 수 백 차례 공습에 이어 지상군 투입으로 이미 사망자 700여명 이상,부상자 3,000 여명 등 4 천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이미 2년 전 이스라엘과 전쟁을 치렀던 레바논에서 미사일이 이스라엘로 발사되어 5차 중동전쟁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이스라엘은 이집트의 중재로 맺어졌던 팔레스타인 간의 6개월 동안의 휴전 기간이 지난 12월 19일 종료된 이후 하마스가 로켓포 공격을 감행하자, 하마스에 전면전을 선포하면서 맹포격에 이어 세계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높은 가자 지구에 지상군을 투입,어린이들만도 117명이상이 숨지는 등 4,000 여명 이상의 사상자들을 내고 있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이후 41년 만에 최악 사태를 빚고 있다.
8일 오전, 레바논에서 발사된 로켓포 3-5발이 레바논 국경에서 남쪽으로 8㎞ 떨어진 이스라엘 북부지역에 떨어져 주민 2-3 명이 가벼운 부상을 입었고 이에 대한 반격으로 이스라엘군은 5발의 포격을 레바논 지역으로 발사했다고 이스라엘 안보 당국이 밝혔다. 2007년 6월 이후 레바논이 이스라엘에 대한 로켓공격을 개시한 것은 처음으로,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격이 13일째 접어든 시점에 감행됐다.
가자지구가 이스라엘군에의해 유린 상태에 놓이자 헤즈볼라는 "레바논이 전쟁에 휩싸이길 원치 않지만, 전쟁은 준비된 상황이다"고 언급해 왔다.
이스라엘 북쪽으로 국경을 접하고 있는 레바논 헤즈볼라가 가자지구 공습에 대한 보복으로 공격을 감행하면 이스라엘군이 남북으로 흩어져 전력 약화가 불가피진다.
하마스와 헤즈볼라가 군사적 동맹관계를 체결하지는 않았지만 두 무장정파는 이스라엘을 공동 적으로 간주하고 있는 데다 이슬람 원리주의를 신봉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어 이 같은 시나리오를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이스라엘은 2년 전에 헤즈볼라와 벌인 34일간 전쟁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던 경험이 있어 헤즈볼라 개입을 염려하고 있다.
당시 전쟁에서 헤즈볼라 무장 조직원 등 레바논인 1200여 명이 전사했지만 이스라엘군도 160명 사망했고 이스라엘 북부 주민 100만명이 헤즈볼라 미사일 공격을 피해 남쪽으로 피난을 떠나는 사태를 맞았다.
헤즈볼라는 아랍국가 정부들이 하마스와 가자 주민들의 곤경과 고통을 외면하는 가운데, 홀로 나섰다는 영웅적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다. 승리한다면 ‘저항 영웅’ 이미지를 굳히고, 중동 최강의 정치군사 세력으로 부상할 수 있다. 그러나, 패한다면 기존 이미지의 붕괴와 함께 국내에서도 정치 기반을 잃게 될 위험이 크다. 이스라엘로서도 이번에는 승리를 거두며 2006년 레바논 침공 실패로 깨진 무적신화를 복구하려 하겠지만, 두개의 전선에서 한꺼번에 전투를 치르는 어려움 속에서 다시 수렁에 빠질 가능성도 크다.
특히,헤즈볼라가 나섰다면 이 단체를 지원하는 이란까지 관련될 수 있고, 미국 차기 오바마 행정부에서도 최우선 외교과제로 등장하게 된다.
한편,지금 이스라엘이 차지하고 있는 팔레스타인 지역은 1차 대전이 끝나면서, 오스만 터키의 식민지에서 영국의 통치지역으로 바뀌었다. 영국은 1917년 '벨푸어(Balfour) 선언'을 통해 팔레스타인 땅에 유대 국가와 팔레스타인 국가를 세운다고 발표했다. 이 선언 이후, AD 70년 로마군에 멸망한 뒤 전세계를 떠돌던 유대인들은 시온주의 운동을 통해 팔레스타인에 살고 있는 아랍계의 땅을 사들였고 아랍계와 충돌이 시작됐다.
영국은 1947년 유엔에 독립국가 설립안건을 넘겨버렸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두 국가를 세우되 그 경계를 유엔이 정한다'고 결의했다. 그 결과, 팔레스타인은 전체 지역의 3분의 1을, 이스라엘은 3분의 2를 각각 차지했다. 당시 팔레스타인 인구는 300만명, 이스라엘은 60만명이었다. 유대인들은 1948년 5월14일 이스라엘을 건국했다.
                    

한인신문 국제부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9 유럽 각국 녹색성장에 경기 부양 총력전 file 유로저널 2008.12.24 116
308 영국 소매업체 울워스에 이어 MFI등 줄도산 (펌) file 한인신문 2008.12.26 656
307 영, 허위 서류 모기지 브로커 등 대규모 벌금 부과 (펌) 한인신문 2008.12.26 119
306 美 유대인 사회, "돈도 신뢰도 잃었다" file 한인신문 2008.12.26 106
305 교황, 남녀 성(性)구분 무시는 "인간 파괴" file 한인신문 2008.12.27 148
304 2009년 유럽, 중국 인도산 저가 자동차 약진 예상 file 유로저널 2009.01.16 113
303 이스라엘, 가자지구에서 인간 학살에 들어가 file 유로저널 2009.01.16 106
302 서아시아發 조류인플루엔자(AI),중국까지 확산 file 유로저널 2009.01.16 111
301 중화제국 부활, "금융위기 속 위상 급상승" 자평 file 유로저널 2009.01.16 113
300 짐바브웨, 콜레라 창궐로 1732명 사망 file 유로저널 2009.01.16 184
299 이스라엘, 가자지구 공세 "3 단계 군사작전" file 유로저널 2009.01.16 454
298 지구촌 실업대란,수천만명 직장 잃을듯 (펌) file 유로저널 2009.01.16 168
297 北 “美와 관계정상화를 통한 비핵화라는 원칙” 유로저널 2009.01.16 168
296 러' 가즈프롬, 유럽행 가스 공급 재개 유로저널 2009.01.16 160
» 레바논 헤즈볼라 로켓발사,5차 중동전쟁 위기 file 한인신문 2009.01.16 162
294 러시아 가스공급 중단,중부유럽 17개국‘가스대란’ file 한인신문 2009.01.16 185
293 2008년 유럽 자동차판매 7.8% 감소,15년만의 최저 file 유로저널 2009.01.21 221
292 유럽 경제 최대 위기 속 추가 구제금융 불가피 file 유로저널 2009.01.21 572
291 US에어웨이 1549편 여객기, 2009년 첫 기적만들어 file 유로저널 2009.01.21 819
290 최소한 이스라엘에는 신은 없다. file 유로저널 2009.01.21 147
Board Pagination ‹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7 Next ›
/ 2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