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2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패거리의 나라,관료 사회 수술만이 해결책이다.


지난 32년간에 걸친 한국의 군사정권 통치수법도 마피아의 그것과 흡사했다

정치군인들이 국토방위의 의무를 저버리고 총칼로 정권을 탈취했다. 나라의 주인인 백성을 억압하고 기업인들한테서 돈을 갈취했다. 철권통치에 불만의 소리라도 내면 잡아다 주리를 틀었다.

지하주차장에서 돈을 사과상자로 나르던 일은 이제 옛이야기 거리다.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할리우드 영화에나 나올 수법이 등장하기도 했다.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차떼기'로 돈을 넘겨받았다니 말이다.

아직도 사회지도층은 내 탓은 않고 네 탓만 타령하며 더러운 입씨름을 벌인다. 

여객선 세월호 침몰 참사가 그렇다. '단 한 명이라도 더 구조하지 못해 죄송하다'고 해야 할 해양경찰 간부는 '80명이나 구했으니 잘한 것 아니냐'는 발언을 쏟아낸다. 어처구니없다.

세월호 참사 이면에는 관료들의 총체적 무능과 부정이 자리해 있다. 세월호 참사를 막을 기회는 여러 차례 있었다. 

선박 운항과 안전 검사, 선사 운영, 구조 과정에 이르기까지 어느 한 단계서만 우리 사회의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했어도 대형 참사는 일어나지 않았다. 

안전재난 시스템을 만들고 관리하고 책임져야 하는 사람들은 대한민국 관료들이다. 하지만 이번 참사를 돌아보면 어느 조직도 제 기능을 다했다고 보기 어렵다.

관료들이 관피아(관료+마피아) 집단이라는 소리를 듣는 이유다. 

세월호 침몰 사고의 배경으로 해피아(해수부+마피아)가 등장했다. 여객선 안전운항 관리를 맡은 한국해운조합은 38년째 해수부 출신이 이사장을 맡고 있다. 선박검사를 위탁받은 한국선급은 역대 회장 11명 중 8명이 해수부 출신이다. 

대통령까지 나서 해양수산부와 해운조합 간 서로 봐주기 식의 비정상적 관행이 고착돼온 것은 아닌지에 대해 밝혀야 할 것이라고 질타했을 정도다.

관료 조직이 범죄단체인 마피아 소리를 듣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만도 아니다

지난해에는 한국수력원자력 고위직들이 퇴직 후 원전 부품제조업체에 재취업해 부품시험서 위조로 이어져 원전마피아가 등장했다. 부처별로 모피아(재무부+마피아), 국피아(국토해양부+마피아), 산피아(산업부+마피아), 교피아(교육부+마피아) 등이 문제가 됐다. 

마피아란 관료들이 퇴직 후 유관기관·단체에 재취직해 불법 로비 등 부정부패의 고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속속 붙여지고 있다. 재직 시에는 물론 퇴직 이후까지 제 밥그릇부터 챙기려 드는 관료조직을 마피아 조직처럼 보는 것이 실제 국민 정서다.

이런 모습이 장관후보자들에게만 해당되는 게 아니다. 이른바 힘 있는 기관의 5급 이상 퇴직공무원들도 많은 수가 대기업에 재취업해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고위공무원 재취업 현황'에서 확인된 사항이다.

일반적인 지방자치단체들의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다. 퇴직을 앞둔 고위공무원들 상당수가 지자체 산하 기관단체의 장으로 발탁 임용되기 일쑤다.

심지어 일반 기업체의 임원으로 재취업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보은 또는 정실,관(官)을 상대로 한 활용의 가치성 때문이다. 과연 이런 구조에서 건전성이 담보될 수 있겠는가·

관료사회에 대한 대수술이 필요하다. 책임감을 갖고 적극적으로 일하는 공직 분위기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다. 퇴직 후 자기 자리나 찾으려는 공직 분위기에서는 안전한 미래가 없다. 

공무원윤리법 관련법 개정을 통해 퇴직 후 공직자의 낙하산 취업을 막을 제도적 정비가 절실한 이유다.

국가를 개조하는 수준으로 60년 적폐(積弊)를 척결하겠다는 청와대 의지의 첫 번째 대상은 퇴직 공무원을 포함한 공직사회 개혁이어야 한다. 철저한 공복정신을 갖고 업무수행에 임하고 있는 대다수 공직자들을 위해서도 맞다.

"청렴은 관리의 기본임무이고, 모든 선행의 근원이며, 모든 덕행의 근본이다. 청렴하지 않고서 목민관이 될 수 없다." 

정약용의 다산사상(茶山思想)을 모든 공직자들이 한번쯤 되새겨 봤으면 한다.

946-사설 2 사진.png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102 남북 정상 회담,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에 결실을 기대한다. file 2018.09.18 1327
2101 남북 관계 정상화와 비핵화 실현에 기대가 크다 file 2018.09.12 1649
2100 적폐청산은 촛불 시위의 준엄한 명령, 중단되어서는 안된다 file 2018.09.05 1680
2099 트럼프 외교에 발목잡힌 남북교류, 우리의 길을 가야한다 file 2018.08.29 1869
2098 '역대 최악의 정치특검' 특검 주장자와 특검 관계자에 책임 물어야 file 2018.08.22 1461
2097 국회 특활비 폐지, 꼼수대신 모든 정부기관 개혁의 거울 삼아야 file 2018.08.15 1363
2096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관계, 정부의 인내와 역할이 재요구 된다. file 2018.08.08 1607
2095 계엄 실행 의지 명백한 친위 쿠데타 도모에 충격을 금치 못한다. file 2018.07.25 1575
2094 국군기무사, 폐지보다는 전면 개혁을 해야한다. file 2018.07.18 1541
2093 헌재의 ‘양심적 병역기피자’들의 대체 복무 결정을 존중한다. file 2018.07.04 2063
2092 한국당,모든 기득권 내려놓고 완벽한 환골탈태해야 file 2018.06.27 1129
2091 검경 수사권 조정, 국민이 원하는 최우선 과제이다. file 2018.06.20 1893
2090 북미정상회담 성공에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에 기대가 크다 file 2018.06.13 1544
2089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 문건 모두 공개해 재판거래 의혹 밝혀야 file 2018.06.06 1386
2088 한반도의 안전과 평화를 위해 북미회담은 반드시 성공해야 file 2018.05.30 1233
2087 불체포특권 남용의 후안무치에 국민은 분노한다. file 2018.05.23 1437
2086 ‘기획 탈북’ 의혹 진상 규명하고 북한 가족 안전에도 만전을 기해야 file 2018.05.16 1244
2085 북·미 정상 담판 협상,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해야 file 2018.05.09 1315
2084 한진그룹 회장 일가의 집단 갑질에 국민은 분노한다 file 2018.04.25 1993
2083 국회의원 국외출장, 전수조사로 위법성 가려 책임 물어야 file 2018.04.18 1602
Board Pagination ‹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16 Next ›
/ 11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