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
|
|||||||||||||||||||||||||||||||||||||||||||||||||||||||||||||||||||||||||||||||||||||||||||||||||||||||||||||||||||||||||||||||||||||||||||||||||||||||||||||||||||||||||||||||||
|
국제
2014.09.23 23:37
미국 경제 회복세로 미국 기준금리 조기인상 우려 점증
조회 수 4427 추천 수 0 댓글 0
미국 경제 회복세로 미국 기준금리 조기인상 우려 점증 최근 미국 경제 회복세가 지속되면서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조기에 인상할 것이라는 우려가 점증하고 있으나, 2015년 상반기로 앞당겨질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전망된다. ![]() 최근 미국의 경제는 물가상승률이 낮고 소비심리는 높아지고 있어 금리인상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고용률이 여전히 낮고 주택시장 개선이 지연되고 있어 기준금리를 단기간에 인상하기에는 무리라는 주장이다. 미국의 민간소비는 최근 소득 증가세 및 소비심리지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어 향후에도 민간소비 개선 추세를 유지하고 있어, 투자 역시 개선 추세를 지속하고 있다. 선행지수인 설비가동률과 제조업PMI가 상승세를 보여 향후에도 투자 개선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게다가 임금상승률이 2%대에 머무는 등 수요측과 공급측 모두 물가 상승압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물가상승률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디플레이션갭이 지속되고 있어, 추가 상승 역시 지연될 전망이다. ![]() 하지만, 고용의 경우 실업률이 현재 6.1%까지 떨어졌지만 금융위기 이전 수준(4.8%)에 미치지 못하는 등 개선이 지연되고 있다. 고용률은 59.0%로 금융위기 이전의 62.9%보다 3.9%p 낮게 나타났다. 고용률 1%는 약 250만 개의 일자리를 뜻한다. 이와 같은 노동 저활용 현상을 고려할 때 향후 고용 개선세는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주택가격과 판매량이 아직 2008년 금융위기 이전 수준까지 회복되지 못하는 등 빠른 시일 내 주택시장 역시 개선이 어려워 금리인상을 정책을 연방이 내놓기에는 무리라는 분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미국 경제 회복에도 불구하고 고용 개선 지연, 미약한 물가상승압력 등을 고려할 때 기준금리 인상이 2015년 상반기로 앞당겨질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아 보인다고 분석해 발표했다. 하지만 금리인상 논의가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어 해외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증가해 신흥경제국들의 자본이 유출되는 등 외환시장이 요동칠 우려가 높아 이를 방어하기위해 이들 국가들의 금리도 동반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